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관동별곡에서 자연을 아름답게 묘사한 구절들 / 정철
관동별곡에서 자연을 아름답게 묘사한 구절들 / 정철
- 가사
- · 2021. 5. 21.
반응형
1. 고려 속요의 특징 1) 배경 : 평민들이 향유한 평민문학 (당시의 사회상이 잘 반영됨. 구전되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 문자로 정착되었기에 많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정) 2) 형식 : 대부분 연시(聯詩) - 분장체(分章體) 3․3․2조, 3․3․4조 4․4․4조 등(후렴구 가짐) 3) 내용 : 현세적 / 향락적 / 남녀간의 솔직한 애정 4) 표현기교의 특징 : 3음보가 주조를 이룸. 음운의 교묘한 배합, 유음과 유성음의 조화, 동음이나 첩어의 반복 등 비유법과 상징법 구사 5) 문헌 정착 : 구전되다가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고려사] ‘악지’에 정착됨 2. ‘청산별곡’의 시대적 배경 청산별곡의 창작 시기는 고려 후기 무신의 집권과 몽골의 침입으로 인하여 고려 전체가 내우 외환..
가사 문학에 대하여 (1) 개념 한국 고전 문학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문학 형태로, 시조와 함께 조선조의 대표적인 국문 시가이다. 조선 전기에는 주로 양반 사대부들에 의해 지어졌지만, 조선 후기로 오면 작자층이 확대되어 서민과 양반 사대부 계층의 부녀자들이 가사 창작에 참여하여 그들의 애환을 표출했다. (2) 기원과 발생 가사의 기원에 대해서는 고려 속요 또는 경기체가에 기원을 두고 있다는 설, 4음보의 연속체 교술 민요가 기록 문학으로 전환되면서 이루어졌다는 설, 나 등 악장의 형식이 그 기원이라는 설, 시조 기원설 등이 있지만, 아직까지 정설로 인정되는 주장은 없다. 가사의 발생에 대해서 역시 기원에 대한 견해들과 같이 많은 주장들이 있는데, 조선조 초기 정극인의 을 효시로 보자는 입장과 고려말 ..
관동별곡에서 자연을 아름답게 묘사한 구절들 / 정철
어부사시사의 후렴구(조흥구)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는 ‘찌그덕 찌끄덕 어기여차’의 의미로 배를 저을 때 나는 소리의 의성어와 노를 저을 때 어기어차 외치는 소리의 의성어이다. ‘돋 다라라’는 ‘돛을 달아라’는 뜻으로 쓰였다. 이 조흥구의 시적 기능은 흥취를 돋우는 데 있다. 또 조흥구는 내용과 맞아 떨어져 작품의 정서와 의미를 강화시킨다. 구 분 조 흥 구 위 치 조 흥 구 위 치 제1수 라, 라 초 장 至菊悤(지국총) 至菊悤(지국총) 於思臥(어사와) 중 장 다 음 제2수 닫 드러라, 닫 드러라 제3수 돋 라라, 돋 라라 제4수 이러라, 이어라 제5수 이어라, 이어라 제6수 돋 디여라, 돋 디여라 제7수 셰여라, 셰여라 제8수 여라, 여라 제9수 닫 디여라, 닫 디여라 ..
서경별곡 서경(西京)이 아즐가 서경(西京)이 셔울히 마르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닷곤대 아즐가 닷곤대 쇼셩경 고외마른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여해므론 아즐가 여해므론 질삼뵈 바리시고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괴시란대 아즐가 괴시란대 우러곰 좃니노이다.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이별의 거부와 연모의 정 구스리 아즐가 구스리 바회예 디신달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긴히딴 아즐가 긴힛딴 그츠리잇가 나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즈믄해를 아즐가 즈믄해를 외오곰 녀신달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신(信)잇단 아즐가 신(信)잇단 그츠리잇가 나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변함없는 사랑과 믿음의 맹세 대동강(大同江) 아즐가 대동강(大同江) 너븐디 몰라셔 위 두어렁셩..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