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금강에 살으리랏다 - 이은상 요점 정리 지은이 : 이은상 갈래 : 현대 시조, 연시조, 정형시, 서정시 성격 : 직서적, 기원적, 표현 : 대조적 재제 : 금강산 주제 : 금강산 예찬, 아름다운 금강산에 묻혀 살고 싶은 마음 특징 : 시적 화자가 처한 세계와 지향하는 세계가 대조를 이루고, 핵심 어구의 반복으로 주제를 강조하고 있다. 내용 연구 운무(雲霧) : 구름과 안개 홍진(紅塵) : 햇빛에 비치어 벌겋게 일어나는 티끌로 여기서는 번거롭고 속된 세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명리(名利) : 명예와 이익을 이르는 말 스러진 뒤 : 죽은 뒤 혼이나마 길이길이 금강에 살으리랏다 : 죽어서도 금강산에 살고 싶다는 화자의 강인한 의지가 나타나고 있다. 명경 : 매우 맑은 거울 이해와 감상 이은상(李殷相) 작사,..
깃발 - 이호우 요점 정리 지은이 : 이호우 갈래 : 현대시조. 연시조 성격 : 역동적(力動的), 관념적(觀念的), 의지적(意志的), 상징적(象徵的) 표현 : 직설법, 과장법 구성 : 제1연 : 힘을 가진 너(깃발)의 승리에 대한 믿음 제2연 : 눈부시고 뜨거운 절대의 표백(表白) - 온 몸에 ~ : 깃발의 절대적 모습 (시각적 심상을 청각적 심상으로 전이(轉移)시킨 공감각적 표현) 제3연 : 다함이 없는 젊음의 표상 제재 : 깃발 주제 : 힘과 의지와 젊음의 표상인 깃발에 대한 예찬, 절대적 허무를 극복하려는 강인한 힘과 의지의 표상인 깃발의 예찬 특징 : 전통적인 시조의 형식을 과감히 탈피하고, 현대적인 감각을 잘 살리고 있으며 삶에 대한 굳센 의지와 승리에의 신념을 생동감 있게 표현(表現)하고 3장..
나오라 - 이병기 요점 정리 지은이 : 이병기 갈래 : 현대 시조, 연시조, 성격 : 의지적, 계몽적 운율 : 4음보 외형률 특징 : 장별 배행, 설득적이면서도 계몽적이고 선동적인 표현이 강함 제재 : 조국의 해방 주제 : 조국 광복의 기쁨과 새 조국 건설의 의지 내용 연구 일즉 님을 여희고 이리저리 헤매이다 : 님이라는 조국의 광복을 위해 불철주야 백방으로 뛰어다닌 모습을 형상화 버리고 던진 목숨 이루 헬 수도 없다 : 독립 투쟁으로 희생된 애국 지사를 말함 웃음을 하기보다도 눈물 먼저 흐른다 : 너무 벅찬 감격으로 웃음보다는 울음이 나온다는 말 이 날 : 조국 광복 낡은 터 : 일제 치하로 황폐화된 조국 새 집을 이룩하자. : 새로운 조국을 건설하자는 선동적인 의미 손마다 연장을 들고 어서 바삐 나오..
소경 되어지이다 - 이은상 이은상(1903-1982) 호는 노산(鷺山). 경남 마산 출생. 일본 와세다(早稻田)대 수학. 연희전문 문과 졸업. 이화여전 교수, 『조선일보』 편집국장, 청구대 교수 등 역임. 1922년 시조 「아버님을 여의고」, 「꿈 깬 뒤」 등을 발표하면서 등단. 그는 인생의 무상과 허무를 동양적 호흡으로 노래하였다. 특히 시조의 부흥에 힘을 기울여 독특한 이론으로 양장 시조론을 전개하고 실제 작품을 쓰기도 했다. 시조집으로는 『노산시조집』(한성도서주식회사, 1932), 『노산문선(鷺山文選)』(영창서관, 1942), 『노산시조선집』(남향문화사, 1958) 등이 있다. 이 작품은 이은상이 실험한 바 있는 양장 시조의 본보기이다. 양장 시조란 `두 장으로 된 시조'라는 ..
서해상의 낙조 - 이태극 요점 정리 지은이 : 이태극 갈래 : 연시조, 현대 시조, 장별 배행 시조 성격 : 묘사적, 사실적, 관조적, 서경적, 낭만적 심상 : 시각적 이미지 어조 : 영탄적 어조 구성 : 일몰 직전 → 일몰 순간 → 일몰 직후 기(1연) - 일몰 직전의 장관 서(2연) - 일몰 순간의 아쉬움 결(3연) - 일몰 직후의 월출 제재 : 낙조(落照) 주제 : 낙조의 아름다움과 그 감동 특징 : 일몰의 장관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시간의 진행에 따른 전개 방식을 보여 준다. 출전 : '꽃과 여인'(1970) 내용 연구 어허 저거, 물이 끓는다. 구름이 마구 탄다.[낙조(落照)에 대한 묘사] 둥둥 원구(圓球 : 둥근 공이나 알)가 검붉은 불덩이다.[해가 물 위에 떠 있는 것 같은 느낌의 표현] ..
사향(思鄕) - 김상옥 눈을 가만 감으면 굽이 잦은 풀밭길이, 개울물 돌돌돌 길섶으로 흘러가고, 백양 숲 사립을 가린 초집들도 보이구요. 어질고 고운 그들 멧남새도 캐어 오리. 집집 끼니마다 봄을 씹고 사는 마을, 감았던 그 눈을 뜨면 마음 도로 애젓하오. 요점 정리 지은이 : 김상옥(金相沃) 갈래 : 평시조. 연시조. 현대시조. 정형시 형태 : 장별 배행 율격 : 3(4).4조. 4음보. 3장 6구의 외형률 성격 : 회상적, 낭만적, 향토적, 자연친화적 어조 : 그리움이 가득 찬 어조 심상 : 시각적. 청각적. 후각적. 미각적 구성 : 선경후정의 구성 첫째 수 : 고향의 전경(全景) 둘째 수 : 그리운 진달래 산천, 어머니의 회상, 꽃지짐 셋째 수 : 어질고 마음씨 곱던 고향 사람들을 생각 제재 : 회..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