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감정이입이란 무엇인가 / 이상섭 대상(곧, 자연계)과 인간에 대하여 가지는 자신의 감정을 저도 모르게 다시 그 대상과 인간에게 옮겨 넣고 마치 자신과 같은 감정을 가지고 있는 듯이 느끼는 것을 감정이입이라 한다. 예를 들어, 흐르는 시냇물은 소리를 늘 내며 흘러가지만, 감정을 느끼는 주체자가 슬플 때는 냇물 소리가 슬프게 느껴져 처량한 소리를 낸다고 하고, 주체자가 기쁠 때는 명랑한 소리를 내며 흘러간다고 느끼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한 독자가 소설의 주인공과 자기를 동일시(同一視)하여 그 주인공이 웃었다는 대목에 이르러서는 자기도 같은 마음에서 따라 웃었다는 것, 또는 무섭게 찡그린 배우의 얼굴을 보면서 관객이 자기도 모르게 얼굴을 찡그리는 것 등은 다 감정이입의 결과이다. 독일의 헤르만 로체가 ..
‘봄봄’(김유정)의 재미난 소설 수업 [1교시 : 웃음에 대하여] 1. 이 소설을 무심코 읽어가노라면 자주 웃음이 쿡쿡 터지는 것을 막을 수 없다. 그 웃음이 어째서 생겨나는 것인지 말하여 보자. ① 적극적인 장인님의 자비심 없는 폭력에 당하기만 하던 ‘내’가 결연히 일어서서 일시적으로나마 힘으로 장인님을 굴복시키는 장면이다. 이런 장면에서 독자들은 잠시나마 웃음과 함께 고소한 기쁨을 맛보게 되는 것이다. ☞ 이 녀석의 장인님을, 하고 눈에서 불이 퍽 나서 그 아래 밭 있는 넝알로 그대로 떼밀어 굴려버렸다. 조금 있다가 장인님이 씩, 씩, 하고 한 번 해볼려고 기어오르는 걸 얼른 또 떼밀어 굴려버렸다. 기어오르면 굴리고 굴리면 기어오르고 이러길 한 너덧 번을 하며 그럴적마다 ‘부려만 먹구 왜 성례 안 하..
아동문학( 兒童文學 - children's literature) 어린이를 즐겁게 하거나 가르치기 위해 글로 쓴 작품과 거기에 딸린 삽화를 통틀어 일컫는 말. 이 장르는 세계문학의 고전으로 인정받는 작품을 포함하여 어린이만을 위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쓴 소설·그림책·동화·자장가·우화·민요와 그밖에 주로 구전되어온 자료 등 광범위한 작품을 포괄한다. 아동문학은 18세기 후반에야 다른 장르와 뚜렷이 구별되는 독자적인 형태로 등장했기 때문에 비교적 최근의 문학이라 할 수 있다. 아동문학이 이렇게 늦게 발달한 이유는 경제적·사회적 요인에서 찾을 수 있다. 근대 이전에는 어린이를 단순히 어른을 축소시켜놓은 작은 존재로 생각하는 경향이 널리 퍼져 있었으므로 어린이만의 독특한 요구와 이해 수준에 맞는 문학이 필요하다..
동화(童話) 동심을 바탕으로 어린이를 위하여 지은 산문문학의 한 갈래. 동화의 정의는 광의냐, 협의냐에 따라 그 범주와 의미가 달라진다. 동화는 옛날이야기 · 민담 ( 民譚 ) · 우화(寓話) · 신화 ( 神話 ) · 전설 ( 傳說 ) 등과 같은 설화의 종류가 아니라 그러한 것을 재구성, 고치거나 또는 그러한 특징을 동화라는 형태 속에 포용한 것이다. 그러므로 동화가 지향하는 것은 종래 있어온 단순히 어린이를 위한 이야기의 재구성이라기보다는 시 정신(詩精神)에 입각한 인간 보편의 진실을 상징으로 표현하려는 데에 있다. 동화의 문예적 우수성은 ① 뛰어난 상징으로 커다란 유열(愉悅 : 좋아하여 탐닉함)과 황홀한 미감을 주며, ② 풍부한 정서로 비교할 수 없는 인간성의 미묘함을 보여 주며, ③ 다양한 활동에 ..
고전문학의 흐름과 감상 * 고전 문학사 시대구분 1. 국문학의 여명기 (918년 고려건국 이전) - 고대국가, 삼국, 통일신라 2. 한문 문학과 국문 문학의 갈등기 (1392 조선 건국 이전) - 고려 3. 국문 문학의 정착과 시가의 난숙 (1592 임진왜란 이전) - 조선 전기 4. 평민 의식의 성장과 산문 문학의 발달 (1894 갑오경장 이전) - 조선 후기 1. 국문학의 여명기(상고시대의 문학) · 지역 : 만주 일대와 한반도 전역 · 문화 : 청동기 시대 이후 · 국가 : 고대 국가. 통일 신라 1. 국중 대회와 건국 신화 (1) 건국 신화(건국 서사시) : 민족의 이동과 천신족의 우월감, 건국과정 및 원초적인 세계관의 집약적 반영 고대 국가 신 화 기 타 고조선 단군신화 우리 나라의 건국 신화,..
조선전기 문학사 1. 조선건국(14C말)부터 임진왜란(16C말)까지 약 200년 간 2. 훈민정음의 창제(1443창제, 1446 반포) - 구비 문학의 기재(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 우리 글로 문학 작품을 창작하게 됨, - 한문 전적(典籍)의 번역[諺解(언해)]-국문학의 발전을 촉진함 3. 악장의 출현 - 조선 왕조의 건국 위업을 찬양, 왕실의 무궁한 발전을 축원, 궁중 음악 4. 설화의 발전과 중국 소설의 영향으로 전기체 소설 등장(한문 소설) 5. 가사의 출현(경기체가의 붕괴로), 시조와 더불어 형식면에서 운문 문학이 지배적임 6. 귀족, 양반 계층이 주축이 됨 7. 사상적 배경 - 유교 불교 사상을 바탕으로 함, 성리학(性理學)의 도입 1. 악장의 개념 - 일정한..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