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저희 나라'의 바른 표현 [물음] 저희 학교/우리 학교, 저희 나라/우리 나라 저희 학교/우리 학교, 저희 나라/우리 나라 [풀이] 먼저 '저희 나라(국가)'나 '저희 민족'으로 쓰면 안 됩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저희'는 말하는 사람이 자신을 낮추어 말할 때(겸양) 씁니다. 그리고 '저희'가 수식하는 말도 따라서 낮추어집니다. 그러므로 '저희 나라'라고 하면 말하는 사람과 아울러 그 사람이 속한 나라도 낮추어집니다. 하지만 자기 나라를 낮춘다는 것은 있을 수 없습니다. 이는 지나친 겸손일 뿐입니다. 따라서 당당히 '우리 나라(국가)'나 '우리 민족'으로 써야 합니다. 더구나 우리 나라 사람과 말하면서 '저희 나라'라고 말하는 것은 있을 수 없습니다. 요즘 와서 '저희'를 쓰면 무조건 상대..
[물음] '구라'의 유래 안녕하세요,,,,,,, 다소 엉뚱한 질문일수도 있지만,,,,,제 친구와 이것때문에 약간,,,티격태격해서요,,,,,꼭 알고 싶은것이 있습니다,,,,,, 뭐냐하면요,,,,,,,, 요새 거짓말이나 농담의 의미로 쓰는 '구라'라는 말의 유래가 너무 궁금합니다, 그말이,,,일본말에서 유래한 건가요? 아니면 우리나라 사투리로 순 우리말이라는 소리도 있던데,,, 어떤것이 맞는건가요? 꼭 알려주세요,,,, [풀이] "거짓말"을 뜻하는 일본어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을 보면 '구라'는 거짓말을 속되게 이르는 말이라고 합니다. 보통 '구라치다'로 쓰이는데, 이 '구라'는 일본어에서 온 말입니다. '거짓말'이나 '사기'로 바꾸어 써야 합니다. 우리말에 있는 일본계 외래어는 고쳐 써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
[물음] '-지'와 '-치'에 대해 ㄱ. 생각하지 말자 ㄴ. 용서하지 않겠다 위의 경우는 다시 ㄱ. 생각지 말자 ㄴ. 용서치 않겠다 와 같이 '-하지'가 '-지'와 '-치'로 줄어듦을 알 수 있습니다. 제가 알기론 '생각하지'의 경우 '-각-'의 기역받침(자음 중 그 성질이 강함) 탓으로 유독 기역 뒤에 올 때만 '-치'가 아닌 '-지'가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것은 올바른 이유인가요? 다른 이유가 있는지, 제가 알고 있는 원칙이 올바른지 알고 싶습니다. 또한 '그러하지'의 준말인 '그렇지'의 경우입니다. 흔히들 말할 때에는 '그렇지'마저도 줄여 말하곤 합니다. '그렇지? 그렇죠?'의 경우 '그지? 그죠'나 '그치? 그쵸'로 쓰곤 하는데 '그렇지? 그렇죠?'를 줄여 씀이 가능한지요? 또한 가능하다면 '..
[물음] 통시적 음운 변화에 대해서 학교 문법에서 보면 통시적 변화와 공시적 변화가 있고 통시적 변화는 변천이라 하고 공시적 변화는 변동이라 하고 또 통시적 변천에는 1)자생적 변천이랑 2)결합적 변천 이 있잖아요(고등학교 국어 상 교과서) 슳다>싫다 믈>물 거츨다>거칠다 프르다>푸르다 둏다> 좋다 디다>지다 는 각각 어떤 것인지? 제 생각에는 슳다와 디다는 구개음화로써 결합적 변천이고 나머지는 자생적 변천 같은데요...... [풀이] "슳다>싫다, 믈>물, 거츨다>거칠다, 프르다>푸르다, 둏다> 좋다, 디다>지다"를 자세히 살펴보시면 그 속에 숨어 있는 일정한 규칙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우선, "슳다>싫다, 거츨다>거칠다"는 /ㅡ/ -> /ㅣ/로 모음이 바뀐 것입니다. 이런 현상을 '전설모음화'(혀 ..
[물음] '하는'의 띄어쓰기에 대해 [1997년 이상문학상 수상작품집 김이태 (식성) 중에서] *책을 읽다보면 원고지로 쓰여진 글이 아니므로, 간혹 띄어쓰기가 제대로 이뤄진 것인지 쉽게 알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의심나는 몇 문장을 올립니다. 아래 문장은 그것이 준말 형태인지, 품사는 무엇인지, 실제 워드 작업 시(투고할 때는 대개 워드 작업을 해서 보내는 이유로)에 어떻게 해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ㄱ. 선배는 오피스텔이 그다지 고급스러운 데가 아니군, 하며 빈정거렸다. (아니군, 하며) ㄴ. 한창 식사중이신데 하는 덤덤한 소리가 나를 깨웠다. (식사중이신데 하는) ㄷ. 저렇게 잘먹는 고기를 날마다 해 먹일 수 없으니 하는 것이었다. (없으니 하는) ㄹ. 나는 대단하군, 하는 혼자말을 ..
[물음] 합성 동사의 띄어쓰기에 대해... 안녕하십니까? 본용언과 보조용언은 띄어 씀이 원칙이고, 붙여 씀이 허용됩니다. 제가 알고 싶은 부분은 앞말이 합성 동사일 때입니다. 아래를 보시죠. 덤벼들어 보아라, 날아갈 듯하다, 들여다보지 말아라...의 경우 보조용언의 앞말인 합성 동사는 반드시 붙여야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혹 띄어 씀이 허용되지는 않는지요? 덤벼들어 보아라--> 덤벼 들어 보아라 날아갈 듯하다--> 날아 갈 듯하다 들여다보지 말아라--> 들여다 보지 말아라 위와 같이도 허용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풀이] 합성동사의 띄어쓰기에 따릅니다. 합성동사가 본용언으로 쓰일 때는 본용언은 본디 합성동사의 띄어쓰기에 따르고, 본용언과 보조용언은 붙여쓰지 않습니다. 즉, 합성동사가 본용언이 되어도 그 띄..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