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화산별곡(華山別曲) 제1장 화산남 한수북 조선승지 백옥경 황금궐 평이통달 봉치용상 천작형세 경위음양 위 도읍 경기하여 태조태종 창업이모 (재창) 위 지수 경기하여 제2장 내수선 상품명 광명정대 금초절 통상고 회복왜방 선계선술 천지교태 사경녕일 위 태평 경기하여 지성충효 육린이도 (재창) 위 양득 경기하여 제3장 존경외 계일욕 궁행인의 개경연 남경사 학관천인 치집현전 사시강학 춘추제술 위 우문 경기하여 천종지성 학문지미 (재창) 위 고금 경기하여 제4장 훈병서 교진병 이습좌작 순시령 택한광 불폐수수 만기뇌무 살불진물 낙불극반 위 강무 경기하여 장려각고 안불망위 (재창) 위 예비 경기하여 제5장 구천재 민인궁 극근사사 진충직 퇴간사 흠휼형벌 고고논금 숙야도치 일신일일 위 무일 경기하여 천생..
태평곡(太平曲) 요점 정리 갈래 : 경기체가 연대 : 조선 중종 작자 : 주세붕 주제 : 성군현신들의 치국과 치민을 찬양 내용 정리 기본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제1,2,5장에서는 변격의 장형화 양상르 보여주기도 한다. 경기체가라 하나, 이 무렵에 와서는 그 전형적인 형식이 허물어져 거의 가사(歌辭) 형태에 가까운 것으로 되었다. 작자의 《죽계지(竹溪誌)》에 실려 전한다. 이해와 감상 조선 중종 때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경기체가. 전 5장. 1541년(중종 36)에서 1544년 사이에 지어진 것으로 1544년 작자가 편찬한 ≪죽계지 竹溪誌≫에 수록되었고, 그의 문집인 ≪무릉잡고 武陵雜稿≫(別集 권8)에도 실려 있다. 내용은 태평성세를 이룩하였던 옛 중국의 성군현신(聖君賢臣)들의 치국..
육현가 (六賢歌) 요점 정리 갈래 : 경기체가 형식 : 전6장 작자 : 주세붕 주제 : 중국의 도학자인 정이(程燎) ·장재(張載) ·소강절(邵康節) ·한기(韓琦) ·범중엄(范仲淹) ·사마광(司馬光) 등 여섯 현인들의 사상과 덕행을 칭송하는 내용으로 도덕적 가치의 추구 특징 : 순 한자(漢字)로 쓰여진 이 작품은 고려의 경기체가 형식을 대체로 도습하였으나, 형태상으로 다소 변모하여 있다. 내용 연구 이 작품은 주세붕의 다른 경기체가와 마찬가지로 기본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변격의 장형화도 나타나고 있다. 또한 끝구에서 '위'와 '景' 사이의 음절이 보다 길어지고 변용어구도 많이 쓰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의의를 지닌다. 첫째 엄격한 제약성에서 벗어나 내용 표현을 보다 자유..
연형제곡(宴兄弟曲) (전략) (후략) 요점 정리 갈래 : 경기체가 연대 : 조선 초기 작자 : 미상 형식 : 총 5장 연장체 주제 : 형제간의 우애를 바탕으로 백성을 잘 다스리고 태평을 구가하게 된다는 내용 배경 : 동생으로서 왕위에 오른 세종이 양녕, 효녕대군을 형님으로 받들면서 그 우애를 돈독히 하고, 그 형들은 신하로서 동생인 왕에게 충성을 다하는 왕실의 지극한 우애를 창작 배경으로 깔고 있으며, 그러한 형제간의 우애를 바탕으로 백성을 잘 다스리고 태평을 구가하게 된다는 자랑스러운 모습을 경기체가 특유의 형식에 담아 당당하게 노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세종의 선대인 태종이 왕위에 오르기 위해 형제를 죽여야 하는 혹독한 윤리적 시련이 있었음에 반해, 세종의 형제들은 그 우애와 직분을 ..
엄연곡(儼然曲) 요점 정리 갈래 : 경기체가 연대 : 조선 중종 작자 : 주세붕이 지은 경기체가 구성 : 모두 7장 주제 : 군자의 엄연한 덕과 성리학의 진리를 읊음. 의의 : 경기체가 형식의 변모와 붕괴를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자료 내용 연구 내용은 도의 현상에 대한 찬탄, 성현에 대한 숭모, 그리고 자신 및 타인에 대한 계감과 도의 실천에 대한 의지의 표명으로 되어 있다. 그의 다른 경기체가와 마찬가지로 후절로만 작품이 구성되어있다. '4·4·4·4 偉………景幾何如'의 형태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3장과 5장은 '4·4·4·4 偉………景幾何如'가 그 배수인 '4·44·44·44·4 偉……景幾何如'로 되어 있고, 4장은 4·4·4·4 /…'또는 그 배수적 발달의 형태가 아닌 3보격의 독특한..
안양찬(安養讚) 제일 피차동화 대도사 아미타 현피접인 아본사 석가문 권령왕생 피차여래 동이대비 각설방편 공도미륜 최희유 피불차불 대비대화 재창 은유부모 제이 의정구승 왈극락 왈안양 명피불토 무량광 무량수 명피여래 단문기명 기중활계 일념편지 흔피왕생 역희유 불어피국 현주설법 재창 해회조연 제삼 순락무우 피불국 무삼악 역 무무팔고 왕생인 신금색 개구묘상 궁전수신 의식자연 일절구족 상향무극 역희유 보의보구 향찬진수 재창 수념현전 제사 체장엄 칠중란 칠중망 칠중행수 칠보지 칠보대 칠보루각 일일화려 형철무의 교영 청정엄식 역희유 보대보각 보수보망 재창 장엄묘존 제오 화지수생 칠보지 팔덕수 충만기중 지변유 사계도 중보합성 지중련화 대여차륜 개부수면 어중수생 역희유 구품화대 차제기포 재창 수분수생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