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피그마이오스 피그마이오스란 난쟁이 종족인데, 큐빗 즉 약13인치(약33센티미터)를 의미하는 그리스 말에서 유래된 것이다. 그것이 이 종족의 키라고 전해지고 있다. 그들은 네일로스 강(나일강)의 수원(水源)근처(혹은 다른 설에 의하면 인도)에 살고 있었다. 호메로스에 의하면 두루미는 매년 겨울이 되면 이 피그마이오스의 나라로 옮겨 오는데, 그들의 출현은 피그마이오스 주민에게 있어서는 유혈투쟁을 알리는 신호라는 것이다. 난쟁이들은 무기를 들고 그들의 옥수수밭을 두루미라는 약탈자로부터 지키지 않으면 안 되었기 때문이었다. 이 피그마이오스와 그들의 적인 두루미는 여러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후대의 작가들이 전하는 바에 의하면, 피그마이오스 군대는 헤라클레스가 잠든 것을 발견하고 마치 한 도시를 공격하려는 ..
프로메테우스 / 벌핀치 프로메테우스는 혼돈으로부터 방금 분리된 흙을 물과 반죽하여 인간을 신의 형상과 같이 만들었다. 프로메테우스는 인간에게 직립(直立) 자세를 주었으므로, 다른 동물은 다 얼굴을 밑으로 향하고 지상을 바라보는데, 인간만은 얼굴을 하늘로 향하고 별을 바라보게 된 것이다. 프로메테우스는 인간이 창조되기 전에 지상에 거주하였던 거인족인 티탄 족의 한 사람이었다. 그와 그의 동생 에피메테우스에게, 인간을 만들고, 인간과 다른 모든 동물에게 생존 유지에 필요한 여러 능력을 부여하라는 임무가 위임되었다. 에피메테우스가 이일에 착수하였고, 프로메테우스는 이 일이 다 되면 그것을 감독하기로 하였다. 그래서 에피메테우스는 상이한 동물들에게 용기, 힘, 속도, 지혜 등 여러 가지 선물을 주기 시작하였다...
올림포스의 신들 제우스 -주신 그리스 신들 중 최고의 지배자. '낮의 밝은 하늘'을 의미하며 천상을 지배하는 기상학적 현상(비, 눈, 우박, 번개, 우레)을 맡아보는 신인 동시에 인간 사회의 정치, 법률, 도덕 등 모든 생활을 지배했다. 로마 신화의 주피터에 해당함. 인간은 프로메테우스가 흙으로 빚어 만들고, 아테나가 생명을 불어넣었으나 제우스를 주인으로 섬겼다. 그러므로 제우스는 왕이고 인간의 왕들은 그의 특별한 보호를 받고 있었다. 그의 무기는 번개이며 그를 상징하는 것은 독수리이다. 그는 자신의 지위에는 걸맞지 않게 바람기가 심해서 수많은 여신들 뿐만 아니라 인간 여자들과 관계를 맺어서 많은 자식들을 거느렸다. 그중에는 아폴론,아르테미스,헤파이스토스 등의 신들도 있었고,헤라클레스,페르세우스,카스토르..
켄타우로스 이 괴물은 머리에서 허리까지는 인간이고, 나머지는 말의 몸을 하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었다. 고대인들은 말을 대단히 좋아했기 때문에 말과 인간의 결합체를 과히 천한 것으로 생각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켄타우로스는 고대의 공상적인 괴물 중 가장 훌륭한 특성을 부여받은 유일한 괴물이었다. 이 켄타우로스는 인간과의 교제가 허용돼 있었기 때문에 페리토오스와 힙포다메이아가 결혼할 때에도 다른 손님과 함께 초대 되었다. 그 잔치 때 켄타우로스 족의 한 사람인 에우리티온이 술에 만취되어 신부에게 폭행을 가하려 했다. 그러자 다른 켄타우로스들도 그의 행동을 뒤따라 폭행을 하려했다. 이것이 저 유명한 '라피타이족과 켄타우로스족의 싸움'으로, 고대의 조각가와 시인들이 즐겨 다룬 소재가 되었다. 그러나 모든 켄타우로..
페가소스와 키마이라 페르세우스가 메두사의 목을 베었을 때, 그 피가 땅속에 스며들어 날개 돋친 말, 즉 페가소스가 탄생하였다. 아테나는 그 말을 잡아 길들인 후에 뮤즈의 여신들에게 선사했다. 그 여신들이 거주하는 헬리콘 산위에 있는 힙포크레네 라는 샘은 페가소스의 발굽에 채여서 생겨난 것이다. 키마이라(chimaera)라는 불을 뿜는 무서운 괴물이었다. 그 몸의 앞부분은 사자와 염소의 결합물이었고, 뒷부분은 용이었다. 그리고 이 괴물이 리키아의 마을을 괴롭히고 있었기 때문에 왕 이오바테스는 괴물을 퇴치할 용사를 찾고 있었다. 때마침 그의 궁정에 '벨레로폰(Bellerophon)'이라는 한 용감한 젊은 무사가 도착했다. 젊은이는 이오바테스의 사위인 프로이토스의 편지를 가지고 왔다. 그 편지에서 프로이토스는..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