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화학(畵鶴) 獨鶴望遙空 독학망요공 夜寒擧一足 야한거일족 西風苦竹叢 서풍고죽총 滿身秋露滴 만신추로적 외로운 학이 먼 하늘 바라보며, 밤이 차가운지 다리 하나를 들고 있네. 가을 바람에 대숲도 괴로워하는데. 온 몸이 가득 가을 이슬에 젖었네. 요점 정리 지은이 : 이달 시대 : 조선 선조 때 갈래 : 오언절구 성격 : 비유적, 비판적 구성 : 기, 승 : 화자의 고독한 처지 전, 결 : 화자의 슬픔 주제 : 자신을 받아주지 않는 현실 속에서 느끼는 고독과 슬픔 내용 연구 화학 : 학을 그렸다고 하지만 결국 자산의 자화상임 시적 정황의 이해 : 모순적 현실을 차가운 밤으로 비유 현실에 대한 화자의 태도 : 괴로움의 한탄 먼 하늘 바라보며가 함축하는 의미 : 무한한 자유를 꿈꾸지만, 날지 못하는 ..
花石亭 (화석정) 林亭秋已晩 임정추이만 騷客意無窮 소객의무궁 遠水連天碧 원수연천벽 霜楓向日紅 상풍향일홍 山吐孤輪月 산토고륜월 江含萬里風 강함만리풍 塞鴻何處去 새홍하처거 聲斷暮雲中 성단모운중 숲속 정자에 가을 이미 늦으니, 시인의 시상은 끝이 없구나. 먼 물줄기는 하늘에 잇닿아 푸르고, 서리 맞은 단풍은 해를 향해 붉도다. 산은 외로운 둥근 달을 토해 내고, 강은 만리의 바람을 머금었도다. 변방의 기러기는 어디로 가는고? 소리가 저녁 구름 속에 끊어지도다 요점 정리 지은이 : 이이 형식 : 오언율시 성격 : 주정적, 감상적 구성 : 1~2구 : 화석정에서의 시상 3~4구 : 주변의 가을 정취 5~6구 : 주변의 가을 정취 7~8구 : 주변의 가을 정취 시간적 배경 : 계추(만추: 늦가을) 주..
한산도 야음(閑山島夜吟) 水國秋光暮 수국추광모 警寒雁陳高 경한안진고 憂心轉輾夜 우심전전야 殘月照弓刀 잔월조궁도 수국에 가을빛 저무니 추위에 놀란 기러기 떼 높이 난다. 걱정으로 뒤척이는 밤, 잔월이 궁도를 비치네 요점 정리 지은이 : 이순신 형식 : 5언 절구 운자 : 고, 도 주제 : 우국충정 내용 연구 걱정으로 뒤척이는 밤 나라 걱정으로 잠 못 이루는 시적 화자의 輾轉反側(전전반측)하는 모습이 담겨 있다. 이해와 감상 시간적 배경은 만추(늦가을)새벽이고, 5언 절구로 운자는 고와 도자이며, 주제는 우국충정의 오언절구로 왜적과 싸움중에 한산도에서 나라의 앞날을 걱정하여 잠못 이루는 이순신 장군의 심정을 그렸음.
풀벌레 (草蟲) 베짱이는 울고 메뚜기는 뛰노는데 님을 못 뵈오니 애타는 이 내 마음 뵙게만 된다면 만나게만 된다면 이 마음 놓이련만. 저 건너 남산에 올라가 고사리나 캐어 볼까. 님을 못 뵈오니 애타는 이 내 마음 뵙게만 된다면 만나게만 된다면 이 마음 기쁘련만. 저 건너 남산에 올라 고비나 캐어 볼까. 님을 못 뵈오니 애타는 이 내 마음 뵙게만 된다면 만나게만 된다면 이 마음 편해지련만. 요점 정리 작자 : 미상 갈래 : 3연으로 이루어진 사언 고시 (四言古時) 성격 : 서정적, 개인적, 민요적 어조 : 소박하고 진솔하며 애상적(哀傷的) 어조 심상 : 서술적, 감각적 심상 구성 : 1연 : 풀벌레와 나의 처지 비교 2, 3연 : 임과의 만남에 대한 열망 형식면 시경의 대부분이 4,..
탐진 촌요(耽津村謠) 요점 정리 지은이 : 정약용(鄭若鏞)/ 송재소 역 갈래 : 칠언절구(七言絶句) 압운 : 鮮, 錢, 船(선, 전, 선) 성격 : 고발적. 비판적, 사실적 표현 : 직유법. 도치법 구성 : 3부작 (탐진 농가, 탐진 어가, 탐진 촌요) 탐진촌요 구성 기 : 애써 짜낸 무명의 아름다움 승 : 관리에게 약탈함 전 : 세금 독촉이 심한 현실 결 : 지방관의 횡포 주제 : 농촌의 모습과 농민 생활의 고초, 탐관 오리들의 횡포 고발 특징 : 당대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직유와 도치의 사용으로 시적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출전 :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내용 연구 탐진 : 전라남도 강진의 옛 이름 황두 : 중국 한 나라 때 선박을 관장하는 벼슬 이름으로서 여기서..
春興(춘흥) 春雨細不滴 춘우세부적 夜中微有聲 야중미유성 雪盡南溪漲 설진남계창 草芽多小生 초아다소생 봄비 가늘어 방울지지 않더니 밤되니 작은 소리 들리네 눈 녹아 남쪽 시냇물이 불어나니, 풀 싹은 얼마나 돋아 났을까 요점 정리 지은이 : 정몽주 시형 : 5언 절구 배경 : 맹춘(초춘) 운자 : 성, 생 주제 : 봄의 흥취, 봄에 대한 기대감 이해와 감상 춘흥에서 두드러진 청각적 이미지가 두드러진 구는 승구이고, 작자의 상상 부분에 해당하는 구는 결구로 봄비를 소재로 하여 새싹돋는 이른 봄의 흥취를 읊은 것임 심화 자료 5언 절구 기승전결의 구성으로 짜여 있으며, 2,4구에 엄격히 압운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1구에도 압운한다. 평측법이 엄격하게 지켜지지만, 우리나라 사람은 중국..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