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옥저(玉笛) / 김상옥(金相沃) 지그시 눈을 감고 입술을 축이시며, 뚫린 구멍마다 임의 손이 움직일 때, 그 소리 은하(銀河) 흐르듯 서라벌에 퍼지다. 끝없이 맑은 소리 천 년을 머금은 채, 따스히 서린 입김 상기도 남았거니, 차라리 외로울망정 뜻을 달리하리요! [시어, 시구 풀이] 옥저(玉笛) : 청옥이나 황옥으로 만든, 대금 비슷한 취악기. 신라 삼보(三寶)의 하나인, 신문왕(神文王) 때 옥으로 만든 저. 서라벌 : 옛 신라의 서울 [핵심 정리] 지은이 : 김상옥(金相沃, 1920- ) 시조 시인. 경남 충무 출생. 토속적인 맛과 섬세하고 영롱한 고유어를 능란하게 구사하고, 참신한 은유와 상징으로 사유의 깊이를 천착함으로써 현대 시조에 기여한 공이 큼. 광복 이후에는 자유시에 치중함. 시조집에 등이 ..
조국(祖國)Ⅰ/ 정완영(鄭椀永) 행여 다칠세라 너를 안고 줄 고르면 떨리는 열 손가락 마디마디 에인 사랑 손 닿자 애절히 우는 서러운 내 가얏고여. 둥기둥 줄이 울면 초가 삼간 달이 뜨고 흐느껴 목메이면 꽃잎도 떨리는데 푸른 물 흐르는 정에 눈물 비친 흰 옷자락. 통곡도 다 못 하여 하늘은 멍들어도 피 맺힌 열두 줄은 굽이굽이 애정인데 청산아, 왜 말이 없이 학처럼만 여위느냐. [시어, 시구 풀이] 에인 : 슬픔이 맺힌 가얏고 : 가야금으로 여기서는 ‘조국’을 상징 멍들어도 : 한(恨)으로 응어리져도 서러운 내 가얏고여 : 감정 이입. 가야금의 감정은 곧 시적 자아의 감정으로 이해되어야 함 푸른 물 : ‘푸른’의 색채 심상에서 ‘눈물 비친 흰 옷자락’을 떠올림. 삶의 애환이 서린 민족사의 흐름 눈물 비친..
강(江) 있는 마을 / 김상옥 마을은 윗뜸 아래뜸 그림같이 놓여 있고 읍내로 가는 길은 꿈결처럼 내다뵈는데, 길에는 사람 한 사람 보이지도 않아라. 요점 정리 지은이 : 김상옥 갈래 : 현대 시조, 연시조 성격 : 한정적, 전원적, 시각적, 묘사적 제재 : 강과 마을 주제 : 강촌의 평화로운 정경(情景) 이해와 감상 두보의 강촌(江村)은 한가로움이 있지만 그 속에는 인간사의 고뇌가 담겨 있고, 자기 자신의 고단한 신세가 있지만, 김상옥의 작품에는 말 그대로 강촌의 평화로운 정경이 몽환적인 그림처럼 나타난다. 1연의 초장에서는 공간적 배경과 중장에서는 시간적 배경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 한가로운 모습에 담겨 있는 낮닭의 울음소리는 정겹고 느긋한 느낌을 주고 있다. 그러한 정겨운 배경 속에 그림 같은 마을과..
고무신 / 장순하 요점정리 지은이 : 장순하 갈래 : 평시조, 구별 배행 시조 성격 : 시각적, 입체적, 형태주의적, 향토적, 실험적 구성 : 초장 - 삭막한 전경 중장 - 다사로운 인정 종장 - 단란한 정경 심상 : 시각적 심상에 의한 묘사 표현상의 특징 : 형식주의를 실험한 파격(破格)적인 시조, 시각적인 효과와 입체감을 회화적으로 시도함, 섬돌에 놓인 고무신을 통해 따스한 농촌의 인정미가 나타남. 제재 : 고무신 주제 : 외딴 시골집의 가난한 한 가족의 따스한 인정, 소박한 시골 생활의 따스한 인정미 출전 : 백색부(1968) 내용 연구 눈보라 비껴 나는 ── 全 ── 群 ── 街 ── 道 ──[전주 -군산간 도로로 진행감, 지속감, 속도감, 직선의 느낌을 줌] - 1연 : 눈보라가 날리는 겨울의 ..
고지가 바로 저긴데 - 이은상 요점 정리 지은이 : 이은상 갈래 : 현대 시조, 연시조 성격 : 의지적, 기원적, 구성 : 1연 : 고지 탈환의 의지 2연 : 민족사의 시련을 극복한 미래의 모습 제재 : 고지, 국토 분단의 민족 수난 주제 : 통일을 염원하는 민족의 의지, 조국 통일의 민족적 염원과 의지, 민족사의 고난 극복의 의지 특징 : 字數(자수)를 깨뜨린 파격, 구별 배행 시조 출전 : 자유문학 창간호(1956.5) 내용 연구 고난의 운명 : 분단된 조국 현실 역사의 능선 : 조국을 통일해야 하는 역사적 사명, 은유법 밤 : 분단된 조국 현실, 조국의 온갖 역경, 어두운 현실 고난의 ∼ 능선을 타고 : 역사적으로 험난했던 우리 민족의 지나온 길 허위적거리며 가야만 하는 겨레 : 어려운 현실에 직면..
구름 - 이병기 요점 정리 지은이 : 이병기 갈래 : 현대 시조, 연시조 성격 : 기원적 제재 : 구름 주제 : 자연과의 물아일체(物我一體)를 기원, 구름과 하나가 되고 싶은 마음 특징 : 종장 끝에 '-리'로 끝나면서 무엇인가 여운이 있음 이해와 감상 우리 문학 작품에서 구름이 자주 등장하는 소재로 쓰이고 있는데 여기서 구름은 자유로운 존재를 의미하고 있다. 구름이 되어 허공에 떠 어디로든지 자취 없이 가고 싶다고 노래한 이 작품은 유유자적(悠悠自適)하고 행운유수(行雲流水)처럼 거리낌없는 구름이 되고 싶다는 시적 화자의 소망이 담겨 있다. 첫 연에서 새벽의 동쪽하늘에 떠 있는 구름과 서쪽하늘 노을 지는 구름의 모습은 꽃보다도 아름답다고 노래한 화자는 두 번째 연에서는 구름과 하나 되고 싶은 물아일체(物..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