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문학작품에 드러난 지식인(知識人)의 모습들 1. 김지하 시 2. --- 김기림 시 * 나비 : 일제 강점기의 근대적 지식인 일반이 가지고 있던 어리숙하고 순진했던 낭만적 정서를 대변하고 있다. 3. --- 임화 시 4. --- 유진오 소설 (1935) * 이 작품은 작자가 실제로 동경제국대학 강사로 지냈던 체험을 근거로 한 작품으로 출세를 위해 아첨과 모략을 일삼는 일본인 T교수와 무기력한 한국인 김강사를 대조시켜 당시의 지식 인상을 제시하고 있다. ① 김만필 · S전문학교 시간강사. · 대학을 갓 졸업, 세상 물정 모르는 책상물림. · 타락한 현실에 자신을 적응시키기 위해 타협하다 실패하는 소시민적 지식인 · 사회구조적 모순을 개혁하려 하지 않는 인물 ② T교수 : 일본인 교수로서 교무일을 맡고 있는 ..
자연주의(自然主義) : 인위적인 환경을 조성해 놓고, 인간 행동 양식을 실험하여 보는 문예사조의 한 방식 1. 김동인 에 대하여 ‘감자’의 주제는 크게 두 가지로 얘기될 수 있다. “첫째는, 대부분의 평자들이 지적하는 바, 자연주의적 사고 방식에 의한 현실 상황에 지배되는 인간성의 변이 과정을 형상화한 것이라는 점이다. (中略) 또한, 이재선(평자)은 이러한 관점에서 환경결정론(環境決定論)의 실험을 위해 도덕의 절대 제로화를 꾀한 반도덕적 요소와, 모든 인물, 사건을 환경에 의한 인과론적 연쇄의 그물에 넣는 결정론적 사고의 특징을 추출해 내면서, ‘감자’도 에밀 졸라의 ‘실험 소설론’에서 비롯되는 (자연주의적)특징을 일부 지니고 있음을 언급하기도 하였다.” --- 윤병로 , 2. --- 전영택 3. ..
자연관(自然觀)의 종류 ① 유교적 자연관 - 질서와 조화를 바탕으로 한 윤리적 자연관 ② 도교적 자연관 - 무위자연(無爲自然)를 바탕, 인위적 요소를 배격한 풍류적 자연관 ③ 현대적 자연관 - 보호하고 위안 받아야 할 자연.
인물의 인용 의도 1) 편작(扁鵲) : 의술이 뛰어난 사람 2) 제갈 량(諸葛亮) : 지략이 뛰어난 인물. 칠종칠금(七縱七擒) 고사 3) 손오 : 손자(孫子)와 오자(吳子) 곧,병법에 능한 인물 4) 조조(曹操) : 지략과 꾀에 능통. 5) 소장(蘇張) : 소진과 장의 곧, 언변이 뛰어난 사람 6) 운장(雲長) : 관운장. 무용(武勇)이 뛰어난 사람 7) 항우(項羽), 초나라 패왕 : 힘과 무용(武勇)이 뛰어남. 성질이 급하고, 귀가 엷으며 지레짐작을 잘하기로 유명함. --- ‘항우와 유방’ 8) 공맹(孔孟) : 공자와 맹자 곧 학문과 덕이 높은 사람 9) 진시황(秦始皇) : 폭군, 절대군주상 10) 자서 : 매우 용기 있는 자. 겸인지용 11) 요순(堯舜) : 태평한 세월을 만든 성군 12) 염파 : ..
이상과 희망을 노래한 문학 작품 1. --- 에서 ‘청산’(현실 도피의 공간) 2. --- 고은 시 * 어두운 현실 극복의 의지 - 이상적 세계 갈구 · ‘어둠’의 시어 : 밤하늘, 북풍 한설 3. 김광섭 시 * 평화로운 내심(內心)에 대한 동경 4. --- 김영랑 시 * 평화의 세계에 대한 소망 5. --- 노천명 시 * 실락원에 대한 동경 6. --- 박목월 시 * 동양적 이상향에 대한 향수 7. 오상순 시 에서 “바다” * 현실의 바다이기보다는 이상 속의 바다, 자유와 생명의 상징으로서의 바다임. 8. 박두진 시 에서 “청산” (소망의 세계) 9. --- 윤동주 시 * 이상향에 대한 동경 (4~5연) 10. --- 서정주 시 “바다”, “하늘” “서(西)으로” * 이상향에 ..
‘이별(離別)·사별(死別)의 아픔 ( + 그리움 )’을 노래한 작품 1. --- 고려가요 가시리 가시리잇고 리고 가시리잇고 // 날러는 엇디 살라 고 리고 가시리잇고. // 잡와 두어리마 선면 아니 올셰라. // 셜온 님 보내노니 가시 도셔 오쇼셔. // * 시적 자아 태도 : 임과의 이별과 임에 대한 당부 2. --- 허난설헌 가사 아마도 이 님의 지위로 살동말동 여라.(낙구) * 임과의 이별 뒤의 비애와 절망(자포자기적 태도) 3. --- 정철 가사 님이야 날인 줄 모셔도 내 님 조려 노라.(낙구) * 임과 이별한 상태에서 그리움과 재회에의 소망(의지적 태도) 4. 명종 때 기녀 ‘계랑’의 시조 梨花雨(이화우) 흣릴 제 울며 잡고 離別(이별) 님 추풍낙엽(秋風..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