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윤선도의 ‘어부사시사’ 전체 개관 ․작품 해설 : 1651년(효종 2)에 윤선도가 지은 40수의 단가. 작자와 창작 연대를 알 수 없는 고려 후기의 를 전승받아 이현보에 이어 재창작한 작품이다. 보길도를 개경으로 지은 것으로 춘하추동 10수로, 작품마다 여음이 삽입되어 있다. 이 여음은 출범에서 귀선까지의 과정을 조리정연하게 보여 준다. 즉, 먼저 배를 띄우고, 닻을 들고, 돛을 달아 놓고 노를 저으며 노래를 읊다가 돛을 내리고 배를 세우고, 배를 매어 놓고, 닻을 내리고, 배를 뭍으로 붙여놓는 것으로 여음이 짜여 있다. [악장가사]에 수록되어 있는 작자 미상의 와 이현보가 새로 창작한 는 모두 자연을 관조하고 그것을 완상하며 즐기는 관찰자 시점, 혹은 유람자 관점으로 어부생활을 읊은 것이다. 즉, 이들..
어부사시사의 후렴구(조흥구)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는 ‘찌그덕 찌끄덕 어기여차’의 의미로 배를 저을 때 나는 소리의 의성어와 노를 저을 때 어기어차 외치는 소리의 의성어이다. ‘돋 다라라’는 ‘돛을 달아라’는 뜻으로 쓰였다. 이 조흥구의 시적 기능은 흥취를 돋우는 데 있다. 또 조흥구는 내용과 맞아 떨어져 작품의 정서와 의미를 강화시킨다. 구 분 조 흥 구 위 치 조 흥 구 위 치 제1수 라, 라 초 장 至菊悤(지국총) 至菊悤(지국총) 於思臥(어사와) 중 장 다 음 제2수 닫 드러라, 닫 드러라 제3수 돋 라라, 돋 라라 제4수 이러라, 이어라 제5수 이어라, 이어라 제6수 돋 디여라, 돋 디여라 제7수 셰여라, 셰여라 제8수 여라, 여라 제9수 닫 디여라, 닫 디여라 ..
흥망이 유수하니 흥하고 망하는 것이 다 운수가 있으니, (화려했던 고려의 궁터인) 만월대도, 이제는 시든 가을 풀만이 우거져 있을 뿐이로구나. 오백 년 고려의 왕업이 이젠 목동의 피리 소리에나 담겨 불려지고 있으니 석양에 이 곳을 지나는 나그네(작자 자신)로 하여금 슬픔을 이기지 못하게 하는구나. 요점 정리 작자 : 원천석 연대 : 고려말~조선초 종류 : 평시조 성격 : 회고적, 비유적, 상징적, 감상적 구성 : 초장(쓸쓸함) 중장(무상함) 종장(고려 왕조 멸망에서 느끼는 감회) 제재 : 고려 왕조 주제 : 회고의 정, 망국의 한과 인생무상, 고려 왕조 회고. 고려 멸망을 슬퍼함 표현 : 은유법, 영탄법, 중의법 내용 연구 흥하고 망하는 것이 다 운수가 있으니[운수에 달려 있으니 / 하늘의 뜻에 ..
환자 타 산다 하고 환자 타 산다 하고 그랄사 그르다 하니 이제의 노픈 즐을 이렁구러 알관디고 어즈버 사람이야 외랴 해운의 타시로다 요점 정리 작자 : 윤선도 종류 : 평시조 성격 : 개세적(慨世的 : 세상을 개탄함), 한탄적 제재 : 빈궁한 농촌 주제 : 궁핍한 농촌 생활에 대한 한탄과 체념 출전 : 고산유고 내용 연구 환곡을 타서 먹고 산다고 그것을 잘못되었다고 말하니, (절개를 지키려고 굶어 죽은) 백이와 숙제의 높은 절의(節義)를 이렇게 해서 알겠구나. 아! 사람이 무슨 잘못이 있겠는가? (이 모든 것은 흉년이 든) 그 해의 운수탓이로다. 이해와 감상 맹자의 항산 정책이나 북학파의 이용후생 사상은 백성을 중심에 두고 경세제민을 통해 백성들의 삶을 풍요롭고 바람직하게 만드는 유교적 이상주의 ..
한숨아 셰 한숨아 한숨아 세(가느다란) 한숨아, 네 어느 틈으로 들어오느냐? 고모장지, 세살장지, 들장지, 열장지,(이상 문의 종류) 암돌쩌귀, 숫돌쩌귀,(문 다는데 필요한 도구들) 배목걸새(문고리 거는 쇠) 뚝딱 박고, 크나큰 자물쇠로 깊숙이 채웠는데, 병풍처럼 덜컥 접고 족자처럼 데굴데굴 마느냐? 네 어느 틈으로 들어오느냐? 어찌된 일인지 네가 오는 날이면 잠을 들지 못하는구나. 요점 정리 지은이 : 미상 갈래 : 사설시조 성격 : 수심가(愁心歌), 해학적(諧謔的) 제재 : 시름, 한숨 주제 : 그칠 줄 모르는 삶의 시름으로 인한 고뇌 / 삶의 시름으로부터 벗어나고 싶은 마음 표현 : 열거법, 의문법, 무형(한숨)의 대상을 유형적인(너로 의인화) 것으로 인식하여 표현한 것으로 추상적인 것을 구..
한 손에 막대 잡고 한 손에 막대를 쥐고 또 한 손에는 가시를 쥐고 늙는 길을 가시로 막고 오는 백발을 막대로 치려 했더니 백발이 제가 먼저 알고서 지름길로 오는구나. 요점 정리 지은이 : 우탁 연대 : 고려말 종류 : 평시조, 단형 시조 표현 : 의인법, 대구법, 과장법, 대조법 성격 : 탄로가, 직서적, 해학적 제재 : 늙음 주제 : 탄로(늙음을 한탄함), 늙음에 대한 한탄 내용 연구 한 손에 막대를 쥐고 또 한 손에는 가시를 쥐고 : 추상적인 늙음을 구체적이고, 시각적인 길로 전환시켜 표현하였다. 세월의 흐름을 가시와 막대기로 막아 보겠다는 발상이 흥미롭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늙음에 대한 깊은 탄식이 배어 있다. 막대 : 막다히> 막다이>막대 늙난 : 늙은 '난'은 현재관사형 가싀 : 가시..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