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가사 문학에 대하여

by 송화은율
반응형

 가사 문학에 대하여

 

(1) 개념

한국 고전 문학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문학 형태로, 시조와 함께 조선조의 대표적인 국문 시가이다. 조선 전기에는 주로 양반 사대부들에 의해 지어졌지만, 조선 후기로 오면 작자층이 확대되어 서민과 양반 사대부 계층의 부녀자들이 가사 창작에 참여하여 그들의 애환을 표출했다.

 

(2) 기원과 발생

가사의 기원에 대해서는 고려 속요 또는 경기체가에 기원을 두고 있다는 설, 4음보의 연속체 교술 민요가 기록 문학으로 전환되면서 이루어졌다는 설, <용비어천가><월인천강지곡>등 악장의 형식이 그 기원이라는 설, 시조 기원설 등이 있지만, 아직까지 정설로 인정되는 주장은 없다. 가사의 발생에 대해서 역시 기원에 대한 견해들과 같이 많은 주장들이 있는데, 조선조 초기 정극인의 <상춘곡>을 효시로 보자는 입장과 고려말 나옹화상의 <서왕가>를 효시로 보자는 입장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상춘곡>을 효시로 보자는 입장이 정설로 인정되고 있다.

 

(3) 형식

34조 또는 44조를 기본으로 한 4음보의 연속체 운문이며, 마지막 구절이 시조의 종장과 유사하게 끝나는 것을 정격가사라고 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 구가 음수율의 제한을 받지 않는 것을 변격가사라고 한다.

 

(4) 성격

가사의 성격에 대해서는, 가사가 시가와 문필의 중간 형태로 시가 문학에서 산문 문학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장르라는 주장이 있는 이래로 많은 학설들이 제기되었다. 가사가 율문으로 된 수필이라는 주장, 율문으로 된 교술 문학이라는 주장 등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할 것이다.

 

(5) 가사의 전개 과정

가사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양반이 가사의 주요 작자층이었던 조선 전기, 평민과 부녀자층이 새로운 작자층으로 부상한 조선 후기, 개화기의 가사 등의 세 시기가 그것이다.

 

조선 전기의 가사는 양반층이 창작을 주도하였던 만큼 시조와 비슷한 내용을 주로 하고 있다. 즉 이 시기의 가사는 송순, 정철 등과 같이 벼슬길에서 물러나 자연에 묻혀 살아가는 생활을 주로 담고 있으면서, 임금의 은혜를 잊지 못하는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의 성격을 지닌다. 특히 정철의 가사작품은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십분 살린 훌륭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조선 후기의 가사는 대체로 산문적인 경향을 띠며, 현실에서의 구체적인 경험이 직설적으로 표현되는 양상을 띤다. 임금으로서의 이 아니라, 사랑하는 대상으로서의 에 대한 연정이 표현되기에 이르렀고, 규방에 대한 갑갑함을 하소연하는 부녀자들의 내방 가사나 지배층에 대한 비판을 내용으로 하는 평민 가사가 창작되기고 했다. 한편 조선 후기에는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와 같은 장편 기행 가사가 만들어졌다.

 

(6) 작품

서왕가 : 고려말, 나옹화상. 세사에 집착하는 중생에게 불교 귀의 권장

상춘곡 : 성종 1(1470), 정극인. 전라 태인에 은거하면서 춘경을 노래

매창월가(梅窓月歌) : 성종 6, 이인형. 시골에서 한가하게 자연을 즐기는 사대부의 풍류를 노래

만분가(萬憤歌) : 연산군 4(1498), 조위. 무오사화(1498) 때 유배지인 전남 순천에서 지은 유배 가사

면앙정가 : 중종 19(1524), 송순. 향리인 담양에 정자(면앙정)를 짓고 그곳 자연미와 정취를 노래.

선반가(宣飯歌) : 중종 22, 권씨. 이현보가 부승지가 되어 자당을 뵈어 올 때 어머니가 지어 몸종들에게 가르쳐 영접의 잔치에서 부르게 한 것. 내방 가사의 효시

역대가 : 중종, 진복창. 역대 제왕과 성현의 사적 찬양

권선지로가(勸善指路歌, 별칭-권의지로사) : 명종, 조식. 세속을 근심하고, 후학에게 도덕을 가르치는 노래

남정가(南征歌) : 명종 10(1555), 양사준. 을묘왜변(1555) 때 남정군으로 왜적을 물리친 전쟁 가사

관서별곡(關西別曲) : 명종 11(1556), 백광홍. 관서의 자연경치를 노. 기성별곡과 향산별곡으로 되어 있음. 송강의 <관동별곡>에 영향을

환산별곡 : 명종, 이황. 세속을 근심하고 전원에서 유유자적하는 생활을 노래함. ‘낙빈가와 함께 [청구영언]에 전함

목동문답가 : 명종, 이황. 부귀영화를 버리고 초야에서 소나 먹이며 살겠다는 안빈낙도의 생활을 노래

자경별곡 : 선조 9(1576), 이이. 향풍을 바로잡기 위한 도덕 가사

낙빈가 : 선조, 이이. 작자가 관계를 물러난 은퇴기에 안빈낙도하는 생활 신념을 노래한 은일 가사

낙지가(樂志歌) : 선조, 이이. 전원 생활의 즐거움을 노래한 은일 가사

도산가 : 선조, 고응척. 임란을 피해 도산의 유곡(幽谷)에 은거하는 생활 을 노래한 은일 가사

성산별곡 : 명종 15(1560), 정철. 성산의 자연미와 김성원의 풍류 노래

관동별곡 : 선조 13(1580),정철. 강원 관찰사로 부임, 그 곳의 자연 경관을 노래한 기행 가사

사미인곡 : 선조, 정철. 창평에 귀양가서 임(선조 임금)을 그리는 내용으 로 충신연주지사

속미인곡 : 선조, 정철. 사미인곡의 속편

 

서호별곡 : 선조, 허강. 한강의 풍치를 노래

 

백상루별곡 : 선조, 이현. 백상루 부근의 풍치와 선정(善政)의 모습 노래

 

강촌별곡(江村別曲) : 선조, 차천로. 벼슬에서 물러나서 지내는 전원 한

 

규원가(閨怨歌, 원부사) : 선조, 허난설헌. 유교 사회 체제 아래 가정에묻혀 있는 여자의 애원을 노래한 규방 가사

 

고공가 : 선조 임란 직후, 허전. 농사로써 나라 일을 비겨 관리들의 파당적 행위와 정치적 무능을 비판하였다.

 

고공답주인가 : 임진왜란 이후, 이원익. 나라 다스리는 도리를 농사에 비유하여, 붕당 싸움에 열중하는 현실을 개탄풍자한 가사. 허전의 고공가에 답한 것이다.

 

태평사 : 선조 31(1598), 박인로. 왜적을 몰아내고 태평 세월의 도래를 갈구함으로써 수군을 위로한 노래. 전쟁 가사

 

선상탄 : 선조 38(1605), 박인로. 임진왜란 뒤 바다에 대한 근심이 끊이지 않을 때, 왜적을 미워하고 평화를 갈구하는 뜻을 읊은 노래. 전쟁 가

 

누항사 : 광해군 3(1611), 박인로. 이덕형과 교유하면서 지은 가사. 한음이 노계의 고생스런 생활을 물었을 때, 가난하지만 안빈낙도하는 심회와 생활상을 읊은 작품이다.

 

독락당 : 광해군 11년경, 박인로. 옥산서원 독락당을 찾아가, 회재 이언적 선생을 추모하고 그 곳 경치를 읊은 것이다.

 

노계가 : 인조 14(1636), 박인로. 지은이가 만년에 숨어 살던 노계의 경치를 읊은 것이다.

 

농가월령가 : 헌종, 정학유. 농가의 연중 행사와 풍습을 월령체로 노래하였다.

 

일동장유가 : 영조 39(1763), 김인겸. 지은이가 영조 39년부터 40년까지 일본 통신사 조엄의 서기로 갔다가 견문한 바를 노래한 기행 가사

 

만언사 : 정조, 안조환. 대전 별감이던 지은이가 추자도로 귀양가서 겪은 천신 만고의 참상을 노래한 유배 가사

 

용담유사 : 철종 11(1860), 최제우. 동학을 창건한 최제우가 천도교의 포덕을 위하여 용담가안심가교훈가 등 8편의 가사를 지었는데 이를 총칭하여 용담유사라 한다.

 

북천가 : 철종 4(1853), 김진형. 함경도 명천에 귀양 갔다가 돌아오기까지의 생활과 견문을 쓴 유배 가사로 칠보산 단풍놀이, 군산월과의 사랑 등 호화스러운 생활 모습은 만언사와 대조적이다.

 

연행가 : 고종 3(1866), 홍순학. 청나라로 가는 사신의 서장관이 되어 북경에 가서 견문한 바를 읊은 기행 가사이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