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제석본풀이 (장고 반주가 멎는다. 장고 잽이가 장고 반주 없이 사설을 받아 무대의 흥을 돋운다.) ((말로)) 무녀 이렇게 개명경(開門經)으로 치니 아홉방 고방문(庫房門)이 쟁?던 문이 다~~열리 집니다 열어 났으니 아기씨요 동냥이나 좀 주시요 옥단춘아 아버님 잡꺖던 쌀독에 쌀 한바릿대 떠다드려라 아버님 쌀독에 쌀뜨러 가니 부처님 도술(道術)로 청룡(靑龍)이 구부로 치도로 맨들아 놓고 잽이 야 무녀 어머님 쌀독에느 항룡(黃龍)이 구부로 치도로 맨들아 놓고 아홉성제 오라버니 쌀독에는 청학(靑鶴) 백학(白鶴)이 알을 품도록 맨들아 놓고 잽이 야 무녀 또 당금애기 쌀독에는 납짝 거무가 줄을 살~짝 쳐났구나 쌀뜨러갔는 사람 눈에 아이고 아기씨요 무섭어서 무섭어서 못뜨겠십니더 대리 왔다 하이 스님이..
성조(成造) 푸리 (성주신 神歌) 성조부친(成造父親) 천궁대왕(天宮大王) 나히 설흔 일곱이오, 성조모친(成造母親) 옥진부인(玉眞夫人) 나히 설흔 아홉이라. 양주(兩主) 나히 연당사십(年當四十) 근(近)하도록 슬하(膝下)에 일점혈육(一點血肉)이 업서, 매일 부부(夫婦) 한탄(恨歎)할 제, 한 날은 복사(卜師)를 청(請)하야 문복(問卜)하니, 기복사점지(其卜師占之) 왈(曰). 삼십전(三十前) 자식(子息)은 팔자(八字)로 두거니와, 사십전(四十前) 자식(子息)은 선심(善心)으로 수공(修功)하고, 불전(佛前)에 치성(致誠)하면, 생남부귀(生男富貴)한다 하니, 부인이 그 말 듣고, 왼갓 공(功)을 다 드릴 제 고산(高山)에 송죽(松竹)하고 비혀 천문(天門)에 기도(祈禱)하고 지장에 금토놋코 금은채단 갓..
바리데기(바리 공주) (전략) [창] 그 길로 돌아와여 군노 사령(軍奴司令) 거동 보소. 문안 드리요, 공주(公主)를 탄생했나이까, 태자(太子)를 탄생했나이까. 이 때야 옥단춘이가 나가드니마는, 공주를 탄생했다고 분부를 아뢰여라. 이 때야 군노 사령 그 질로 들어간다. 월렁 소리 월렁월렁 방울 소리 당글당글 우루루루 들어가여 대왕님 전(前)에 아뢸 적에 오귀 대왕님요, 대비마마 길대 부인이 공주를 탄생했나이다. 엎드려서 훌쩍훌쩍 우니 [말] 여봐라. 그 말이 참말이냐. 앉았다가 벌떡 일어서며 화랑 같은 고함을 지른다. 야야 이놈아, 그 말이 참말이냐. 그 말이 참말이거들랑 네가 나를 속이는 수가 있는구나. 딸을 여섯을 놓고 일곱여째 공들여 놓은 자식 아들을 놓게 되며는 명(命) 길라고 원래 속..
문전본풀이 옛날 옛적 남선고을 남선비와 여산고을 여산 부인이 살고 있을 때, 집안은 가난하고 아들은 낳는다는 것이 일곱 형제가 태어나옵디다. 하루는 여산 부인이 말을 하되, "우리가 이렇게 해서는 자식들도 많이 살 수가 없으니 무곡장사나 해 보는 것이 어떻습니까?" " 어서 그것은 그렇게 해라." 남선비는 전배독선(全船獨船을) 잡아 놓고 처가속과 어린 자식을 이별하여 남선고을 떠나 바람 부는 대로 , 물결이 일어나는 대로, 물결이 일어나는 대로 가는 것이 오동나라 오동고을로 들어갔습니다. 오동나라 오동고을 노일제데귀일의 딸이 남선고을 남선비가 전배독선을 잡아타고 무곡장사 왔다는 소식을 듣고 , 하루는 오동나라 선창가에 가고 보니 남선비가 전배독선을 타고 왔으니 없는 아양을 사뭇 떨면서, "..
무가(巫歌) '구비문학' 무속적(巫俗的) 의례(儀禮)에 의하여 읊어지는 노래의 총칭으로, 따라서 무격(巫覡)이나 무속(巫俗)을 떠나서 무가는 존재할 수 없다. 일반대중이 무가의 일부를 암기하여 부른다고 해도 그것은 무가라고 하기 어렵다. 따라서 무가는 다른 구비(口碑)물과 구별되는 몇 가지의 특징이 있다. 첫째, 주술(呪術)성이 있다. 무가는 어느 것이거나 주술적인 성격이 있다. 무가 이외에 민요에도 주술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지신(地神) 밟기요(謠)와 같은 민요는 무가 중 축원이나 덕담(德談)과 같은 내용으로 되어 있고, 그것은 기복(祈福)·]방재(防災)의 구실을 한다는 면에서 주력(呪力)을 인정할 수 있다. 그러나 민요의 주술성은 민요 전반의 특성이 못되며, 민요 가운데 무가나 기타 종교..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