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청 명 / 김영랑 호르 호르르 호르르르 가을 아침 취어진 청명을 마시며 거닐면 수풀이 호르르 벌레가 호르르르 청명은 내 머리 속 가슴 속을 젖어들어 발끝 손끝으로 새여 나가나니 온 살결 터럭끝은 모두 눈이요 입이라 나는 수풀의 정을 알 수 있고 벌레의 예지를 알 수 있다 그리하여 나도 이 아침 청명의 가장 곱지 못한 노래꾼이 된다 수풀과 벌레는 자고 깨인 어린애 밤 새여 빨고도 이슬은 남았다 남았거든 나를 주라 나는 이 청명에도 주리나니 방에 문을 달고 벽을 향해 숨쉬지 않았느뇨 햇발이 처음 쏟아지면 청명은 갑자기 으리으리한 관을 쓰고 그때에 토록하고 동백 한 알은 빠지나니 오! 그 빛남 그 고요함 간밤에 하늘을 쫓긴 별살의 흐름이 저리했다 왼 소리의 앞소리요 왼 빛깔의 비롯이라 이 청명에 포근 취어진 ..
嘉實[가실] / 이광수 一[일] 때는 김 유신이 한창 들날리던 신라 말이다. 가을 볕이 째듯이 비치인 마 당에는 벼 낟가리, 콩 낟가리, 모밀 낟가리들이 우뚝우뚝 섰다. 마당 한쪽 에는 겨우내 때일 통나무더미가 있다. 그 나무더미 밑에 어떤 열 예닐곱살 된 어여쁘고도 튼튼한 처녀가 통나무에 걸터앉아서 남쪽 한길을 바라보고 울고 있다. 이때에 어떤 젊은 농군 하나이 큰 도끼를 메고 마당으로 들어오 다가, 처녀가 앉아 우는 것을 보고 우뚝 서며, 『아기, 왜 울어요?』 하고 은근한 목소리로 묻는다. 처녀는 깜짝 놀라는 듯이 한길을 바라보던 눈물 고인 눈으로 그 젊은 농군을 쳐다보고 가만히 일어나며, 『나라에서 아버지를 부르신대요.』 하고 치마 고름으로 눈물을 씻으며 우는 양을 감추려는 듯이 외면을 하고 돌아..
황홀한 달빛 / 김영랑 황홀한 달빛 바다는 은(銀)장 천지는 꿈인 양 이리 고요하다 부르면 내려올 듯 정든 달은 맑고 은은한 노래 울려날 듯 저 은장 위에 떨어진단들 달이야 설마 깨어질라고 떨어져 보라 저 달 어서 떨어져라 그 혼란스럼 아름다운 천둥 지둥 호젓한 삼경 산 위에 홀히 꿈꾸는 바다 깨울 수 없다
푸른 향물/ 김영랑 푸른 향물 흘러버린 어덕 위에 내 마음避署地[피서지] 巡禮[순례] ─ 設問答[설문답]〔名士推薦[명사추천]〕 지명(地名) : 내금강 마하연(內金剛 摩詞衍)이나 표훈사(表訓寺). 노순(路順) : 만인이 다 아시는 길. 비용: 일삭(一朔) 월액(月額) 육칠십 원. 特長[특장] : 만폭동(萬瀑洞), 명경대(明鏡臺), 영원암(靈源菴), 수렴동 (水廉洞), 망군대(望軍臺), 수미암(須彌菴), 선암(船菴), 강선대(降仙臺), 비로수즉수미제봉(毘盧水即須彌諸峯), 유고사(楡枯寺), 구룡연(九龍淵), 옥 류동(玉流洞) 모두 하룻길 한나절 길이요, 백운대(白雲臺)가 침상(寢床)이 요, 중향성(衆香城)이 병풍(屛風)이니 잠자리도 편하고 연인 동반(戀人同 伴)이시면 그 분만은 불지암(佛地菴)에 맡기시고 조석..
허리띠 매는 시악시 / 김영랑 허리띠 매는 시악시 마음실같이 꽃가지에 은은한 그늘이 지면 흰날의 내 가슴 아지랭이 낀다 흰날의 내 가슴 아지랭이 낀다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