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인물(성격)의 제시 방법 말하기 ( telling ) = [분석적, 직접적, 해설적] 방법 : 서술자가 인물에 대해 판단, 분석하여 제시함(직접 논평(論評)하는 부분) 보여주기 ( showing ) = [간접적, 장면적, 극적, 입체적] 방법 : 서술자가 나서지 않고 ‘행동,대화’, 혹은 장면묘사, 심리 묘사를 통해 인물의 성격을 제시 1. 에서 ㉠ “두 친구” 서두 부분 : 할아버지의 성격 제시 - 보여 주기(잔소리 하는 장면) ㉡ 서술자 논평 부분 :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내면 심리를 직접적으로 제시한 부분 1) 머리가 덥수룩하고 꼴이 말이 아니라는 조부의 말눈치로 보아서 김병화가 온 것이 짐작 되었다. 2) 덕기는 병화의 부르주아, 부르주아 하는 소리가 듣기 싫었다. ~ 3) 아닌게 아니라 ..
참여시(參與詩) : 1960년대 성격과 참여시 이땅 근대사에서 60년대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여러 면에 걸쳐 어려운 시기이면서 또 중요한 시기였다. 광복 후의 혼란과 전란의 소용돌이를 마무리하면서 민주화를 실현해야 하고, 동시에 근대화를 추진해야 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분단상황 아래에서 추진돼야 했던 이 두가지 민족적 과제는 그 시작부터 험난한 시련을 겪지 않을 수 없었으며, 그 모순과 시련의 폭발이 4.19와 5.16이었다. 민주화 실천과 근대화의 추진은 분단상황에 따른 안보논리와 예리하게 부딪히면서 한계지워졌다. 따라서 5.16이후에는 민주화 문제보다도 근대화 문제가 최우선 과제로 추진되었으며, 그 결과 어느 정도 그러한 면에서는 성과를 거두었던 것이다. 그러나 4.19가 이땅에서 근원적..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 : 충신이 임금을 사모하는 노래. 1. 원류- 정서 -10구체 향가의 잔영 * 주제면 2. 원호의 시조 --- 3. 이개의 시조 --- 4. 정철 --- , 5. 정철 ㉠ “소양강 나린 믈이 어드러로 든단말고” (국어하 p.83) ㉡ “삼각산 제일봉이 하마면 뵈리로다”(국어하 p.83) ㉢ “진주관 죽서루 오십천 내린 믈이 태백산 그림재랄 동해로 다마 가니 찰하리 한강의 목멱 의 다히고져.” * 한강 ⇒ 남산 ⇒ 서울 ⇒ 임금의 연상 과정 6. 이항복 시조 ---
윤리지수(倫理指數-E.Q, Ethic Quotient) : 공생공존해야 하는 인류사회는 고도의 지능보다는 남을 배려해야 하고, 남과의 관계 덕목을 고향시키는 윤리적 성숙이 더 필요하고 중요한 것인데 이런 개인의 윤리적 성숙도를 측정하는 지수를 말함. 관련자료 혼담이 오고 갈 때 고려했던 요소들.(사전에 상대 가문의 윤리 성숙도를 내탐함) · 그 가문에 족보나 전래된 문집이 있는가? · 조부모나 무모에게 조석으로 문안드리는 가풍이 있는가? · 어릴 적부터 남녀유별을 가려 길렀는가? · 가문에 그 집 나름의 장, 김치, 술 등 특유한 전승되는 음식이 있는가? · 적어도 사내 아이는 [소학(小學)]을, 여아는 [여사서(女四書)]를 읽었는가? · 밥 먹을 때 어른보다 먼저 숟가락을 들거나 숟가락을 놓는가? · ..
문학에서의 집념(執念)과 좌절(挫折) - 황순원 * 주인공(송염감)의 배신과 좌절감. 장인(匠人)으로서의 집념 사이에서 전개됨. 젊은 아내가 7 살난 아들을 남겨놓고 그의 조수와 도망간 데서 작품은 시작되는데, 송영감은 어린 아들의 측 은한 모습을 보며 분노와 비탄에 잠긴다. 이를 떨쳐버리기 위해서 송영감은 독짓는 일에 몰두 하지만, 노쇠(老衰)한 체력, 어지러운 정신 때문에 물건들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 생계 수단이 자 삶의 의미인 유일한 독짓는 일에서조차 좌절하고 마는 것이다. 결국 아들을 양자로 보내고 최후를 선택한다. - 홍성원 중편 --- * 늙은 포수와 호랑이 사이의 끈질긴 싸움을 그린 이 소설은 외딴 산촌을 배경으로 맹수와의 투쟁에 인생의 마지막을 거는 포수의 집념이 인상 깊게 그려져 있다.
문학의 기능 및 효용 1. 교훈설 - 인생의 목적이나 진리의 깨우침, 계몽 차원(고대 동양의 문학관) * 호러스(Horace)가 시의 교훈성을 말한 근본 의도는 “시가 사람의 인격과 지혜를 향상시킨다.”는 뜻이었다. 다시 말해 문학은 종교나 도덕처럼 어떤 윤리, 신념, 가치를 직접적으로 가르치지 않고 사람들의 구체적인 삶의 모습을 형상화하여 보여줌으로써 독자들 스스로 삶의 진실을 발견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대개의 경우 간접적인 방법으로 이 기능이 이루어진다. (목적문학 : 신념, 주의 사상을 선전하기 위해 도식화된 주제를 미리 설정, 작품을 뜯어 맞춘 문학) 2. 쾌락설 - 독자에게 즐거움을 전해 줌 * 문학의 즐거움, 쾌락이란 말은 감각적 흥분이나 도취만을 가리키지 않는다. (‘즐거움’이란 용어가..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