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현대문학에 나타난 처용 1. 처용이 나타난 시들 가. 정일근 -처용의 도시 술 취한 처용(處容) 씨(33세. 울산시 남구 개운동)가 공업탑 로터리에서 춤을 춘다. 그의 아니는 일주일째 집에 돌아오지 않고 있다. 이 도시의 상징인 푸른 작업복은 누런 때에 찌들었으며 어린 아이와 늙은 어머니는 오늘 저녁도 라면으로 끼니를 때웠으리라. 달 밝은 그날 밤 야근을 하지 않고 돌아온 것이 잘못이었을까 역신(疫神)같이 건장했던 그 사내를 용서한 것이 잘못이었을까. 공업화로 일찍 시든 그의 청춘 때문인가. 하루하루 몸은 야위어 가고 다달이 월급봉투는 기름져 갔다. 검은 강은 입안부터 썩어 가 구취를 풍기고 떠나간 물고기와 새들은 다시 돌아오지 않았다. 누구는 호텔 나이트클럽에서 전라의 춤을 추는 아내를 보았다고 했다...
처용은 누구인가? 1. 불교적 측면 1) 설화에 언급된 관용적 행동으로 보아 처용을 佛子로 보는 견해 - 황패강 이 관점은 "중생홍화(衆生弘化)에 나선 호법(護法)의 龍子 곧 佛子"로 보는 것인데, 이는 처용이 佛法弘化의 覺月 아래에서 衆生敎化의 가무를 하고 나서 집으로 돌아와 범처(犯妻)의 현장을 목격한 후 이욕무사(離欲無私)의 심경으로 춤을 추며 물러 나와 역신을 교화시켜 물러나게 만들었다고 본 견해이다. 그의 가무는 세속적인 감정 처리의 위장이 아니며, 자학적인 代償행위는 더욱 아니다. 그에게 비애가 있었다면, ‘빼앗긴’ 그것에가 아니고, ‘빼앗고 빼앗기는’ 인간 존재의 허무에 향해져 있는 것이다. 여기서는 특히 '달'의 이미지는 佛經에서 佛身이나 覺의 경지를 상징하는 것으로, 처용의 가무를 無我의..
2. 처용이 나타난 소설 가. 김 춘수 - 처용을 소재로 한 시를 많이 쓴 김 춘수는 또 소설을 발표한 바 있다. 소설 은 또래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외롭게 성장했던 김 춘수 본인의 자전소설이라고 알려져 있다. 시 은 소설 과 내용 면에서 많은 상관관계를 갖는다. 소설 의 줄거리 1) 한복의 바지에다 오줌을 싸게 된 나는 처녀 선생님에게 아랫도리를 벗기고, 몸이 씻긴 뒤 숙직실에 혼자 눕혀지게 된다. 나는 몰래 일어나 바짓가랑이에 다리를 집어넣고 숙직실을 빠져 나와 탱자나무울이 처진 원장 선생님의 집께로 간다. 이층 한가운뎃 방에 원장 선생님의 남편이 앞뒤로 잘 흔들리는 커다란 나무의자에 몸을 묻고 의자를 흔들며 책을 읽는 것이 보인다. 그는 호주에서 온 선교사였다. 구렁으로 가 볼까. 아침에 입술이 불같..
계녀가사(誡女歌辭) 시집가는 딸에게 시집살이의 규범을 가르치기 위하여 지은 가사. 규방가사(閨房歌辭) 혹은 내방가사(內房歌辭)의 한 갈래로 규방가사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계녀가사는 작품 전개에 있어서 독특한 유형적 구조를 갖추고 있다. 제목도 계녀가(戒女歌)·계녀사(戒女辭)·계아가(戒兒歌)·경계가(警戒歌)·여아경계가(女兒警戒歌)·교녀가(敎女歌)·교훈가(敎訓歌)·여자유행가(女子留行歌)·규중가(閨中歌)·규중행실가(閨中行實歌)·훈계가(訓戒歌)·귀녀가(貴女歌)·경계초(警戒抄)·여자행신법(女子行身法)·복선화음가(福善禍淫歌)·훈시가(訓示歌)·규문전회록(閨門傳懷錄)·행실교훈가(行實敎訓歌) 등 다양하다. 그러나 계녀가사로서의 유형적 구조를 온전하게 갖춘 작품은 거의 다 ‘계녀가’로 되어 있으므로, 이 유형을 총괄하여..
기생에게 지어 주다 처음 만났을 때는 어울리기 어렵더니 이제는 가장 가까운 사이가 되었네. 주선(酒仙)이 시은(市隱)과 사귀는데 이 여협객은 문장가일세. 정을 통하려는 뜻이 거의 합해지자 달그림자까지 합해서 세 모습이 새로워라. 서로 손 잡고 달빛 따라 동쪽 성곽을 거닐다가 매화꽃 떨어지듯 취해서 쓰러지네. 贈妓 증기 却把難同調 還爲一席親 각파난동조 환위일석친 酒仙交市隱 女俠是文人 주선교시은 여협시문인 太半衿期合 成三意態新 태반금기합 성삼의태신 相携東郭月 醉倒落梅春 상휴동곽월 취도락매춘 *주선(酒仙)은 술을 즐기는 김삿갓 자신. 시은(市隱)은 도회지에 살면서도 은자같이 지내는 사람. 이백(李白)의 시 '월하독작'(月下獨酌)에 "擧杯邀明月 對影成三人"이라고 하여 달, 자신, 자신의 그림자가 모여 셋이 되었..
토끼전 - 박봉술 창본 수궁가(水宮歌)- 세재(歲在) 지정(至正) 갑신년(甲申年) 중하월(仲夏月)에 남해 광리왕(廣利王)이 영덕전(靈德殿) 새로 짓고, 복일(卜日) 낙성연(落成宴)에 대연을 배설(排設)하여 삼해 용왕을 청하니, 군신빈객(君臣賓客)이 천승만기(千乘萬騎)라. 귀중(貴重) 연(筵)에 궤좌( 坐)하고 격금고이명고(擊琴鼓而鳴鼓)로다. 삼일을 즐기더니, 남해 용왕이 해내(海內) 열풍(熱風)을 과(過)히 쏘여 우연 득병허니, 만무회춘지도(萬無回春之道)하고 난구명의(難求名醫) 지구(至久)라. 명의 얻을 길이 없어, 용왕이 영덕전 높은 집에 벗 없이 홀로 누워 탄식을 허는듸, 탑상(榻牀)을 탕탕 뚜다리며 용왕이 운다. 용이 운다. "천무열풍(天無熱風) 좋은 시절, 해불양파(海不揚波) 태평헌듸, 용왕의 기..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