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형장가(刑杖歌) 형장(刑杖) 태장(笞杖) 삼(三)모진 도리매로 하날치고 짐작(斟酌)할까 둘을 치고 그만 둘까 삼십도(三十度)에 맹장(猛杖)하니 일촌간장(一村肝臟) 다 녹는다 걸렸구나 걸렸구나 일등춘향(一等春香)이 걸렸구나 사또분부(使道吩付) 지엄(至嚴)하니 인정(人情)일랑 두지 마라 국곡투식(國穀偸食) 하였느냐 엄형중치(嚴刑重治)는 무삼 일고 살인도모(殺人圖謀) 하였느냐 항쇄족쇄(項鎖足鎖)는 무삼 일고 관전발악(官前發惡)하였느냐 옥골최심(玉骨 甚)은 무삼 일고 불쌍하고 가련(可憐)하다 춘향 어미가 불쌍하다 먹을 것을 옆에다 끼고 옥 모퉁이로 돌아들며 몹쓸 년의 춘향이야 허락 한 마디 하려무나 아이구 어머니 그 말씀 마오 허락이란 말이 웬 말이오 옥중에서 죽을망정 허락하기는 나는 싫소 새벽 서리 찬 바..
평양가(平壤歌) 갈까 보다 가리갈까 보다 임을 따라 임과 둘이 갈까 보다 잦은 밥을 다 못 먹고 임을 따라 임과 둘이 갈까 보다 부모 동생(父母同生) 다 이별하고 임을 따라 임과 둘이 갈까 보다 불붙는다 평양성내(平壤城內) 불이 불붙는다 평양성내 불이 불붙으면 월선(月仙)이 집이 행여 불갈세라 월선이 집이 불이 불붙으면 육방관속(六房官屬)이 제가 제 알리라 월선(月仙)이 나와 소매를 잡고 가세 가세 어서 들어를 가세 놓소 놓소 노리놓소그려 직영(直纓) 소매 노리놓소그려 떨어진다 떨어진다 떨어진다 떨어진다 직영소매 동이 동떨어진다 상침(上針) 중침(中針) 다 골라 내어 세(細)모시 당사(唐絲)로 가리감춰 줌세 (자료 출처 : 이창배: 한국가창대계) 요점 정리 작자 : 미상 연대 : 미상 형식 :..
출인가(出引歌) 풋고추 절이김치 문어 전복 곁들여 황소주(黃燒酒) 꿀타 향단(香丹)이 들려 오리정(五里亭)으로 나간다 오리정으로 나간다 어느 년 어느 때 어느 시절에 다시 만나 그리던 사랑을 품 안에 품고 사랑 사랑 내 사랑아 에- 어화둥개 내 건곤(乾坤) 이제 가면 언제 오뇨 오만 한(限)을 일러 주오 명년 춘색(春色) 돌아를 오면 꽃 피거든 만나 볼까 놀고 가세 놀고 가세 너고 나고 나고 너고만 놀고 가세 곤히 든 잠 행여나 깨울세라 등도 대고 배도 대며 쩔래쩔래 흔들면서 일어나오 일어나오 겨우 든 잠 깨어나서 눈떠 보니 내 낭군(郞君)일세 그리던 임을 만나 만단정회(萬端情懷) 채 못하여 날이 장차 밝아 오니 글로 민망하노매라 놀고 가세 놀고 가세 너고 나고 나고 너고만 놀고 가세 오날 놀고 내일..
집장가(執杖歌) 집장군노(執杖軍奴) 거동을 봐라 춘향(春香)을 동틀에다 쫑그라니 올려매고 형장(刑杖)을 한아름을 듸립다 덥석 안아다가 춘향의 앞에다가 좌르르 펄뜨리고 좌우 나졸(邏卒)들이 집장(執杖) 배립(排立)하여 분부(吩付) 듣주어라 여쭈어라 바로바로 아뢸 말삼 없소 사또안전(使道案前)에 죽여만 주오 집장군노 거동을 봐라 형장 하나를 고르면서 이놈 집어 느긋느긋 저놈 집어 는청는청 춘향이를 곁눈을 주며 저 다리 들어라 골(骨) 부러질라 눈 감아라 보지를 마라 나 죽은들 너 매우 치랴느냐 걱정을 말고 근심을 마라 집장군노 거동을 봐라 형장 하나를 골라 쥐고 선뜻 들고 내닫는 형상(形狀) 지옥문(地獄門) 지키었던 사자(使者)가 철퇴(鐵槌)를 들어메고 내닫는 형상 좁은 골에 벼락치듯 너른 들[廣野]..
적벽가 삼강(三江)은 수전(水戰)이요 적벽(赤壁)은 오병(鏖兵)이라 난데없는 화광(火光)이 충천(沖天)하니 조조(曹操)가 대패(大敗)하여 화용도(華容道)로 행(行)할 즈음에 응포일성(應砲一聲)에 일원대장(一員大將)이 엄심갑(掩心甲)옷에 봉(鳳)투구 저켜 쓰고 적토마(赤兎馬) 비껴 타고 삼각수(三角鬚)를 거스릅시고 봉안(鳳眼)을 크게 뜹시고 팔십근(八十斤) 청룡도(靑龍刀) 눈 위에 선뜻 들어 엡다 이놈 조조(曹操)야 날다 길다 하시는 소래 정신(精神)이 산란(散亂)하여 비나이다 잔명(殘命)을 살으소서 소장(小將)의 명(命)을 장군전하(將軍前下)에 비나이다 전일(前日)을 생각하오 상마(上馬)에 천금(千金)이요 하마(下馬)에 백금(百金)이라 오일(五日)에 대연(大宴)하고 삼일(三日)에 소연(小宴)할 제 한..
제비가(燕子歌:연자가) 만첩산중(萬疊山中) 늙은 범 살찐 암캐를 물어다 놓고 에-어르고 노닌다 광풍(狂風)의 낙엽(落葉)처럼 벽허(碧虛) 둥둥 떠나간다 일락서산(日落西山) 해는 뚝 떨어져 월출동령(月出東嶺)에 달이 솟네 만리장천(萬里長天)에 울고 가는 저 기러기 제비를 후리러 나간다 제비를 후리러 나간다 복희씨(伏羲氏) 맺힌 그물을 두루쳐 메고서 나간다 망탕산(芒宕山)으로 나간다 우이여- 어허어 어이고 저 제비 네 어디로 달아나노 백운(白雲)을 박차며 흑운(黑雲)을 무릅쓰고 반공중(半空中)에 높이 떠 우이여- 어허어 어이고 달아를 나느냐 내 집으로 훨훨 다 오너라 양류상(楊柳上)에 앉은 꾀꼬리 제비만 여겨 후린다 아하 이에이 에헤이 에헤야 네 어디로 행(行)하느냐 공산야월(空山夜月) 달 밝은데 슬픈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