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효부전(孝婦傳)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호랑이의 도움으로 잘 살게 된 효부에 관한 민간설화를 소재로 한 작품이나, 그 문학적 형상화는 미흡한 수준의 범작이다. 태조대왕 즉위 초년에, 충청도 옥천에 군자로 이름 있는 최만상이 1남 1녀를 두었다. 딸은 이름이 벽현으로서 16세에 그 고을 박취의 아들 일근과 성혼하였으나, 일근이 여섯삭 만에 병으로 죽고 시어머니 유씨도 죽어, 눈이 어두운 시아버지를 극진히 봉양하며 살았다. 하루는 친정어머니가 병들었다는 전갈을 받고 뵈러 가는 길에 큰 범을 만났으나, 자신의 사정을 간곡히 호소하니 범이 길을 인도하여 준다. 친정에 이르러 보니 자신을 다른 곳에 재가시키려는 친정 식구들의 계교인 것을 알고 바로 시댁으로 돌아가 시아버..
황주목사계자기(黃州牧使戒子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본. 1848년에 간행된 목판본 ≪ 삼설기 三說記 ≫ 에 실린 작품 중의 하나이다. 활자본 조선서관판 ≪ 별삼설기 別三說記 ≫ 에는 ‘ 황주목사기 ’ 라는 표제로 되어 있다. 옛날 동촌 이화정에 윤수현이라는 명관이 있었다. 윤공은 아들 삼형제를 두었는데, 장남 용필은 20세로 재주는 많으나 교만하고, 차남 봉필은 18세로 고집이 세고, 삼남 귀필은 16세로 뒤숭숭하고 술렁술렁한 도령이다. 윤공은 황주목사가 되어 부임하면서 세 아들로 하여금 양반의 자식으로서 갖추어야 할 행실을 닦도록 하기 위해 함께 데리고 간다. 세 아들은 말로는 공부에 힘쓸 것이라고 하여 윤공을 안심시키지만, 실제로는 공부는 하지 않고 셋이 각각 기생 하나..
황운전(黃雲傳)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 필사본(국립중앙도서관본, 전 5권 1질) · 경판본(3권 1책 59장본, 1권 1책 31장본) · 활판본(신구서림, 1916) 등이 있으나, 내용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이본에 따라 ‘ 황운셜연전 ’ · ‘ 황셜녹 ’ · ‘ 황장군전(黃將軍傳) ’ 등으로 되어 있기도 하다. 이 작품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황운은 송나라 승상이 늙어서 낳은 자식이다. 황운은 자라서 같은 마을에서 같은 날에 태어난 설학사의 딸과 약혼한다. 그러나 황운은 아버지가 유배가게 되고, 어머니가 죽자 산에 들어가 도술을 닦는다. 이때 양어사의 아들이 설소저에게 구혼하나 거절한다. 이에 앙심을 품은 양어서가 설학사를 모함하여 유배보내자, 부인 조씨부인은 병에 걸려 ..
황부인전(黃夫人傳)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본. 필사본과 활자본이 있다. 필사본은 표제가 ‘ 황처사전 ( 黃處士傳 ) ’ 으로 국립중앙도서관에 있으며, 활자본은 ‘ 황부인전 ’ 이라는 표제로 영창서관 · 한흥서림 · 세창서관 등에서 간행되었다. 그 내용은 제갈량의 부인인 황부인에 관한 것으로서, 〈 삼국지연의 〉 로부터 파생된 작품이라 하겠다. 작품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한나라 말년, 효령황제 때 형주 땅 구월산에 황승언이라는 처사가 살고 있었다(필사본 ‘ 황처사전 ’ 에는 헌제 때의 황경은으로 되어 있음.). 나이 마흔이 되도록 자식이 없다가 늦게야 딸을 낳는데 용모가 매우 추하고, 성장하여 16세가 되었으나 배필을 정하지 못하였다. 황소저의 꿈에 한 도인이 나..
황릉몽환기(黃陵夢還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책 표지에 “ 잡기휘집 경안재 수필(雜記彙集 慶安齋 手筆) ”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 충목공신도비명 忠穆公神道碑銘 〉 과 합철되어 있다. 몽유록(夢遊錄) 양식에 속하는 작품이다. 조선의 두 서생이 꿈에 요(堯)임금의 딸로서 순(舜) 임금의 이비(二妃)가 되었던 아황(娥皇) · 여영(女英)과, 주(周)나라 문왕 ( 文王 )의 비(妃)인 태사(太 怒 ), 그리고 명나라 효문공의 부인을 만나, 역사적 평가 속에 가려진 인간으로서의 비애에 대해서 이야기를 듣고 꿈에서 깬다는 내용이다. 작품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명(明)나라 숭정연간(崇禎年間)에 조선 영남의 선비 경암과 호서의 선비 계암은 대대 명문의 후예이나 일찍부터 ..
화충전(華蟲傳)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2권 2책(1권은 32장, 2권은 31장으로 총 63장). 국문필사본. 겉표지에는 ‘ 화충전 ( 華蟲傳 ) ’ 이라 되어 있으나, 본문이 시작되는 부분에는 ‘ 화츙션 沂 젼 ’ 으로 되어 있다. 임진년(壬辰年) 윤6월에 도동(桃洞) 윤생원댁(尹生員宅)에서 필사했다는 후기(後記)가 있다. 윤6월이 들어 있는 임진년은 1892년에 해당된다. 그 대체적인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화충선생이라 불리는 장끼는 매년 70석을 추수했으나 12남 9녀가 모두 먹어치워, 겨울이 되자 가족 모두 굶주리게 된다. 이에 도둑질을 하여 부유하다고 소문이 난 서대쥐에게 곡식을 꾸러 간다. 서대쥐 집 앞에 당도한 장끼는 서대쥐를 ‘ 서동지 ’ 라고 부르며 추켜세우자, 우쭐해진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