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백상루별곡(百祥樓別曲) 요점 정리 연대 : 선조 28(1595) 작자 : 이현 형식 : 총136구의 가사 주제 : 백상루에 주변 정경과 사적, 그리고 임지에서의 한가로운 생활을 노래 내용 연구 이해와 감상 한음군 이현이 선조 28년(1595)에 영위사로 평북 안주에 머물기 1년 반에, 그 곳의 백상루가 전망이 좋은 누대였는데 이 누를 노래하여 곡을 붙여 널리 전파하고자 별곡을 지어달라는 지방민들의 간청을 받고 지은 가사로 창작 동기가 특이한 작품이다. 작품 내용은 백상루의 제도와 누 위에서 바라본 청천강을 비롯한 주변의 경관과 그 고장의 역사와 치민 상황 등을 노래한 우리나라 서북지방의 아름다운 경치를 그린 현전 최고의 서경가사이고, 청아한 어운(語韻)과 선미(仙味)를 띤 시상(詩想)은 범작(凡作)을 넘..
백구사 백구사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백구가(白鷗歌)’라고도 한다. 모두 79구. 벼슬에서 쫓겨난 처사가 대자연 속을 거닐면서 아름다운 봄날의 경치를 완상하는 내용이다. ≪청구영언≫과 ≪가곡원류≫에 실려 전하며, ≪남훈태평가≫에도 비슷한 내용의 가사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은 임금에게 버림받은 작자가 백구가 나는 시골로 내려와 백구에게 놀라지 말라고 안심시키고, 함께 좋은 곳에 놀러 가자고 권유하는 대목으로부터 시작된다. 안개 자욱한 푸른 시내에 붉게 꽃이 피고 버드나무 파랗게 잎이 날 때, 깊은 골짜기 여러 봉우리에서 쏟아지는 폭포를 보고, 이곳이 바로 별천지라고 하였다. 뒤이어 높은 봉우리 삐죽 솟은 가에 맑은 시냇물이 흐르고, 그 곁에 푸른 대나무와 소나무 우거진 경치를 묘사하였다. 그리고는 명사..
미인별곡(美人別曲) 요점 정리 연대 : 조선 명종 때 작자 : 문인 봉래(蓬萊) 양사언(楊士彦)의 친필본. 첩책(牒冊)에 실려 있어 그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형식 : 모두 34행 68구의 짧은 가사 주제 : 미인의 아름다움을 읊고 더불어 즐기기를 희망 내용 연구 구성 기사 : 한 미인을 속세에 하강한 신녀로 지칭 본사 : 직유법에 의하여 미인을 형상화하여 찬미 결사 : 그 미인과 더불어 즐기고 싶은 심정을 노래 이해와 감상 본래 제명이 없는 것을 김동욱교수가 '미인별곡'으로 가제(假題미)하여 붙인 것이 '미인별곡'이라 명명되었는데 미인의 아름다움을 읊음은 희작(戱作)으로, 첫머리는 “그대를 내 모르랴, 무산(巫山)의 신녀(神女)로다”로 시작된다. 비유가 일률적이고 평범하여 송강(松江) 정철(鄭澈)의 《사..
무호가(武豪歌) 요점 정리 연대 : 조선 영·정조 작자 : 강응환(무신) 문체 : 국한문 혼용체 형식 : 3·4조와 4·4조가 주류를 이루고 있고,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가 128구 주제 : 무부(武夫)의 기상을 토로하면서 척청숭명의 대의를 이루지 못함을 한탄 내용 연구 조선 영·정조 연간에 강응환(姜膺煥)이 지은 가사. 국한문혼용체.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가 128구이다. 형식은 3·4조와 4·4조가 주조를 이루고 3·6조, 2·2조 등도 드물게 나온다. ≪물기재집 勿欺齋集≫에 수록되어 전한다. 이 가사는 작자가 젊었을 때 지은 노래로, 무부(武夫)의 기상을 토로하면서 척청숭명(斥淸崇明)의 대의를 이루지 못함을 한탄한 노래이다. 내용은 인간 만사 중에 부유(腐儒)의 글공부와, 농부의 농사와,..
목동문답가(牧童問答歌 ) 녹양 방초안에 소 먹이는 아이들아 인간 영락을 아는다 모르는다 인생 벽년이 풀끝에 이슬이라 삼만 육천일을 다 살아도 초초커든 수단이 명이어니 사생을 결할소냐 생애는 유한하되 사일을 무궁하다 역려 건곤에 부유같이 나왔다가 공명도 못 이루고 초목같이 썩어지면 공산 백골이 그 아니 느껴우냐 시서 백가를 자자히 외워내어 공맹 안증을 일마다 법받으며 직설을 기필하고 요순을 비겨내어 강구연월에 태평가를 불러 두고 사해 팔황을 수성에 올리기는 이음양 순사시 재상의 사업이요 백만 군병을 지휘중에 넣어 두고 풍운을 부쳐 내어 우주를 흔들기와 장검을 비끼 잡아 만적을 당하기와 자수금인을 허리아래 비끼 차고 황룡부에 통음하고 능연각에 회상하니 위권이 혁혁하여 오정식에 누리기는 장수의 모략이라 그 아..
명월음(明月吟) 요점 정리 작자 : 최현 연대 : 선조27 임진왜란 때로 추정 갈래 : 연군 가사(78구로 이루어짐) 성격 : 비유적, 상징적, 애상적, 우의적, 의지적 화자의 정서와 태도 : 구름이 달을 가린 것을 걱정하며, 다시 밝은 달을 보고자 함. 주제 : 나라의 위기에 대한 걱정과 임금에 대한 충정 특징 : 자연물을 상징적 의미로 사용하고, 대비되는 사물을 통해 내용을 전개했고, 부정적인 시대 상황(나라의 환란)을 구름에 달(임진왜란으로 몽진 길에 오른 임금)이 가려진 것에 비유하여 표현함 내용 연구 달아! 밝은 달아! 청천에 떴는 달아! 달아[시적 화자가 지향하는 존재로 임금을 상징]! 밝은 달아! 푸른 하늘에 떠있는 달아! 얼굴은 언제 나며, 밝기는 뉘 시켰나? 얼굴은 언제 났으며, 누가 시..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