반응형
반응형
산중문답(山中問答) / 이백 問余何事棲碧山(문여하사서벽산) 笑而不答心自閑(소이부답심자한) 桃花流水杳然去(도화유수묘연거) 別有天地非人間(별유천지비인간) 묻노니, 그대는 왜 푸른 산에 사는가. 웃을 뿐, 답은 않고 마음이 한가롭네. 복사꽃 띄워 물은 아득히 흘러가나니, 별천지 따로 있어 인간 세상 아니네. 요점 정리 작자 : 이백 갈래 : 칠언 절구의 근체시 형식 : 칠언절구로 1.2.4구 마지막 글자 山(산), 閑(한), 間(간)은 운자(韻字)들이다. 성격 : 서정적 표현 : 이상적, 낭만적, 탈세속적, 은둔적 제재 : 산중생활, 산 속의 한가로운 삶 주제 : 자연 속에 묻혀서 사는 생활의 즐거움, 세속을 벗어난 자연 속의 한가로운 삶 의의 : 자연과 조화된 삶을 영위하면서 그 속에서 인생의 자유와 이..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 푸슈킨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슬퍼하거나 노여워하지 마라. 설움의 날을 참고 견디면 기쁨의 날이 오고야 말리니. 마음은 미래에 살고 현재는 언제나 슬픈 것. 모든 것은 순식간에 지나가고 지나간 것은 또다시 그리움이 되는 것. 요점 정리 저자 : 푸슈킨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낭만적, 달관적, 교훈적 구성 : 1연 현재의 서러움을 참고 견딜 것을 권함 2연 미래 지향적인 태도를 지닐 것을 권함 제재 : 인간의 삶 주제 : 삶에 대한 긍정적 자세, 긍정적인 삶의 자세 특징 : 삶에 대한 달관적 태도와 ‘-마라’, ‘-말리니’, ‘-것’ 등의 단정적이고 교훈적인 어조를 사용했고, 긍정적인 태도와 부정적인 태도로 나누었을 때, 긍정적인 것은 ‘기쁨’, ‘그리움’이며 ..
삼월 / 워즈워스(William Wordsworth) 수탉이 꼬꼬댄다. 시내가 흐른다. 새들이 지저귀고 호수(湖水)가 빛나고 푸른 들이 볕 속에 잠들어 있다. 늙은이도 어린것도 장정들과 함께 일하고 있다. 고개조차 들지 않고 마소가 풀을 뜯는다. 마흔 마리가 도무지 하나 같구나! 패배한 군사처럼 눈은 물러가고 산꼭대기에서나 겨우 지탱을 한다. 이따금 고함치는 소 모는 젊은이 산 속에는 기쁨 샘 속에는 생기 조각구름 떠 가고 온통 푸른 하늘 비는 멀리 가 버렸구나! 요점 정리 작자 : 워즈워스(William Wordsworth)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율격 : 내재율 성격 : 즉흥적, 전원적 제재 : 봄날 주제 : 봄날에 느끼는 생기와 기쁨 출전 : 내용 연구 푸른 별들이 볕 속에 잠들어 있다..
새벽 / 랭보(Arthur Rimbaud) / 김현 옮김 나는 여름 아침을 껴안았다. 궁전 앞에는 아직까지 아무것도 움직이지 않았다. 물은 죽었다. 망령들의 부대는 숲길을 떠나지 않았다. 생생하나 미지근한 숨결을 깨워 나는 걸어갔다. 보석들이 바라다보고 있었다. 날개들이 소리 없이 일어났다. 신선하고도 흐릿한 빛으로 벌써 가득 찬 샛길에서의 첫번째 모험은 자기 이름을 나에게 말해 주는 꽃이었다. 나는 전나무 사이에서 머리를 헝클어뜨리고 있는 금발의 폭포를 보고 웃었다. 은빛 꼭대기에서 나는 여신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나는 하나하나 베일을 걷어 올렸다. 길에서는 팔을 흔들어서, 평원에서는 수탉에게 그녀를 알려 주었다. 대도시에서 그녀는 종탑과 궁중 사이로 도망갔다. 거지처럼 대리석 부두를 달려가며, 나..
서풍의 노래 / 셸리 1. 오, 거센 서풍--그대 가을의 숨결이여. 보이지 않는 네게서 죽은 잎사귀들은 마술사를 피하는 유령처럼 쫓기는 구나. 누렇고, 검고, 창백하고, 또한 새빨간 질병에 고통받는 잎들을, 오 그대는, 시꺼먼, 겨울의 침상으로 마구 몰아가. 날개 달린 씨앗을 싣고 가면, 그것들은 무덤 속 시체처럼 싸늘하게 누워 있다가 봄의 파란 동생이 꿈꾸는 대지 위에. 나팔을 크게 불어 향기로운 꽃봉오리를 풀뜯는 떼처럼 공중으로 휘몰아서 산과 들을 생기로 가득차게 만든다. 거센 정신이여, 너는 어디서나 움직인다. 파괴자며 보존자여, 들어라, 오 들어라! 2. 네가 흘러가면 험한 하늘의 소란 가운데 헐거운 구름은 하늘과 대양의 가지에서 대지의 썩은 잎처럼 흔들려 떨어진다. 비와 번개의 사자들,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