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현대문학에 나타난 처용 1. 처용이 나타난 시들 가. 정일근 -처용의 도시 술 취한 처용(處容) 씨(33세. 울산시 남구 개운동)가 공업탑 로터리에서 춤을 춘다. 그의 아니는 일주일째 집에 돌아오지 않고 있다. 이 도시의 상징인 푸른 작업복은 누런 때에 찌들었으며 어린 아이와 늙은 어머니는 오늘 저녁도 라면으로 끼니를 때웠으리라. 달 밝은 그날 밤 야근을 하지 않고 돌아온 것이 잘못이었을까 역신(疫神)같이 건장했던 그 사내를 용서한 것이 잘못이었을까. 공업화로 일찍 시든 그의 청춘 때문인가. 하루하루 몸은 야위어 가고 다달이 월급봉투는 기름져 갔다. 검은 강은 입안부터 썩어 가 구취를 풍기고 떠나간 물고기와 새들은 다시 돌아오지 않았다. 누구는 호텔 나이트클럽에서 전라의 춤을 추는 아내를 보았다고 했다...
처용은 누구인가? 1. 불교적 측면 1) 설화에 언급된 관용적 행동으로 보아 처용을 佛子로 보는 견해 - 황패강 이 관점은 "중생홍화(衆生弘化)에 나선 호법(護法)의 龍子 곧 佛子"로 보는 것인데, 이는 처용이 佛法弘化의 覺月 아래에서 衆生敎化의 가무를 하고 나서 집으로 돌아와 범처(犯妻)의 현장을 목격한 후 이욕무사(離欲無私)의 심경으로 춤을 추며 물러 나와 역신을 교화시켜 물러나게 만들었다고 본 견해이다. 그의 가무는 세속적인 감정 처리의 위장이 아니며, 자학적인 代償행위는 더욱 아니다. 그에게 비애가 있었다면, ‘빼앗긴’ 그것에가 아니고, ‘빼앗고 빼앗기는’ 인간 존재의 허무에 향해져 있는 것이다. 여기서는 특히 '달'의 이미지는 佛經에서 佛身이나 覺의 경지를 상징하는 것으로, 처용의 가무를 無我의..
2. 처용이 나타난 소설 가. 김 춘수 - 처용을 소재로 한 시를 많이 쓴 김 춘수는 또 소설을 발표한 바 있다. 소설 은 또래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외롭게 성장했던 김 춘수 본인의 자전소설이라고 알려져 있다. 시 은 소설 과 내용 면에서 많은 상관관계를 갖는다. 소설 의 줄거리 1) 한복의 바지에다 오줌을 싸게 된 나는 처녀 선생님에게 아랫도리를 벗기고, 몸이 씻긴 뒤 숙직실에 혼자 눕혀지게 된다. 나는 몰래 일어나 바짓가랑이에 다리를 집어넣고 숙직실을 빠져 나와 탱자나무울이 처진 원장 선생님의 집께로 간다. 이층 한가운뎃 방에 원장 선생님의 남편이 앞뒤로 잘 흔들리는 커다란 나무의자에 몸을 묻고 의자를 흔들며 책을 읽는 것이 보인다. 그는 호주에서 온 선교사였다. 구렁으로 가 볼까. 아침에 입술이 불같..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간 봄을 그리워함에 모든 것이 서러워 시름하는구나 아름다움 나타내신 얼굴이 주름살을 지으려고 하는구나 눈 깜박할 사이에 만나 뵈올 기회를 지으리이다. 낭이여, 그리운 마음의 가는 길에, 다북쑥 우거진 마을에 잘 밤인들 있으리이까. - 양주동 해독 지나간 봄 돌아오지 못하니 살아계시지 못하여 우올 이 시름. 전각(殿閣)을 밝히오신 모습이 해가 갈수록 헐어 가도다. 눈의 돌음 없이 저를 만나보기 어찌 이루리. 낭 그리는 마음의 모습이 가는 길 다복 굴헝(다북쑥이 우거진 무덤)에서 잘 밤 있으리. - 김완진 해독 요점 정리 작자 : 득오곡(得烏谷, 득오라고도 함). 신라 효소왕 때 화랑. 형식 : 8구체 향가 연대 : 효소왕(692-702) 때 성격 : 찬양적. 흠모적 내용 : 화랑 죽..
도솔가 오늘 이에 '산화'의 노래 불러 뿌리온 꽃아, 너는 곧은 마음의 명을 심부름하옵기에 미륵좌주를 모셔라! (양주동역) 오늘 이에 산화 불러 솟아나게 한 꽃아 너는, 곧은 마음의 명에 부리워져 미륵 좌주 뫼셔 나립하라(벌려 늘어서라) (김완진역) 요점 정리 작자 : 월명사 연대 : 경덕왕 19년(760) 성격 : 주술적, 불교적 형식 : 4구체 주제 : 산화공덕(散花功德) 표기문자 : 향찰 특징 : 나라를 편안하게 하자는 뜻에서 부른 노래 출전 : 삼국유사 내용 연구 산화 : 불교의 제식에서 범패를 부르며 꽃을 뿌리는 의식 블어 : 불러. '블다>불다'는 원순모음화 고자 : 꽃아. 꽃이여. 곶(명사)+아(호격) 미륵좌주 : 미륵불, 앞으로 이 세상에 내려와 중생을 구할 미래불. 이해와 감상 신라의 향..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