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신곡(La Divina Commedia:1308-1321) / 단테 해설 "신곡"은 이탈리아의 시성 단테가 20년 간 모국으로부터 추방되어 방랑하면서 완성한 신학적 서사시이다. 전곡 14,233행이 100가로 나뉘고 다시 지옥편 34가 연옥편 33가 천국편 33가로 구성된 3부작이다. 그런데 33이라는 수는 그리스도가 속죄에 오른 연령을 의미하는 수이며 또한 100은 완전수 10의 제곱수로서 '경사'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10이라는 숫자는 당시의 3을 기초로 한 완전수를 상징하는 동시에 삼위일체의 상징이라고도 한다. "신곡"은 전편이 일시에 발표된 것이 아니다. 지옥편은 1300년-1308년에 연옥편은 1313년에 완성되고 천국편은 그의 사후 유고로서 세상에 나왔다. "신곡"의 제목은 단테가 Comme..
일리아드(Iliad:900 B.C) / 호머 해설 고대 그리스의 시성 호머의 2대 서사시의 하나로서 총 24권으로 되어 있다. "일리아드"란 소아시아의 서북부에 있는 한 도시 일리온(트로이)의 시라는 뜻이다. 따라서 이 시는 트로이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것은 트로이와 그리스 사이에 일어난 전쟁을 소재로 한 장편 서사시이다. 그 후속편이라 할 수 있는 "오디세이"와 함께 서양 문학 역사상 가장 오래 된 작품이며 고금을 통하여 매우 우수한 작품이다. 이 두 서사시의 작가로 알려져 있는 호머는 음유 시인으로서 그리스의 구비 문학을 집대성하며 양대 서사시를 완성한 것이라고 한다. 그는 장님이었다는 전설이 있으나 확증은 찾을 수 없다. 소아시아 지방의 발굴에 의한 고고학의 연구 결과 "일리아드"는 작가가 그 지..
실낙원(Paradise Lost:1655-1667) / 밀턴 / 해설 및 줄거리 해설 밀턴이 59세에 발표한 서사시 "실낙원"은 영국 문학 사상 최대의 대작일 뿐 아니라 단테의 "신곡"과 더불어 기독교 문학의 두 기둥을 이루는 중요한 작품이다. 처음에는 열 권이었으나 후에 열 두 권으로 개편되어 1667년에 출판되었다. 밀턴은 일찍부터 호머의 "일리아드, 오디세이"와 같은 대작을 쓰려는 야심을 품고 있었다. 밀턴은 이 "실낙원"에서 구약의 창세기에 기술된 인류 창조를 바탕으로 인류의 시조 아담과 이브의 타락을 중심 사건으로 서술하면서 신과 인간과의 기본 관계를 기독교인의 시각으로 통찰하였다. 장님이 된 밀턴이 구술로써 이 서사시를 완성한 것은 1655-1665년 경이라고 한다. 그는 젊었을 때 학문에 대..
애너벨 리 / 에드가 A. 포 퍽이나 오래된 이야깁니다. 바닷가의 한 왕국에 혹여나 여러분도 아실지 모를 애너벨 리라는 한 아가씨가 살았답니다. 날 사랑하고 내 사랑받는 것밖에는 다른 아무 생각 없이 사는 아가씨 바닷가의 이 왕국에 그 애도 어린 아이 나도 어린애 하지만 우리는 사랑보다 더한 사랑으로 서로 사랑했지요, 나와 애너벨 리는 하늘의 날개 돋친 천사님들도 우리를 부러워할 그런 사랑을 바로 바로 그 때문, 그 옛날 바닷가 이 왕국에서 오밤중 구름에서 바람이 불어 닥쳐 나의 애너벨 리를 냉기로 휩싼 것은 그래서 그녀의 대갓집 친척들이 그녀를 내게서 앗아가 버렸지요. 그리곤 바닷가 이 왕국의 무덤 속에 그 애를 가뒀답니다. 천국에서 절반도 행복하지 못한 천사들이, 그 애와 나를 시기하게 된 거지요. ..
시(詩)에 불리한 시대 / 브레히트 나도 알고 있다. 행복한 사람만이 인기가 있다. 그런 사람의 말소리를 사람들은 즐겨 듣는다. 그런 사람의 얼굴은 아름답다. 마당의 뒤틀린 나무는 토양이 좋지 않음을 말해준다. 그러나 지나가는 사람들은 그 나무가 불구라고 욕한다. 하지만 그것은 옳다. 준트 해협의 푸른 보트와 즐거운 요트를 나는 보지 않는다. 내가 보는 것은 어부들의 찢어진 그물뿐이다. 왜 나는 마흔 살의 소작인 여자가 허리를 구부리고 걷는 것에 대해서만 이야기하는가? 소녀들의 가슴은 예전처럼 뜨거운데. 내 시에 각운을 쓴다면 그것은 내게 거의 오만처럼 보일 것이다. 내 안에선 꽃피는 사과나무에 대한 열광과 칠장이의 연설에 대한 경악이 서로 싸우고 있다. 그러나 나에게 펜을 잡게 하는 것은 두 번째 것뿐..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