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관동별곡 / 전문 해석 / 정철
- 가사
- · 2021. 6. 8.

가시리 / 요약정리 및 분석
- 고려가요
- · 2021. 6. 5.
반응형
가사부전 고대가요 : 고구려, 백제, 신라 가요명 내용 (배경설화) 비고 연양가 연양현의 한 머슴이 자기 몸을 아끼지 않고 충실히 일할 것을 다짐 고구려 [고려사]악지 내원성가 항복해 온 오랑캐를 내원성에 정착시켜 성 이름을 내원성이라 하고 이 노래를 부름 고구려 상동 명주가 공부하러 강릉에 갔던 한 청년이 그곳 처녀와 헤어진 뒤 극적으로 다시 만남을 노래 고구려 상동 지리산사 구례현의 여인이 왕의 입궁 명령을 거절하며 부름 백제 선운산가 변경에 나가 돌아오지 않는 남편을 기다리며 부른 노래 백제 무등산가 무등산에 성을 쌓으니 백성들이 그 안전 무사함을 기뻐한 노래 백제 회소곡 유리왕 때, 한가위에 부녀자들이 길쌈내기를 하며 부른 노래 신라 목주가 목주 효녀의 효심가. 과 관련 신라 대악 백결선생. 방앗..
윤선도의 ‘어부사시사’ 전체 개관 ․작품 해설 : 1651년(효종 2)에 윤선도가 지은 40수의 단가. 작자와 창작 연대를 알 수 없는 고려 후기의 를 전승받아 이현보에 이어 재창작한 작품이다. 보길도를 개경으로 지은 것으로 춘하추동 10수로, 작품마다 여음이 삽입되어 있다. 이 여음은 출범에서 귀선까지의 과정을 조리정연하게 보여 준다. 즉, 먼저 배를 띄우고, 닻을 들고, 돛을 달아 놓고 노를 저으며 노래를 읊다가 돛을 내리고 배를 세우고, 배를 매어 놓고, 닻을 내리고, 배를 뭍으로 붙여놓는 것으로 여음이 짜여 있다. [악장가사]에 수록되어 있는 작자 미상의 와 이현보가 새로 창작한 는 모두 자연을 관조하고 그것을 완상하며 즐기는 관찰자 시점, 혹은 유람자 관점으로 어부생활을 읊은 것이다. 즉, 이들..
판소리에 대해 가. 문체 판소리계 소설은 사설을 문자로 고정시킨 것이므로 문체에서도 공연을 목적으로 했던 사설의 여러 특징이 먼저 눈에 띈다. 단순한 서술체문장에서 보기 어려운 율문적 문장체는 곧 창의 대본이었음을 말해준다. 장편구비 서사시로 사설의 장르를 분류하는 사람도 있지만 워낙 노래를 위한 바탕글에 목적을 두다보니 자연 문장 길이가 짧아지고 3-4음을 기본으로한 리듬이 알맞게 되었다. 문법 구조상 이야기 식의 문장이 되지 못하고 숨의 휴지에 의한 제약과 함께 노래의 율동을 돕고 그 의미를 명료하게 전하기 위해 문장이 짧아지지 않을 수 없었던 것도 또 다른 까닭이었다. 판소리 사설은 아니리와 창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아무래도 창의 부분에 율문이 많이 들어가고 아니리 부분은 산문 위주로 처리될 것이..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