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고 교정 부호
- 국어자료
- · 2022. 4. 9.
반응형
한국어에 관한 인식의 깊이와 한국문화 / 이 상 태 (경북대 문법론) 1. 들 머 리 오래 전 일이다. 남들이 조상의 무덤치장을 한다, 빗돌을 큼지막히 놓는다 해 쌓길레 나는 돌아가신 어른들의 행적을 찾아 글로 엮어 일가 아이들에게 돌려 읽어 보게 하려고 옛 문서들이 든 궤짝을 뒤져 보았다. 그 속에서 내 국민학교 때 상장이 하나 나왔다. 두꺼운 종이에 세로로 노란 줄을 긋고 그 곳에 세로로 ‘賞狀 / 優等賞 / 000 / 右者는 品行이 ···’ 라고 씌어 있었는데 왜정 때 받은 작은아버지의 것과 어쩌면 그 글의 틀이나 글자가 그리도 닮았는지. ‘-는, -이’ 따위 토만 일본 글자에서 우리 글자로 바뀌었을 뿐이었다. 광복이 되고 우리 말을 되찾게 되었다든지 정치·사회적 여건이 변했다든지 해서 왜정 때와는..
사회적 약속으로서의 언어 국어의 다양한 규범 언어 기호는 사회적인 약속, 다시 말해 계약에 의해 존재하는 것이다. 의사소통이 원만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그 언어 사회가 약속을 통일해야 하고, 언중(言衆)은 이 약속을 지켜야 한다. 그렇지 않을 때에는 언어 기호는 의사소통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안전 운행을 위해 도로 교통법이 있듯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언어에는 규범이 있다. 국어에도 이러한 여러 가지 규범이 있다. 이러한 규범들은 관습적(慣習的)인 규범과 성문화(成文化)한 규범으로 나눌 수 있다. 관습적인 규범은 어느 날 갑자기 만들어진 법이 아니라 오랜 세월 동안 사용되어 오는 과정에서 하나의 규범으로 정착된 것이다. 따라서, 이는 연역적인 법이 아니라, 언어 현실에서 귀납된 법이다. 이..
국어와 우리 문화의 관계 국어를 배우고 안다는 것은 언어에 대해 잘 알고, 언어를 잘 사용할 줄 안다는 것은 무엇일까? 어휘를 많이 알고 문장을 잘 구사할 줄만 알면 언어를 잘 사용하는 것이라 과연 말할 수 있을까? 어휘를 예로 들어 보자. 단어를 안다는 것은 어떤 것인가? 가령, 남자란 단어의 뜻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 굳이 사전을 찾아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스피드 퀴즈 게임에서 남자란 단어가 나오면 어떻게 설명하겠는가? 여자말고! 여자의 반대말!이라고 함이 가장 빠른 길일 것이다. 남자의 사전적 의미가 정확히 무엇이냐고 물으면 딱히 답하기가 힘들겠지만, 적어도 우리는 그것이 여자의 상대어라는 것은 안다. 하지만 남자의 의미를 여자의 상대어, 곧 대등적인 관계에서 의미..
일상인의 문학을 위하여 / 김대행 문학어와 일상어의 번지수 세상에 널리 퍼져 있는 오해가 있다. 문학의 언어는 우리가 사용하는 말과는 좀 다른 특별한 말이라는 생각이다. 언어에는 과학적 용법과 정서적 용법¤이 있다는 식의 나누기가 그것이다. 이런 오해가 생긴 것은 그 알량한 학자들 때문이다. 그러나 생각해 보자. 서울시에 종로구가 있고 서대문구가 있다 해서 그 두 구 사이에 무슨 차이가 있는가? 그것은 행정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언어의 용법이라는 것도 마찬가지다. 학문하는 사람들이 편의를 위해서 그렇게 나누어 생각한 것일 따름이지, 실제로 문학의 언어와 과학의 언어가 다를 까닭이 없다. 더구나 우리 일상인이 사용하는 말과 문학하는 사람의 말에 차이가 있을 리 없다. 아니 오히려 일상인의 말에 가장 충실..
말과 글의 중요성 / 김수업 언어와 사회․문화의 관계 사회(社會)란 사람들이 어우러져 살아가는 공동체를 뜻하고, 문화(文化)란 그 공동체의 사람들이 만들어 내는 삶의 자취를 뜻한다. 따라서, 사람들이 어우러져 살아가는 사회가 있으면 반드시 그 사람들의 삶으로 나타나는 문화가 있게 마련이다. 그런데 사람들이 어우러져 사회라는 공동체를 이루고 살아가려면, 말(언어)이 사람들 사이를 오가며 묶어 주는 노릇을 하고, 사람들이 삶의 자취를 문화로 만드는 데에도 그 도구 노릇을 해야 한다. 또한, 말 자체가 문화의 자료가 되어야 한다. 이처럼 사회란 말이 사람들을 묶어 주어서 이루어지고, 문화란 말을 도구 또는 자료로 삼아 만들어지는 까닭에, 말과 사회․문화 사이에는 뗄 수 없는 관계가 성립한다. 그러나 그 관계가..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