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거사련(居士戀) 울타리 옆 꽃가지에 까치 우짖네 거미도 상머리에 줄을 치누나. 돌아오는 우리님 멀지 않을새. 심신이 미리 알아 지감하게 하네. 요점 정리 작자 : 미상 연대 : 미상 주제 : 남편을 기다리며 읊은 노래 내용 연구 鵲兒籬際 花枝 子床頭引網絲 余美歸來應未遠 精神早己報人知 작아리제조화지 희자상두인망사 여미귀래응미원 정신조기보인지 이해와 감상 고려가요로 원래 가사는 전하지 않으나 《고려사》 에 제목과 간단한 내용이 언급되어 있고, 또 이제현(李齊賢)의 《익재난고(益齋亂藁)》 중 에 한역시(漢譯詩)가 실려 있어 그 내용을 짐작할 수 있다. 어떤 부역자(賦役者)의 아내가 남편을 그리워하며 지은 것으로 보인다. 남편이 객지에 부역 나갔으나, 까치가 울고 거미가 상머리에서 실을 뽑으니 남편이 돌아올 날..
가시리 가시겠습니까,(진정으로 떠나) 가시겠습니까? (나를 버리고) 가시겠습니까? 나는 어찌 살라 하고 버리고 가시렵니까? (생각 같아서는)붙잡아 둘 일이지마는 (혹시나 임께서 행여) 서운하면 (다시는)아니 올까 두렵습니다. (떠나 보내기) 서러운 임을 (어쩔 수 없이) 보내옵나니, 가자마자 곧 (떠날 때와 마찬가지로 총총히) 가시는 것처럼 돌아서서 오십시오. 요점 정리 작자 : 미상 연대 : 고려 시대(구체적 연대는 미상) 갈래 : 고려 속요/일명 ‘ 귀호곡 ( 歸乎曲 ) ’ 이라고도 함 형식 : 분절체, 4연. 각 2구의 분연체(分聯體) 성격 : 서정적, 민요적, 여성적, 자기희생적 운율 : 외재율. 3·3·2조 3음보 구성 : 4단 구성 기·승·전·결 기 뜻밖의 이별에 대한 놀라움과 원망에 찬 하소..
동동(動動) 덕은 뒤에(뒷 잔에, 신령님께) 바치옵고, 복은 앞에(앞 잔에, 임에게) 바치오니, 덕이며 복이라 하는 것을 진상하러 오십시오. 정월 냇물은 아아, 얼려 녹으려 하는데, 세상에 태어나서 이 몸이여, 홀로 살아가는구나. 2월 보름에 아아, 높이 켜 놓은 등불 같구나. 만인을 비추실 모습이시도다. 3월 지나며 핀 아아, 늦봄의 진달래꽃이여. 남이 부러워할 모습을 지니고 태어나셨구나. 4월을 잊지 않고 아아, 오는구나 꾀꼬리새여. 무엇 때문에(어찌하여) 녹사님은 옛날을 잊고계시는구나. 5월 5일(단오)에, 아아 단옷날 아침 약은 천 년을 사실 약이기에 바치옵니다 6월 보름(유두일)에 아아, 벼랑에 버린 빗같구나. 돌아보실 임을 잠시나마 따르겠나이다. 7월 보름(백중)에 아아, 여러 가지 제물을 벌..
고려 시대의 문학적 배경 시대적 배경 중세 한반도에 세워진 통일 왕조. 918년부터 1392년까지 474년간 34대에 걸쳐 존속하였다. 성립·발전 신라 말에 송악(松嶽;지금의 開城)의 호족(豪族) 왕건(王建)이 태봉(泰封)의 왕인 궁예(弓裔)의 부하로 있다가, 918년 민심을 잃은 궁예를 몰아내고 고려를 세워 연호를 천수(天授)라 하였다. 왕건은 철원(鐵圓;지금의 鐵原)에서 즉위, 고려 태조가 되었는데 도읍을 송악으로 옮긴 다음 호족세력을 통합, 북진정책과 숭불정책으로 세력을 굳혔다. 935년(태조 18) 신라를 평화적으로 병합하였으며, 다음해에 후백제를 멸하여 후삼국을 통일하였다. 경종 때 토지제도를 개혁하여 토지를 원칙적으로 국가의 지배하에 두고 이를 관료들에게 관계(官階)에 따라 분배하여 줌으로써 ..
고려가요(高麗歌謠) 고려시대에 창작된 시가(詩歌)로 주로 민중 사이에 널리 전해진 속요(俗謠)를 뜻한다. 넓은 뜻으로는 고려시가(高麗詩歌) 모두를 포함하며 ‘고려가사(高麗歌詞)’ ‘고려가요’, 줄여서 ‘여요(麗謠)’, 또는 ‘고려장가(高麗長歌), 또는 '고속가(古俗歌)라는 이름으로 통한다. 그러나 좁은 뜻으로는 《한림별곡(翰林別曲)》 《관동별곡(關東別曲)》 《죽계별곡(竹溪別曲)》 등 한문계(漢文系) 시가는 경기체가(景幾體歌) 또는 별곡체(別曲體)라 하고, 《청산별곡(靑山別曲)》 《서경별곡(西京別曲)》 《만전춘(滿殿春)》 《가시리》 등의 시가를 흔히 속요라 하고 있다. 고려시대에 창작된 시가(詩歌)로 주로 민중 사이에 널리 전해진 속요(俗謠)를 뜻한다. 넓은 뜻으로는 고려시가(高麗詩歌) 모두를 포함하며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