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설화 속의 호랑이 / 최운식(崔雲植) 호랑이는 우리 민족의 건국 신화인 단군 신화에서부터 등장한다. 호랑이는 고려 시대의 기록이나 최근에 조사된 민속 자료에서는 산신(山神)으로 나타나는데, ‘산 손님’, ‘산신령’, ‘산군(山君)’, ‘산돌이’, ‘산 지킴이’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이처럼 신성시된 호랑이가 우리의 설화나 민화 속에서는 여러 가지 모습으로 나타난다. 설화나 민화 속에서 우리는 무서운 호랑이, 익살스런 호랑이, 정이 철철 넘치는 호랑이, 신이(神異)한 호랑이를 만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우리 민족의 삶의 모습이 설화 속의 호랑이를 통해 어떻게 형상화되어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호랑이는 가축을 해치고 사람을 다치게 하는 일이 많았던 모양이다. 그래서 설화 중에는 사람이나 가축이 호랑이한테 ..
바리데기 바리데기 바리 공주야 옛날, 우리 나라에 삼나라라고 있었다. 이 나라에는 어비 대왕이라는 훌륭한 임금님이 나라를 잘 다스리고 있었는데, 한 가지 아쉬운 것은 낮에는 나랏일로 시간을 보낸다지만 밤이면 무척 고독하였으니, 바로 중전이 계시지 아니한 것이다. “안 되겠다. 내 나이 이제 이팔청춘이니 중전을 맞이해야겠다. 전국에 간택령을 내려라. 여러 신하들은 왕비감을 찾아오라.” 이런 바람에 전국이 술렁이었다. 누가 왕비가 될 것인가? 한 번 뽑고, 두 번 뽑고, 세 번 뽑고……. 속속 진행이 되는 중에 길대 부인이라는 중전감이 등장하였다. 어여쁘기도 할싸, 너그럽기도 할싸, 어디 하나 나무랄 데가 없는 왕비감이로다. 어비 대왕은 대만족이었다. 한시바삐 중전과 함께 지내고 싶었다. 그러나 이전 풍습대..
원숭이와 거북 이야기 ‘마히르’라는 이름을 가진 원숭이가 살았습니다. 그는 원숭이들의 왕으로, 영리하고 재주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나이를 먹으면서 몸이 쇠약해지자 젊은 원숭이들이 공격을 하였고, 마침내는 왕의 자리에서 쫓겨나고 말았습니다. 마히르는 바닷가로 피신해서 한 무화과나무 위에 거처를 정했습니다. 어느 날, 마히르는 무화과를 따 먹다가 그 중의 한 개를 물에 빠뜨렸습니다. ‘퐁당’ 하는 소리가 아름다운 장단으로 들려왔습니다. 이에 흥미를 느낀 마히르는 무화과를 먹고 던지고 하면서 흥겨운 가락을 즐기기 시작했습니다. 날이 갈수록 마히르는 이 놀이에 빠졌습니다. 그런데 마히르의 이런 놀이 덕분에 포식을 하게 된 이가 생겨났으니 바로 나무 밑을 거닐던 거북이었습니다. 거북은 무화과가 떨어질 때마다 바쁘..
장자(長者)못 전설 / 황해도 옹진군 부민면 부암리 전설 부암리(婦岩里, 부인 바위가 있는 마을)는 인근의 다른 마을에 비하여 부유한 마을이었다. 이 마을에 김 부자가 살고 있었는데 그는 성품이 교활하고 인색하기 짝이 없었다. 얼마나 인색한 지 마을의 어린애들까지 손가락질을 할 정도였다. 그런데 이 김 부자 집의 며느리 윤씨 부인만은 달랐다. 그녀는 조신(操身, 몸가짐이 얌전함)하고 부덕(婦德, 여인이 갖추어야 할 덕)을 지닌 사람이었다. 한가위가 얼마 남지 않은 어느 날, 김 부자는 광에 가득 쌓인 볏섬을 둘러보고 매우 흐뭇한 기분에 젖어 있었다. 이 때 대문 밖에서 목탁 소리가 들려 왔다. 김 부자는 어느 절의 동냥 중이 왔겠거니 하면서 넓은 대청에 올라앉아 장죽을 빨고 있었다. 그는 인색한 성품 때..
흥륜사벽화보현설화 흥륜사에 10여일간 제석(帝釋)이 내려와 머물렀다는 내용의 설화. 불교의 영이(靈異)를 실제로 나타나게 하여 세상사람들을 감동시킨 설화로 ≪삼국유사≫ 권3 탑상편(塔像篇)에 실려 있다. 신라 제54대 경명왕 때, 흥륜사의 남문과 좌우 건물이 불타서 정화(靖和)·단계(占繼) 두 승려가 시주를 모집하여 수리할 계획을 세웠다. 마침 제석이 절의 좌경루(左經樓)에 내려와 10여일을 머물렀다. 그러자 절의 건물이며 탑, 그리고 초목토석에 이르기까지 향기가 나고 오색구름이 절을 덮었으며, 남지(南池)의 어룡들이 기뻐 뛰놀았다. 이 소식을 들은 나랏 사람들이 몰려들어 감탄하고 비단과 보물이며 곡식을 자진하여 바쳤고, 공장(工匠)들이 자진하여 공사를 서둘러 하루만에 복구를 완성하였다..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