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소설에서 주제의 표출 방법 ① 주요 사건을 통한 표출 - 주인공의 행동을 통해 ② 작가의 태도에 의한 표출 - 서술자의 어조에 의해 ③ 대단원을 통한 표출 - 결말의 이야기 결과에 의해 ④ 분위기를 통한 표출 - 배경이 주제를 암시함. - 채만식 의 표출 방법 허리를 안아 본다면, 아마 모르면 몰라도 한아름 하고도 반은 실히 될까 봅니다. 그런데다 가 키도 알맞게 다섯 자 아홉 치는 넉넉합니다. 얼핏 알아듣기 쉽게 빗대면, 그가 지금 타고 온 인력거가 장난감 같고, 그 큰 대문간이 들어서기도 전에 사뭇 그들막합니다. 얼굴도 좋습니 다. --- 서두 인물묘사 부분 ☞ 주제 표출방법 : 인물을 희화화(戱畵化)하여 풍자적 태도를 취함
이상향(理想鄕)을 지칭하는 용어들 국외 1. 토마스 모어 [유토피아] ---‘유토피아(utopia)' 2. 이백 문여하사서벽산(問余何事棲碧山) 소이부답심자한(笑而不答心自閑) 도화유수묘연거(桃花流水杳然去) 별유천지비인간(別有天地非人間) 3. 도연명(도잠) [도화원기(桃花源記)] --- ‘무릉도원(武陵桃源)’ 4. 서역(西域) --- ‘우타가꾸르’ 5. 아메리카 --- ‘엘도라도’ 6. 유럽 --- ‘애틀란티스’ 국내 1. 이청준 의 ‘이어도’ 2. 허균 의 ‘율도국’ “······ 차설 길동이 그 형을 이별 후에 제군을 권하여 농업을 힘쓰고, 군법을 일삼으며, 그럭저럭 삼년초토를 지내며, 양식이 넉넉하고, 수만 군졸이 무예와 기보하는 법이 천하에 최강하더라. 근처에 한 나라가 있으니 이름은 율도국이라. 중..
문학과 죽음 / 절명 시인 1. 신동집 시 2. 김남조 시 3. 천상병 시 4. 이형기 후기시 시의식 어젯밤 나는 바다를 죽였다 죽이는 자와 죽임을 당하는 자의 그 살기 찬 오르가즘 --- 중에서 5. 고은 시 6. 도종환 시 7. 이용악 시 8. 김현승 시 9. 정지용 시 10. 김광균 시 11. 고전 13 안수길 소설 14. 오상원 소설 결말부 * 흰 눈위를 걷는 포로 아군 소대장 15. 저승의 구조 진오기굿을 통해 본 세계의 구성은 분명히 셋으로 나뉘어 있는 것 같다. 곧, 이승과, 저승, 그 중간에 갓 죽은 망령이 거처하는 또 하나의 세계가 있다. 사람이 죽으면 영혼이 곧장 저승으로 가는 것이 아니다. 더구나 억울하게 죽은 영산(靈山) 원령(怨靈)들이 그러하다. 그들은 산사람 주변을 돌고 있다. ..
문학의 기원 (1) 심리학적 기원설 : 문학의 창작심리(예술충동, art impulse)를 중심으로 예술의 발생을 고찰 ① 모방본능설 :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제창. 인간은 모방 본능이 있고, 모방을 통해 배우며, 또한 모방 자체에서 희열을 느낌 ② 유희본능성 : 칸트. 노동에 비해 예술은 유희본능에서 시작되었다는 견해로서, 실러 (Schiller)가 학설화했고, 스펜스(Spencer)가 사회철학 입장에서 체계화함 ③ 흡인본능설 : 다윈 같은 진화론자에 의해 주장. 짐승과 같이 남을 끌어들이려는 흡인 본능 이 있어 문학예술을 창조 ④ 자기 표현본능설 : 허드슨이 주장 (2) 발생학적 기원설 : 이 학설은 고고학(考古學)과 인류학(人類學)의 입장에서 문학의 기원을 발생학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주로 박물관에..
빈녀양모(貧女養母) 설화 관련고사 : 삼국유사 효종랑(孝宗郞)이 남산 포석정에서 놀고 있을 때, 그 문객들이 달려 왔는데, 오직 두 사람만이 뒤늦게 왔다. 낭이 까닭을 물으니, 분황사 동쪽 마을에 한 이십 세 내외가 된 여자가 어미를 껴안고 울고 있으므로 동리 사람에세 그 이유를 물으니, 그 여자 집이 가난하여 걸식하여 그 어미를 봉양했으나, 마침 흉년이 되어 남의 집 품을 팔아 곡식 30석을 얻어 큰 부자집에 맡겨 두고 복역하면서, 날이 저물면 쌀을 가지고 와서 밥을 짓고 같이 자고, 새벽이면 그 부자 집에 가서 일하기를 수일 동안 했는데, 하루는 그 눈먼 어미(盲母)가, “전일 거친 음식은 마음이 편하더니, 요사이 좋은 음식은 속을 찌르는 것 같아 마음이 편하지 못하니 어찌 된 일이냐?” 고 물으니 ..
브나로드 운동(V Nnarod 運動) 조선일보사가 문자보급운동을 벌이자 [동아일보]에서도 1931년 7월부터 이 운동을 전개, 34년까지 4년간 지속했다. ‘브나로드’라는 말은 러시아어로 ‘민중(民衆)속으로’라는 뜻인데 19세기 러시아 지식계급이 노동자 혹은 농민 속에 뛰어들어 그들과 같이 생활하며 지도하던 새회 개혁의 민중 운동이다. 이때 [동아]에서 실시한 운동운 2천만 인구 중 80%에 가까운 문맹자들에게 우리글을 가르치면서, 미신타파, 금주운동, 축첩제의 폐지 등 주로 생활 개선, 문화생활을 계몽하고자 하는 이상에서 그 의의를 활용한 것이다. 이에 학생계몽대(남녀고등보통학생)를 주축으로하여 학생강연대(전문학교 이상 학생으로 구성), 학생기자대(고보 4,5년생) 등 세 분야로 조직, 활동했다. 한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