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요점 정리 문예 사조에 대하여 서구 정신의 두 원천 헬레니즘 : 현세주의→사실주의 헤브라이즘 : 내세주의 →낭만주의 고전주의 (이성→조화와 질서, 합의성,통일성 등을 중시) 시대 : 17~18세기 특징 : 현실 세계의 불분명한 것, 혼란스러운 것 →이성에 의해 선명한 질서와 조화의 틀에 부합되도록 만듦 (삼일치 법칙) 작가 : P. 코르네이유, J.B. 라시느, 몰리에르,J.드라이든, A.포프 등 문제 : 고존주의의 규범성, 경직성→낭만주의 낭만주의 ('질풍노도'의 분위기와 자기 표현적 성향) 시대 : 18세기 말~19세기 전반 특징 : 이성보다는 감성, 형식보다는 내용, 보편성보다 특수성, 규범의 틀보다는 개성의 자유 작가 : W.워즈워스, S.T.콜리지,J.키트, G.G. 바이런 등, ..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1960년대에 들어 미국과 유럽에서 시작된 문학·예술의 한 조류로 다양한 변화와 실험을 그 특징으로 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모더니즘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하는데 그 특징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모던이라는 용어는 전통적 형태와 표현기법으로부터의 의식적 이탈을 지칭한다. 따라서 모더니즘은 전통적 가치와 그 가치가 전달되는 수사법도 거부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보다는 개인으로서의 인간을 더 강조하며 의식보다는 무의식을 강조한다. 바로 이때문에 지크문트 프로이트와 카를 G. 융의 심리학이 모더니즘 운동의 한 맹아가 되었다. 당초 리얼리즘에 대한 반동으로 제기되었던 모더니즘은 근본적으로 반지성적이며, 인간의 이성이나 일체적 도..
실존주의(實存主義/existentialism) 세계 내의 인간 실존에 대한 해석에 힘쓰며 인간 실존의 구체성과 문제적 성격을 강조하는 철학. 주로 20세기의 철학운동으로 대표자는 독일의 마르틴 하이데거와 카를 야스퍼스, 프랑스의 가브리엘 마르셀, 장 폴 사르트르, 모리스 메를로 퐁티, 스페인의 호세 오르테가 이 가세트, 러시아의 니콜라이 베르댜예프, 이탈리아의 니콜라 아바냐노 등이다. 그러나 실존주의의 주요특징은 이미 19세기에 프리드리히 니체와 쇠렌 키에르케고르에게서 나타났다. 에트문트 후설과 G. W. F. 헤겔은 실존주의자는 아니지만 실존주의에 큰 영향을 주었다. 실존주의 사상의 성격 실존주의의 기본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존은 항상 특수하고 개별적이다. 둘째, 실존은 주로 실존의 존..
자동(自動) 기술법 무의식적 자동 작용, 브르통이 창시한 초현실주의의 시와 회화의 중요한 기법, 의식이나 의도가 없이 무의식의 세계를 무의식적 상태로 대할 때 거기서 솟구쳐 오르는 이미지를 그대로 기술하는 방법, 정신 분석학에서 정신병 환자가 무의식적으로 지껄이는 상태를 자기 자신에게 응용해서 가능한 한 빠른 속도로 지껄이는 독백, 입에 오른 사고를 비판하는 수정 없이 그대로 기록하는 것. 1919년 브르통과 수뽀의 합작으로 '자장(磁場)'이 창작되었다. 이 작품은 초현실주의의 최초의 작품이기도 하다. 자유연상법(free association/ 自由聯想法) 어떤 말을 주고 곧 생각나는 말을 반응시키는 방법. 처음에 주는 말을 자극어(刺戟語), 연상한 말을 반응어(反應語)라고 한다. 반응어의 내용을 지..
모더니즘(modernism) 1. 모더니즘(modernism)의 개념 모더니즘은 현대주의 또는 근대주의로 번역될 수 있는 용어로서 일반적으로는 기성 도덕과 전통적 권위를 반대하고 자유와 평등, 도시의 시민 생활과 기계 문명을 구가하는 사상, 예술적 사조를 의미한다. 문예 사조로서 모더니즘은 대개 두 개의 뜻을 가지는데. 넓은 의미로는 상징주의 이후에 나타난 전위 예술, 즉 인상주의, 미래파, 야수파, 미래주의,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주지주의, 이미지즘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좁은 의미로는 주지주의인 특성을 띠는 영국과 미국의 이미지즘과 모더니즘을 가리킨다. 2. 모더니즘의 시대적 조건 (1) 사회적 배경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서구 사회는 자신들이 이룩한 문명에 대해 회의에 빠지고, 사람들은 안..
고답파(parnassienne, Ecole/ 高踏派) 19세기 후반 프랑스에서 낭만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생긴 프랑스 근대시의 한 유파로 그리스 신화의 아폴로(아폴론)와 뮤즈가 살았다는 파르나소스산(山)에서 딴 명칭이다. 1866년에 출판업자인 르메르가 르콩트 드 릴, C.맹데스, C.프뤼돔, J.M.de 에레디아, F.코페 등의 시를 모아 '현대 고답시집:Le Parnasse contemporain'이라는 사화집(詞華集)을 출판한 후부터 이들 시인을 고답파라 부르게 되었다. 선구자로는 테오필 고티에와 테오도르 드 방빌이 있다. 1871년과 1876년에 다시 같은 이름의 사화집이 속간되었고, P.베를렌과 S.말라르메도 참가하였다. 고답파의 시풍은 감상적인 심정 토로를 일삼던 낭만파 시에 대한 반동으..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