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현대 시조 1. 시조 개관 (1) 정의 3장 6구 45자 내외의 형식으로 된 우리 민족 고유의 대표적 정형시이다. (2) 발생 시조는 신라 향가와 고려 가요(속요)의 영향을 받아 고려 중엽에 발생하여 고려 말에 국문학의 한 장르로서 정립되었다. (3) 명칭 ① 시조 이전의 명칭 : 단가(短歌), 시여(詩餘), 신조(新調), 신번(新飜), 영언(永言) 등 ② 시조란 이름은 조선 시대 영조 때의 가객(歌客) 이세춘이 붙인 창곡상의 명칭으로 시절가조(時節歌調)의 준말이다. (4) 기본 형식 ① 초장 중장 종장의 3장, 6구, 45자 내외로 구성된다. ② 각 장은 2구, 4음보, 15자 내외로 구성된다. ③ 각 음보는 3 4조 또는 4 4조의 기본 음수율로 되어 있다. ④ 종장 제1음보..
현대시조는 고시조에 대비되는 새로운 내용과 형식을 갖춘 시조를 말한다. 일명 근대시조 또는 신시조라고도 한다. 그 시기에 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으나, 갑오경장 이전의 작품을 고시조라고 하고 그 뒤 오늘날까지의 작품을 한데 묶어 현대시조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것은 시간적·시대적 관념이며, 시조의 근대적 변화 또는 근대적 성격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다만 시대라는 기준에 의하여 단선적으로 규정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시조의 근대적 변화가 관념보다 구체, 집단보다 개인에 대한 발견과 표현에 있는 것이라고 볼 때, 근대적 감수성의 시조가 본격적으로 쓰여진 것은 1920년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편의상 1920년 이전의 시조를 개화기시조라 하고, 그뒤의 시조를 현대시조 또는..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