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옹고집전 / 한눈에 보기
- 고전소설
- · 2021. 11. 24.

장풍운전 / 한눈에 보기
- 고전소설
- · 2021. 11. 24.
반응형
구운몽(九雲夢) [해제] 의 이해를 위하여 작가 김만중(金萬重)의 생애와 인간, 그리고 문학과 사상 등을 언급하고 나서, 의 대체적인 줄거리와 사상적 배경, 원전비평과 이본상의 문제, 비교문학적인 문제, 그리고 본서에 사용된 텍스트의 문제를 차례로 기술하기로 하겠다. 김만중(김만중, 1637~1692)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소설가로 본관은 광산(光山), 아명은 선생(船生), 자는 중숙(重叔), 호는 서포(西浦), 시호(諡號)는 문효(文孝)이다. 조선조 예학의 대가인 김장생의 증손이고, 충렬공 익겸의 유복자이며, 숙종의 장인인 광성부원군 만기의 아우로서, 숙종대왕의 초비(初妃)인 인경왕후의 숙부이다. 그의 어머니 해평 윤씨는 인조의 장인인 해남부원군 윤두수의 4대손이고 영의정을 지낸 문익공 방(昉)의 증..
‘춘향전’의 주제 의식 ‘춘향전’은 판소리계 소설 중에서도 가장 많은 사람들로부터 오래도록 사랑을 받아왔다. 사설에서 소설로 정착되고 나서 사본 30종 목판본 7종 활자본 50-60종이 남아있어 이본을 챙겨보기도 어렵다. 춘향전은 남원을 무대로 펼져지고 구체적으로 그 작품 속의 광한루나 오작교가 아직도 남아있어 지방민들 중에는 이를 사실담으로 여기기도 하나 설화에서 유래한 이야기임에 틀림없다. 춘향은 기생으로 개인의 영달과 신분상승에 성공한 운 좋은 여인으로 결말이 나지만 신분간 경계가 엄격했던 조선 사회에서 이런 전개는 현실적으로 맞지 않다. 여염집 여인도 아닌 기생의 딸이 파격적으로 양반의 정실부인으로 오를 수 있었던 뒤에는 현실이 그렇지 못하니 소설을 통해서나마 그렇게 되었으면 하는 민중이 바람에 ..
김만중(金萬重, 인조15-숙종18, 1637-1692, 서포·西浦, 자(字) 중숙·重叔, 시호 문효·文孝) - 누구인가? · 광산(光山) 김씨. · 관계 - 증조부 :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1548-1631) : 한국 예학(禮學)의 시발 - 종(從)조부 : 김집(金集, 1574-1656) - 아버지 : 김익겸(金益兼, 1614-1636) - 형 : 김만기(1633-1687)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 - 형 김만기의 딸 : 인경왕후(仁敬王后, 숙종妃)의 숙부(叔父)가 됨 - 모(母)부인 윤씨의 고조부 : 해원부원군 윤두수(尹斗壽, 1533-1601) - 윤씨의 증조부 : 영의정 문익공 윤방(尹昉) · 문집 : [서포만필(西浦漫筆)], [서포집], [지구고증(地球考證)], [주자요어(朱子要語)] · 작..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