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정지용의 작품(자기 의식 표현으로서의 시), 유리창 정지용의 이런 초기시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경항은 기본적으로는 순수 서정시의 세계라는 점이다. 이런 특징은 그가 의 창립 동인으로 중요한 활동을 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정지용과 시문학파의 동인들과는 동인 관계였을 뿐만 아니라 인간적으로도 김영랑, 김현구 등과 같이 남해와 다도해를 여행할 정도로 친근한 관계였다는 사실에서도 알 수 있다. 이런 관계 때문에서 그는 자연스럽게 순수 서정시의 옹호자, 지지가가 될 수 있었다. 그런데 문제는 박용철이나 김영랑과는 달리 정지용은 다양한 이미지를 형상화하는 모더니즘의 한 경향인 이미지즘이 동원하고 있다. 유리창 이 시는 정지용의 이미지스트적인 면모를 잘 보여주는 시의 하나이다. 그는 이 시에서 ‘슬픈, ..
鄭芝溶詩集[정지용시집]에 對[대]하야 鄭芝溶氏[정지용씨]는 朝鮮詩人中[조선시인중]에 누구보다도 詩評判[시평 판]이좋은 분인듯하다. 今日[금일]의朴八陽[박팔양], 金華山氏[김화산씨]나 또는 몇해前[전]에 自殺[자살]한 李章熙氏等[이장희씨등]과함께 寡作[과작] 이며 健實[건실]하고力量[역량]있는 詩人[시인]으로 손꼽어온것이었다. 氏 [씨]의詩人的素質[시인적소질]은 벌서 學生時代[학생시대]부터 그頭角[두 각]을 나타내었든 것으로이제에도 엣날芝溶氏[지용씨]의 詩[시]를 圓熟期 [원숙기]에入[입]한 近作[근작]보다도 좋았었다고 말하는이가 있는것을본 다. 이러한氏[씨]가 그의 親友[친우] 朴龍喆氏[박용철씨]의 努力[노력]으로 詩 集[시집]을 刊行[간행]하자 文壇一部[문단일부]에서는 暴雨[폭우]와같은 讚 辭[찬사]가..
정지용(鄭芝溶, 1903- ?) · 1927년 [조선지광]에 발표. KAPF와 대립. · 향토적인 순수 서정시 발표. · 이후 도시적인 소재로 시를 써 모더니즘적 경향을 보임. · 구인회의 일원으로도 활동. · 작품 : , , 등 · 문학 시기 구분 - 제1기 :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비관적 현실인식에 대한 비애의 정조 ( , , 그외 동시류의 초기시 ) - 제2기 : 바다의 이미지와 도시의 이미지를 추구한 모더니즘(modernism) - 제3기 : 카톨리시즘(천주교)의 신앙시와 지성, 극기, 절제의 동양적 세계관의 형이상학적 계열들의 시 ( 등) --- 시 , , , , , 정지용 문학 비평 정지용의 문학은 한국 현대시사의 전개에 있어 실로 중대한 의미로 작용해왔다. 이제 광복 43주년이 된 오늘의..
삽사리 / 정지용 그날 밤 그대의 밤을 지키던 삽사리 괴임직도 하이 짙은 울 가시사립 굳이 닫히었거니 덧문이요 미닫이오 안의 또 촉불 고요히 돌아 환히 새우었거니 눈이 치로 쌓인 고삿길 인기척도 아니하였거니 무엇에 후젓하던 맘 못 놓이길래 그리 짖었더라니 얼음 아래 잔돌 사이 뚫노라 죄죄대던 개울물 소리 기어들세라 큰 봉을 돌아 둥그레 둥긋이 넘쳐오던 이윽달도 선뜻 나려설세라 이저리 서대던 것이러냐 삽사리 그리 굴음직도 하이 내사 그댈 새레 그대 것엔들 닿을 법도 하리 삽사리 짖다 이내 허울한 나릇 도사리고 그대 벗으신 고운 신이마 위하며 자더니라. 요점 정리 지은이 : 정지용 성격 : 서정적 구성 : 주제 : 임을 사랑하는 마음 내용 연구 그날 밤 그대['삽사리와 화자가 연모하는 대상']의 밤을 지키던..
고향(故鄕) / 정지용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그리던 고향은 아니러뇨. 산꿩이 알을 품고 뻐꾸기 제철에 울건만, 마음은 제 고향 지니지 않고 머언 항구(港口)로 떠도는 구름. 오늘도 뫼끝에 홀로 오르니 흰 점꽃이 인정스레 웃고, 어린 시절에 불던 풀피리 소리 아니나고 메마른 입술에 쓰디쓰다.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그리던 하늘만이 높푸르구나. (동방평론 3호, 1932.7) 요점 정리 지은이 : 정지용 성격 : 애상적, 낭만적, 회상적 구성 : 수미상관(1, 6연) 1연 – 옛 모습을 잃어버린 고향 2연 – 변함없는 자연의 모습 3연 – 고향을 간직하지 못하는 마음 4연 – 옛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자연 5연 – 변해 버린 인간사와 상실의 아픔 6연 – 고향을 잃은 비애감 제재 : 고향 주제 : 고향 상..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