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거사련(居士戀)

by 송화은율
반응형

거사련(居士戀)

 


울타리 옆 꽃가지에 까치 우짖네
거미도 상머리에 줄을 치누나.
돌아오는 우리님 멀지 않을새.
심신이 미리 알아 지감하게 하네. 

 요점 정리

 작자 : 미상

 연대 : 미상

 주제 : 남편을 기다리며 읊은 노래

 

 내용 연구

鵲兒籬際 花枝
 子床頭引網絲
余美歸來應未遠
精神早己報人知

작아리제조화지
희자상두인망사
여미귀래응미원
정신조기보인지

 

 이해와 감상

 고려가요로 원래 가사는 전하지 않으나 《고려사》 <악지(樂志)>에 제목과 간단한 내용이 언급되어 있고, 또 이제현(李齊賢)의 《익재난고(益齋亂藁)》 중 <소악부(小樂府)>에 한역시(漢譯詩)가 실려 있어 그 내용을 짐작할 수 있다.  어떤 부역자(賦役者)의 아내가 남편을 그리워하며 지은 것으로 보인다. 남편이 객지에 부역 나갔으나, 까치가 울고 거미가 상머리에서 실을 뽑으니 남편이 돌아올 날이 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고 하였다. 《세종실록》에 “이 노래에 대한 거문고 타는 법은 알려져 있으나, 가사는 이미 그 당시에 잃어버리고 없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가사는 고려 말기까지는 구전되었고, 곡조는 세종 때까지 연주된 듯하다.

 

 심화 자료

 거사련(居士戀)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현재 원가(原歌)는 전하지 않고, 다만 고려 말기 이제현(李齊賢)의 한역(漢譯) 해시(解詩)가 ≪고려사≫ 악지(樂志)와 그의 ≪익재난고 益齋亂藁≫소악부(小樂府)에 수록되어 있어 그 내용만을 짐작할 수 있다.


≪고려사≫ 악지의 해설에 의하면, 객지에 부역 나간 사람의 아내가 까치와 거미에 의탁하여, 이 노래를 지어 남편이 돌아오기를 바랐다고 한다. 이제현의 한역시에도 그러한 아내의 애틋한 심정이 잘 나타나 있다.


≪세종실록≫에 이 노래가 거문고곡으로서 탄법(彈法)은 알려져 있으나, 가사가 이미 그 당시에 망실(亡失)되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가사는 아마도 고려 말기까지는 구비전승된듯하고, 곡조는 세종 때까지도 연주되었음을 알 수 있다.≪참고문헌≫ 高麗史樂志, 世宗實錄, 益齋亂藁.(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