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가 가족사 소설 : 한 가족의 흥망 성쇠 내력을 다룬 소설을 말하며, 단순히 가족 구성원 간의 문제를 다룬 소설들과는 다르게 취급된다. 가족사 소설은 가족 내의 개인보다는 가족이라는 사회 집단의 움직임과 변화 양상을 중시하며, 여러 대에 걸친 가족의 역사를 추적하기 때문에 연대기 소설의 형태를 띠게 된다. 서양에서 골즈워디의 '포사이트 가의 기록' , 토마스 만의 '부덴브루크 일가' , 마르탱뒤 가르의 '티보가 사람들' 등이 가족사 소설에 해당하며, 우리 나라의 경우에는 1930 년대에 비로소 정착되었는데, 염상섭의 '삼대' , 채만식의 '태평 천하' , 김남천의 '대하' 등이 대표적 작품이다. 최근에는 박경리의 '토지' 가 이 계열의 가장 우수한 작품으로 손꼽히고 있다. 가족사 소설의 장점은 가족의 역..
파 파노라마적 기법(panorama) : 대단히 넓은 물리적 배경이나 시간적으로 장시간에 걸친 사건들을 단일한 구절로 선택하고 압축하여 요약하는 서술 기법의 하나로서, 극적 기법이 단편 소설이나 추리 소설, 의식의 흐름 수법을 보이는 소설들에서 나타나는 것이라면, 파노라마적 기법은 장편 소설, 가족사 소설, 역사 소설들에서 주요하게 사용되는 기법이다. 패러디(parody) : 일반적으로 패러디란 한 작가의 스타일이나 습관을 흉내 내어 원작을 우스꽝스럽게 개작했거나 변형시킨 작품을 가리킨다. 본질적으로 패러디는 풍자와 위트, 아이러니를 내포하고 있고, 또 이런 기법들 속에는 전대의 혹은 당대의 지배적인 신념체계 속에 내포된 억압적 특성이나 허위 의식을 폴로하려는 예술가의 태도가 반영되어 있다. 우리의 현대..
차 참여 소설 : 문학이 사회의 개혁이나 변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생각하에 쓰여지는 소설들을 일컫는 명칭이다. 이 말은 사르트르가 문학은 그 스스로를 사회적 현실이나 상황, 역사에 구속시킨다고 말한 후부터, 사회 변화에 대한 문학의 현실적 용도를 중시하고, 문학의 사회 비판적이고 실천적인 기능을 강조하는 문학 형태를 일컫는 용어로 널리 쓰이기 시작했다. 우리 나라에서 참여 문학이라는 말이 널리 유행하게 된 것은 60년대 말경부터 시작되어 70년대를 풍미했던 이른바 순수-참여 논쟁에 의해서였다. 당시의 참여문학은 정치적이고 사회 변혁적인 성격보다는 대체로 문화적이고 휴머니즘적인 성격을 강하게 내포하고 있었음을 볼 수 있다. 그 대표적 작품이 조세희의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윤홍길의 '아..
아 아이러니 (irony) : 원래는 초기 그리스 희극의 전형적 인물인 에이런(eiron)의 말과 행동 양식에 적용되었던 용어이다. 그의 상대역으로는 또 다른 전형적 인물인 허풍선이 알라존(alazon)이 있는데, 그는 허풍을 떨면서 상대방을 속여 그의 목적을 달성하려고 한다. 패배자로 등장하는 에이런은 약하고 왜소하며 교활하고 약삭빠르다. 그는 그의 힘과 지식을 숨기고 천진함을 가장함으로써 점차 알라존에 대해 승리를 거둔다. 아이러니는 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원래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즉, 그것은 겉으로 드러난 것과 실제사이의 괴리라는 뜻을 담고 있다. 아이러니의 두 가지 근본적인 유형에는 언어의 아이러니와 상황의 아이러니가 있다. 전자는 비유의 일종으로 말하는 사람이 뜻한 숨겨진 의미가 겉으로 드러..
바 반(反) 소설(anti-roman) : 소설의 전통적인 규범에서 벗어나 있는 소설들로, 독자들이 소설에서 기대하는 사실주의나 자연주의의 효과, 즉 소설이 현실을 충분히 재현함으로써 독자에게 논리적이며 정돈된 대리적 체험을 제공한다는 환상을 심어 주려 하지 않는 작품들을 말한다. 주요 특징으로는 플롯의 부재, 산만한 에피소드, 최소한의 성격적 전개, 대상의 표면에 대한 세부적 분석, 많은 반복, 어휘나 구두법, 문장의 다양한 변주 등을 꼽을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무수한 실험성이 포함된다. 대표적으로 나탈리 싸로트나 로브그리예 등의 누보 로망 계열과 우리 나라의 경우, 이인성의 '한없이 낮은 숨결로' 등이 있다. 반어 (irony) : 겉으로 나타난 말과 실질적인 의미 사이에 상반(相反) 관계가 있는 ..
라 로망스 (romance) : 애초에 로망스는 라틴어에 대한 방언이었던 '노만스' 어로 쓰여진 이야기를 일컫는 말이었는데, 그 내용이 대체로 기사들의 황당 무계한 무용담이나 연애담을 다룬 기이하고도 가공적이며 모험적인 성격을 강하게 지닌 것이었다. 문학의 발달사에서 로망스는 서사시 이후에 나타난 문학 양식으로, 근대적 개념의 소설과는 사뭇 다른 양식을 지칭한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세르반테스의 '돈 키호테' , 에밀리 브론테의 '폭풍의 언덕' , 멜빌의 '백경' 등의 작품을 들 수 있다. 리얼리즘(realism) : 사실주의(寫實主義) 경험적인 현실을 유일한 세계, 가치, 방법으로 인식하려는 문예사조(예술사조). 사실주의(또는 현실주의)는 res(실물)에 어원을 둔 realism의 역어이다.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