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강남봉이구년(江南逢李龜年) 岐王宅裏尋常見 기왕택리심상견 崔九堂前幾度聞 최구당전기도문 正是江南好風景 정시강남호풍경 落花時節又逢君 낙화시절우봉군 기왕의 집 안에서 (이구년을) 늘 보았더니 최구의 집 앞에서 (명창을) 몇 번을 들었던가? 참으로 이 강남의 풍경이 좋으니 꽃 지는 시절에 또 너를 만나 보는구나. 요점 정리 지은이 : 두보 갈래 : 칠언 절구 연대 : 두보가 59세 때 지음 성격 : 애상적,회고적 표현 : 대구법, 대조법 제재 : 이구년(당의 현종 때의 명창, 기왕은 현종의 아우)과 만남 주제 : 옛친구를 만난 감회와 삶에 대한 인생무상(人生無常) 특징 : 대구법을 통해 화려했던 시절을 회상하고, 대조법을 통해 과거와 현재를 대비시킴 내용 연구 기왕(岐王)의 집 안에 항상 보..
江南曲(강남곡) 人言江南樂(강언강남락)이나, 我見江南愁(아견강남수)라. 年年沙浦口(년년사포구)에 腸斷望歸舟(장단망귀주)라. 사람은 강남의 즐거움을 말하나, 나는 강남의 근심을 보고있네. 해마다 이 포구에서 애타게 떠나는 배를 바라보고 있는 것을. 요점 정리 지은이 : 허난설헌 형식 : 오언절구 운자 : 수, 주 대구법 : 기와 승구 주제 : 남편을 그리워함, 남편과의 이별을 슬퍼함 내용 연구 년년 : 해마다 사포 : 물가의 나룻터, 갯벌의 어귀 단장 : 창자가 끊어짐, 곧, 대단히 애통함을 이름. 이해와 감상 나루터에서 떠나는 배를 보고 이별을 슬퍼하여 쓴 것으로 시인의 섬세한 마음이 잘 나타나 있다. 그 섬세한 마음이 비록 자신의 환경에 의해서 억압되고, 눌리고 있다는 것이..
가을 밤 서늘 바람 내 방에 들고 가을 달이 내 휘장을 비춰 내 마음 이리도 설레나니 어느덧 계절의 갈마듦이여! 옷 추어 입고 문을 나서니 손에 든 건 으레 대지팡일다. 산 정기야 저녁이 본디 맑지만 날 위해 새단장을 하였음에랴? 혼자 즐기기 넉넉하거니 동자는 딸려 무엇하리? 만물이 잠들어 고요한 밤을 이슥토록 우두커니 서 있어라! 돌아와 빈 침상에 누웠노라니 그윽한 꿈, 소회를 달래어 주네. 요점 정리 작자 : 이행 / 손종섭 옮김 갈래 : 한시, 오언 고시 성격 : 감상적, 자연친화적, 서정적 주제 : 가을밤의 산거 정취 출전 : 옛 시정을 더듬어서 내용 연구 西風 : 가을 바람 秋月 : 가을달 照我 : 내 방의 휘장을 비춤 我懷 : 나의 심회 不能定 : 가을밤의 정경으로 인해 나를 안정할 수..
가마꾼[肩輿歎] 人知坐輿樂(인지좌여락) 사람들 가마 타는 즐거움은 알아도 不識肩輿苦(불식견여고) 가마 메는 괴로움은 모르고 있네. 肩輿山峻阪(견여산준판) 가마 메고 험한 산길 오를 때면, 捷若蹄山泔(첩약제산우) 빠르기가 산 타는 노루와 같고 肩輿不懸棇(견여불현악) 가마 메고 비탈길 내려올 때면, 沛如歸笠嗴(패여귀립고) 우리로 돌아가는 염소처럼 재빠르네. 肩輿超稗禷(견여초함하) 가마 메고 깊은 골짜기 건너갈 때면, 松鼠行且舞(송서행차무) 다람쥐도 덩달아 같이 춤추네. 側石微低肩(측석미저견) 바위 옆을 지날 때에는 어깨 낮추고, 窄徑敏交服(착경민교복) 오솔길 지날 때에는 종종걸음 걸어가네. 絶壁採淬潭(절벽부유담) 검푸른 저수지 절벽에서 내려다볼 때는, 駭魄散不聚(해백산불취) 놀라서 혼이 나가 아찔하기..
한시(漢詩) 한자(漢字)로 창작된 시. 〔개념과 형식〕 (1) 개 념 한시란, 글자 그대로 말하면 한자로 기록된 시를 일컫는 말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중국의 것뿐만 아니라 주변의 한자문화권에서 한자로 기록한 시까지를 포함하여 한시라고 한다. 한편, 특정시대의 시를 지칭하는 뜻으로서 한대(漢代)의 시를 한시라고도 하지만 이렇게 쓰이는 일은 극히 드물다. 한시는 오언절구·칠언율시 등과 같은 형식과 평측(平仄)·압운(押韻)의 규칙을 지켜야 한다. 이 형식과 규칙은 고립어(孤立語)로서 단음절어(單音節語)인 한자의 특성에 알맞게 되어 있는 것이다. 한시의 기원은 중국의 경우에도 정확히 밝혀내기 어려우며, 우리 나라에서도 정확히 언제 한시가 도입되어 창작되었는지 불분명하다. 다만, 현전하고 있..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