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 참고자료 - 광야를 통해 본 육사의 역사 의식과 예술 의식 육사의 대표작 중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이 시는 육사 시의 면모를 종합적으로 제시해 준다. 먼저 그것은 구성면에서 찾아볼 수 있다. 형식적인 구성은 다섯 연으로 짜여져 있는데 내용상으로는 기․승․전․결이라는 육사시의 기본 구성법을 취하고 있다. 즉 1,2연이 기, 3연이 승, 4연이 전, 그리고 5연이 결에 해당한다. 이러한 기․승․전․결 구성법은 다시 선경후정법, 즉 앞의 두 부분에서는 정경을 묘사하고 뒷 부분에서는 심정을 표출하는 전통적인 한시 작법에 의지하고 있는 것이다. 그만큼 육사의 작시법 또는 시의식이 전통적인 것에 뿌리 내리고 있다는 증좌가 된다. 먼저 첫 기단락에서는 광야의 모습이 묘사된다. 그리고 첫 연에서는 시간성이, 둘째 연..
이육사(李陸史, 본성명 이활·李活, 이원록, 이원삼 1905-1944) · 시인, 독립운동가. 경북 안동군 도산면 원촌리 생. 진성 이씨. 퇴계 이황의 14대 손 · 5세 때부터 조부로부터 한문 수학, 그후 신학문 수학, 20세 때 대구 남산동 662 번지로 이사 · 1927년 형(원기), 동생(원조-문학평론가, 원일)과 함께 독립운동단체인 정의부 군정서 에 가입하여 독입운동을 하다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사건의 피의자로 검거, 이 때 학생인 원조는 풀려 나오고 3형제는 2년 7개월간 옥고를 치름 (아호인 ‘육사’는 이 때의 수인 (囚人) 번호 64 혹은 264번의 음을 딴 것으로 알려져 있다. · 1929년(26세)에 조선일보 대구 지사를 경영하면서 기자로 활동 · 1930년(27세) 대구격문사선에 연루..
꽃 / 이육사 동방은 하늘도 다 끝나고 비 한 방울 내리잖는 그때에도 오히려 꽃은 빨갛게 피지 않는가? 내 목숨을 꾸며 쉬임 없는 날이여. 북(北)쪽 툰드라에도 찬 새벽은 눈 속 깊이 꽃 맹아리*가 옴작거려 제비 떼 까맣게 날아오길 기다리나니 마침내 저버리지 못할 약속이여. 한바다 복판 용솟음치는 곳 바람결 따라 타오르는 꽃 성(城)에는 나비처럼 취(醉)하는 회상(回想)의 무리들아. 오늘 내 여기서 너를 불러 보노라. * 맹아리 : 꽃망울의 경상북도 방언. 에서 보여 준 안식과 평화를 향한 육사의 의지는 , 와 같은 비극적 자아 인식으로 깊어져 삶의 비약적 상승과 희망을 꿈꾸는 이 이란 작품으로 개화하게 된다. 극한의 식민지 시대 상황 속에서도 ‘기다림’과 ‘믿음’의 강인한 의지를 표출하고 있는 이 시는..
황혼(黃昏) - 이육사 내 ㉠골방의 커튼을 걷고 정성된 마음으로 ㉡황혼을 맞아들이노니 바다의 흰 갈매기들같이도 인간은 얼마나 외로운 것이냐. 황혼아, 네 부드러운 손을 힘껏 내밀라. 내 뜨거운 입술을 맘대로 맞추어 보련다. 그리고 네 품안에 안긴 ㉢모든 것에게 나의 입술을 보내게 해 다오. 저― 십이(十二) 성좌(星座)의 반짝이는 별들에게도, 종소리 저문 삼림(森林) 속 그윽한 수녀(修女)들에게도, 시멘트 장판 위 그 많은 수인(囚人)들에게도, 의지 가지 없는 그들의 심장(心臟)이 얼마나 떨고 있는가. 고비사막(沙漠)을 걸어가는 낙타(駱駝) 탄 행상대(行商隊)에게나, 아프리카 녹음(綠陰) 속 활 쏘는 토인(土人)들에게라도, 황혼아, 네 부드러운 품안에 안기는 동안이라도 지구(地球)의 반(半)쪽만을 나의 ..
청포도(靑葡萄) / 이육사 내 고장 칠월은 청포도가 익어 가는 시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저리주저리 열리고 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열고 흰 돛 단 배가 곱게 밀려서 오면, 내가 바라는 손님은 고달픈 몸으로 청포(靑袍)를 입고 찾아온다고 했으니, 내 그를 맞아 이 포도를 따 먹으면 두 손은 함뿍 적셔도 좋으련, 아이야, 우리 식탁엔 은쟁반에 하이얀 모시 수건을 마련해 두렴. 요점 정리 지은이 : 이육사(李陸史)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율격 : 내재율(4음보. 3음보) 성격 : 감각적. 상징적, 향토적, 낭만적, 미래 지향적 어조 : 고백적 어조 구성 : 기·승·전·결의 4단 구성 1연 : 고향을 떠 올림(시각적 심상의 '청포도'를 통해 고향의 이미지를 구체적..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