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시의 심상 (이미지, image) (1) 심상(image)의 개념 시에 있어서의 '이미지[心象]'란 언어를 통해 표현된 구체적 형상이나 그와 관련되는 추상적인 관념들을 말한다. 즉 시적 언어를 통해 어떤 형상이 우리의 머리 속에 그려질 수 있으며, 나아가 그 형상과 관련된 여러 가지 관념이 함께 연상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체적 형상 또는 그와 관련된 추상적 관념들이 바로 시에서 '이미지'라고 불리는 것이다. 연상되는 감각적 인상 → 감각적 이미지 연상되는 추상적 관념 → 상징적 이미지 감각적·직관적으로 주어지는 구체적인 상(象). 반드시 오관(五官)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지각되지 않더라도 뇌리에 생생하게 그려낼 수 있는 것이면 된다. 개념적 사고에 의하여 파악되는 것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감..
시의 표현 (1) 비유(比喩, metaphor) ① 비유란 말하고자 하는 사물이나 의미를 다른 사물에 빗대어서 표현하는 방법이다. ② 비유에는 표현하고자 하는 것(원관념)과 비유하는 사물(보조 관념)의 상관 관계가 성립된다. 즉 원관념과 보조 관념 사이에 유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유사성이 있어야 한다. ③ 대개의 경우 비유는 표현의 구체성, 직접성, 선명성을 높이는 수단이 되며, 일상어에도 없는 것은 아니지만 시에서 특히 많이 쓰인다. ④ 비유의 종류 ㈀ 직유(直喩) : 원관념과 보조 관념을 '∼처럼', '∼같은', '∼인듯'과 같은 말로 직접 연결시키는 표현 기법→ 유사성 ㈁ 은유(隱喩) : 원관념과 보조 관념을 'A=B' 또는 'A=B 이다'로 연결하는 방법→동일성 ㈂ 대유(代喩..
시의 언어 (1) 시어의 개념 시의 언어는 시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일상어이면서도 일상어 속에 용해 될 수 없는 풍부하고 다양한 정서적 의미와 독자성을 갖는 언어다. (2) 언어의 두 가지 측면 ① 지시적 의미[외연, 사전적 의미, 개념 표시] 사전에 정의된 대로의 말의 일반적 의미, 즉 사회적으로 공인된 비개인적 의미이며 모든 사람에게 같은 뜻으로 파악되는 언어로, 이는 객관적 논술이나 설명에 쓰인다. ② 함축적 의미[내포, 정서 환기] 지시적 의미를 구체적인 문맥 속에서 확대, 심화시킨 언어가 지닌 다의적, 암시적, 상징적인 의미로 독자의 감각적 정서적 반응을 불러 일으키는 글(문학, 광고 등)에 쓰인다. (3) 시어의 특성 ① 시어는 함축적 의미를 지닌다. ② 시어는 운율을 지닌다...
시의 운율 1) 정의 (1) 운(韻) : 같거나 비슷한 음이 규칙적으로 시행이나 연의 일정한 위치에서 반복되는 것이다. (2) 율격(律格) : 수량적, 기계적으로 반복되는 소리의 양식이다. ① 음절 율격 : 시의 행을 구성하는 말이 일정한 음절의 수에 따라 선택, 정돈된 것이다. 남유럽계의 시와 일본 시가 여기에 해당한다. ② 소리값 율격 : 각 음절의 고저 장단을 변화 있게 조직한 단위들로 이루어진 것이다. ③ 강세 율격 : 시행이 일정 수의 강세를 담고 있는 율격이다. ④ 강세 음절 율격 : 강세와 음절의 수를 모두 일정하게 한 율격이다. 운율의 개념 시에 있어서의 소리의 효과에 관한 일체의 현상을 총칭하여 운율이라 한다. 운율은 리듬보다는 좀 넓은 개념이다. 운율은 '운(韻)'..
시의 갈래 (1) 형식에 따른 갈래 ① 정형시(定型試) : 한시나 시조처럼 일정한 운율적 형식의 제약을 받는 시. 외형률을 주축으로 한다.동양의 정형시는 보통 음수율·음위율·압운(押韻)·음성률(음의 고저장단)에 의해 형성된다. 우리 나라의 경우에는 자수율에 의해서 지배되거나 음보율을 지닌 정형시다. 이런 정형시는 각 나라마다 제 나름대로의 언어적 특성이나 양식에 따라 고유한 형식을 갖는 것이 특성이다. 일본의 단가(短歌)는 5.7.5.7.7의 5구 31음의 자수율을 이루고 중국의 시는 절구(絶句)·율시(律詩)·배율(排律) 등의 제약을 받으며 정형시를 이룬다. (서양의 소네트, 근체의 한시, 우리나라의 향가나 시조 등이 해당된다.) ② 자유시(自由詩) : 정형시가 지닌 형식적 제약에서 벗어난 자..
시의 요소 (1) 구성 요소 ① 음악적 요소 : 시의 운율[음성, 리듬(rhythm)]→ 순수시에서 중시 ② 회화적 요소 : 시의 심상[이미지(image)]→ 주지시, 회화시에서 중시 ③ 의미적 요소 : 시의 사상과 정서→ 관념시, 철학시에서 중시 ④ 분위기와 느낌의 요소 : 어조[말투] ※ 시는 언어 예술이므로 위의 네 가지 요소가 조화를 이루어 표현되어야 훌륭한 시라고 할 수 있다. (2) 내용 요소 ① 주제(主題) : 시에 담긴 중심 사상 ② 제재(題材) : 가장 중심되는 소재 ③ 소재(素材) : 시의 내용을 이루는 중요한 재료 ④ 이미지(心象) : 시를 읽거나 들을때, 마음 속에 떠오르는 감각적 인상 (3) 형식 요소 ① 시어(詩語) : 시인의 사상 감정을 표출한 함축적 의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