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정읍사(井邑詞) 달님이시여, 높이 높이 돋으시어 멀리 멀리 비춰 주소서. 시장에 가 계신가요? 위험한 곳을 디딜까 두렵습니다. 어느 곳에서나 놓으십시오. 당신 가시는 곳에 저물까 두렵습니다. 달님이시여, 좀더 높이높이 돋으시어 멀리 비추어 주소서 지금쯤 전주 시장에 가 계시옵니까? 어두운 밤길을 가시다가 혹시 진데를 디뎌 흙탕물에 빠지지나 않을까 걱정이 되옵니다. 몸이 고달프실 텐데 아무 데나 짐을 부려놓고 편안히 쉬소서 당신이 가시는 길에 날이 저물까 두렵사옵니다. - 金 東 必 달님이시여, 좀더 높이 돋으시어 멀리 비추어 주십시오 시장에 가 계십니까? 진 데를 디딜까 두렵습니다 어느 것이나 다 부려놓고 오십시오 나의 가는 데가 저물까 두렵습니다. - 朴 晟 義 저기 저 달님이시여! 높이높이 돋아 올라..
황조가(黃鳥歌) / 유리왕 翩翩黃鳥 편편황조 펄펄 나는 저 꾀꼬리는 雌雄相依 자웅상의 쌍쌍이 즐기는데,(암수 다정히 노니는데) 念我之獨 념아지독 외로운 이 내 몸은(외로워라, 이 내 몸은) 誰其與歸 수기여귀 뉘와 함께 돌아갈꼬.(뉘와 함께 돌아가리) 펄펄 나는 꾀꼬리는 암수가 서로 정다운데 외로운 이내 몸은 뉘와 함께 돌아갈꼬. 요점정리 지은이 : 고구려 2대 유리왕 연대 : 유리왕 3년 갈래 : 4언 4구의 한역 시가, 개인적 서정시 성격 : 우의적, 애상적 표현 : 자연물을 빌려 우의[(寓意) : 다른 사물에 빗대어 비유적인 뜻을 나타내거나 풍자함. 또는 그런 의미.]적으로 표현, 대조, 의태, 설의[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사실을 의문의 형식으로 표현하여 상대편이 스스로 판단하게 하는 수사법.]적 표..
내원성가 - 요점 정리 - 지은이 : 미상 - 연대 : 미상(고구려로 추정) - 갈래 : 고대 가요로 추정 - 특징 : 내원성의 유래를 읊은 노래로 가사는 전하지 않는다. 다만 '삼국사기'에 따르면 고구려의 변방인 정주(靜州) 섬에 있던 성(城)에 오랑캐의 투항자들을 정착시켰는데, 그 성의 이름이 내원성이며, 이를 다시 노래로 지어서 '내원성가'라 하였다고 되어 있다. 또, '고려사' 에도 그 곡명과 유래가 적혀 있다. 심화 자료 내원성 고려 초 여진이 장악하였는데, 991년(성종 10) 거란이 성장하면서 고려와 송(宋)나라의 교통을 차단할 목적으로 이곳을 점령하였다. 993년에 거란이 소손녕(蕭遜寧)을 보내어 침략한 다음에 서희(徐熙)의 담판으로 외교관계가 성립되자, 양국을 왕래하는 교통 요지가 되었다..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