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자모사(慈母思) - 정인보 1 가을은 그 가을이 바람불고 잎 드는데 가신 님 어이하여 돌오실 줄 모르는가 살뜰히 기르신 아이 옷 품 준 줄 아소서 2 부른 배 골리보고 나은 얼굴 병만 여겨 하루도 열두 시로 곧 어떨까 하시더니 밤송인 쭉으렁*인 채 그지 달려 삽내다 3 동창에 해는 뜨나 님 계실 때 아니로다 이 설움 오늘날을 알았드면 저즘미리 먹은 맘 다 된다기로 앞 떠날 줄 있으리 4 차마 님의 낯을 흙으로 가리단 말 우굿이 어겼으니 무정할 손 추초(秋草)로다 밤 이여 꿈에 뵈오니 편안이나 하신가 5 반갑던 님의 글월 설움될 줄 알았으리 줄줄이 흐르는 정 상기 아니 말랐도다 받들어 낯에 대이니 배이는* 듯하여라 6 므가나 나를 고히 보심 생각하면 되 서워라 내 양자(樣子) 그대로를 님이 아니 못보심가 ..
살구꽃 핀 마을 - 이호우 요점 정리 지은이 : 이호우 갈래 : 연시조. 평시조. 정형시 율격 : 외형률(3·4조 4음보) 성격 : 향토적. 낭만적 표현 : 예스런 어투 사용. 구체적이고 감각적인 표현 구성 : 낮과 밤의 병렬 구성 1연 - 향토의 인정(아름다운 고향 마을에 대한 친근감 - 낮) 2연 - 초당의 풍경(고향의 정겨운 분위기와 '봄밤'의 정취 - 저녁 무렵) 제재 : 살구꽃 핀 마을 주제 : 시골 마을의 따뜻한 정과 분위기. 향토에 대한 그리움과 사랑 출전 : (1955) 내용 연구 살구꽃 핀 마을은 어디나 고향[이상화된 공간] 같다. 만나는 사람마다 등이라도 치고지고[따뜻한 인정을 의미하며, '치고 싶어라'를 음수율을 고려하여 운치 있게 표현한 말 ]. 뉘 집[누구의 집. 종장 첫 구(3음..
가고파 - 내 마음 가 있는 그 벗에게 - / 이은상 요점 정리 지은이 : 이은상 갈래 : 현대 시조, 연시조, 서정시, 낭만시 성격 : 회상적, 향수적 구성 : 열거적 구성 1연 : 고향 바다에 대한 그리움 2연 : 고향 동무들에 대한 그리움 3연 : 고향에 가서 살고 싶은 마음 4연 : 동심으로 돌아가서 지내고 싶은 마음 5연 : 어린 시절에 대한 추억과 그리움 6연 : 고향을 떠난 허무감과 고향에 가고 싶은 마음 7연 : 고향에 살고 있는 벗들에 대한 부러움 8연 : 타향살이로 지내온 자신에 대한 회한 9연 : 고향에 가서 옛 동무들과 함께 살고 싶은 마음 10연 : 평화로운 고향 나라로 돌아가 깨끗하게 살고 싶은 마음 제재 : 고향, 향수 주제 : 고향에 대한 애틋한 그리움, 떠나온 고향에 대한 ..
추삼제(秋三題) - 벽공(碧空) - 이희승 요점 정리 지은이 : 이희승 갈래 : 연시조 중 1수. 평시조. 정형시 율격 : 외형률(3·4조 4음보) 성격 : 시각적, 청각적, 관조적, 심미적 심상 : 묘사적 심상 구성 : 초장 거울같이 맑은 하늘 중장 푸르게 고인 물 같은 하늘 종장 티없이 맑고 깨끗한 가을 하늘 제재 : 벽공(碧空) 주제 : 맑고 깨끗한 푸른 하늘 찬미. 인간(세속)의 더러움과 대조된 하늘의 티없이 맑고 깨끗함을 예찬하고 그렇지 못한 인간 세계를 비판 표현 : 구별 배행(句別排行). 청각, 촉각, 시각을 통한 극히 섬세한 감각. 시조 특유의 간결한 형식과 맛이 있음 출전 : (1947) 내용 연구 벽공[푸른 하늘, 벽락(碧落), 벽허(碧虛), 벽소(碧 ), 벽천(碧天), 청천(靑天), ..
박연 폭포( 朴淵瀑布) - 이병기 요점 정리 지은이 : 이병기 갈래 : 평시조, 연시조, 현대시조 성격 : 관조적, 예찬적, 묘사적 운율 : 4음보의 외형률 어조 : 차분한 목소리 심상 : 청각적, 시각적, 동적 표현 : 의인법, 과장법, 대조법 제재 : 박연 폭포 주제 : 박연 폭포의 웅장함과 영원성, 박연 폭포의 아름다움과 영원 구성 1연 : 산에 오르면서 힘든 것도 잊은 채 산에 이끌림 - 산에 오르는 즐거움 2연 : 박연 폭포의 모습이 장엄하고 생동감 있음 - 폭포의 장관 3연 : 바람이 불고 세월이 흘러도 폭포의 물 소리는 그치지 않음 - 폭포의 영원성 출전 : 가람시조집(1939) 내용 연구 이제 산에 드니 산에 정이 드는구나. : 동일한 시어의 교묘한 배치를 통한 운율 형성 산인 : 속세를 ..
삼월(三月)은 - 이태극 이태극(1913- ) 강원도 화천 출생. 일본 와세다대 중퇴. 서울대 중퇴. 1955년 『한국일보』에 「산딸기」를 발표하면서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 시조에 전념하여 시조부흥에 열정을 기울였다. 1960년 시조 전문지 『시조문학』을 창간하여 시조에 대한 신념을 집념을 실천에 옮겼다. 고유한 시조의 형식에 맞추어 창작된 그의 시조는 대부분 일상적이고 평범한 소재를 소박하게 다루면서 감흥을 자아내게 한다. 시조집으로 『현대시조선총(現代時調選叢)』(새글사, 1958), 『꽃과 여인』(동민문화사, 1970), 『노고지리』(일지사, 1976) 등이 있다. 자연은 위대한 어머니이다. 자연의 이법 가운데 경이롭지 않은 것이 없지마는 우리를 경탄케하는 것 중의 하나가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