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시리 / 요약정리 및 분석
- 고려가요
- · 2021. 6. 5.
반응형
1. 고려 속요의 특징 1) 배경 : 평민들이 향유한 평민문학 (당시의 사회상이 잘 반영됨. 구전되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 문자로 정착되었기에 많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정) 2) 형식 : 대부분 연시(聯詩) - 분장체(分章體) 3․3․2조, 3․3․4조 4․4․4조 등(후렴구 가짐) 3) 내용 : 현세적 / 향락적 / 남녀간의 솔직한 애정 4) 표현기교의 특징 : 3음보가 주조를 이룸. 음운의 교묘한 배합, 유음과 유성음의 조화, 동음이나 첩어의 반복 등 비유법과 상징법 구사 5) 문헌 정착 : 구전되다가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고려사] ‘악지’에 정착됨 2. ‘청산별곡’의 시대적 배경 청산별곡의 창작 시기는 고려 후기 무신의 집권과 몽골의 침입으로 인하여 고려 전체가 내우 외환..
서경별곡 서경(西京)이 아즐가 서경(西京)이 셔울히 마르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닷곤대 아즐가 닷곤대 쇼셩경 고외마른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여해므론 아즐가 여해므론 질삼뵈 바리시고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괴시란대 아즐가 괴시란대 우러곰 좃니노이다.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이별의 거부와 연모의 정 구스리 아즐가 구스리 바회예 디신달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긴히딴 아즐가 긴힛딴 그츠리잇가 나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즈믄해를 아즐가 즈믄해를 외오곰 녀신달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신(信)잇단 아즐가 신(信)잇단 그츠리잇가 나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변함없는 사랑과 믿음의 맹세 대동강(大同江) 아즐가 대동강(大同江) 너븐디 몰라셔 위 두어렁셩..
고려 속요(高麗歌謠) 연구 고려시대의 시가(詩歌). 주로 민중 사이에 널리 전해진 속요(俗謠)를 뜻한다. 넓은 뜻으로는 고려시가(高麗詩歌) 모두를 포함하며 ‘고려가사(高麗歌詞)’, ‘고려가요’ 줄여서 ‘여요(麗謠)’, 또는 ‘고려장가(高麗長歌)’라는 이름으로 통한다. 그러나 좁은 뜻으로는《한림별곡(翰林別曲)》,《관동별곡(關東別曲)》,《죽계별곡(竹溪別曲)》등 한문계(漢文系) 시가는 경기체가(景幾體歌) 또는 별곡체(別曲體)라하고,《청산별곡(靑山別曲)》,《서경별곡(西京別曲)》,《만전춘(滿殿春)》,《가시리》등의 시가를 흔히 속요라 하고 있다. 그런데 경기체가와 속요는 형태상 분명한 공통점이 있다 하여, 고려시대의 시가를 전체적으로 포괄하여 가요나 장가라는 명칭보다는 ‘별곡’이라는 명칭이 적절하다는 견해가 있다...
청산별곡의 민요적 특징 청산별곡의 바탕이 민요였으리라는 점을 말해주는 증거는 무엇보다도 먼저 그 악곡상의 특징에서 찾을 수 있다. 시용향악보에서 가사 중 제1장만 수록하고 나머지 장들은 같은 곡조를 되풀이한 것이라 생략한 데에서도 알 수 있듯이 청산별곡은 사설만 바뀌어 가면서 계속 반복되는 악곡과 매우 간단한 가요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일정한 자리에서 여음을 되풀이함으로써 언어 바뀜을 나타내고 있을 따름이다. 이 같은 특징의 악곡은 널리 알려진 강강술래, 쾌지나 칭칭나네처럼 한 사람이 사설을 매기면서 여럿이 후렴으로 받는 선후창 형식의 민요와 잘 어울리는 것이다. 또한 선후창 형식의 민요가 일반적으로 그러하듯이 청산별곡의 바탕이 된 민요 역시 원래는 끝없이 이어지는 노래여서 특정한 종결부를 갖지 않았을..
가. 청산별곡 작품 해설 청산별곡이 주는 감동은 상황적 역설이라는 정서적 공통 분모에 근거한다. 누구에게나 삶이 있는 한 그것은 괴로움의 연속이다. 사람이 언제나 피안을 지향하고 현실에서 떠나고자 하는 마음을 갖게 되는 것은 삶의 본질이 그러하기 때문이다. 문학은 바로 이러한 삶의 갈등에서 출발한다. 누구에게나 삶의 괴로움은 있게 마련이므로 그러한 갈등으로부터의 현실 도피가 공감의 요소가 된다. 이 노래에 나타난 청산도 그러한 가정일 뿐 서정적 자아는 현실 속에 있다. 이 노래의 감동은 시름 많은 세상에서 어디론가 떠나 버렸으면 하는 인간의 보편적 정서인 상황적 역설과 관련된다. 나. 청산별곡 시의 특성 ◦고려 속요의 전형적인 형식을 보여 준다. ◦고도의 상징과 비유적 표현으로 뛰어난 문학성을 보인다.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