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강릉관노탈놀이 강릉단오제 때 행해지던 탈놀이. 우리 나라 가면극 전승의 주류를 이루는 산대도감 계통 극과는 그 계통을 달리하는 서낭제탈놀이의 하나이다. 서낭제에는 이 밖에도 〈하회별신굿탈놀이〉가 있는데, 그것들은 제의적 연희의 성격을 갖고 있는 농촌형의 탈춤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농악대의 잡색놀이나 무의적(巫儀的)인 탈놀이와 함께 토착적인 탈놀이의 기원에 많은 시사를 던져준다. 강릉단오제는 음력 3월 20일에 신주(神酒)를 빚는 데서부터 시작하여, 4월 1일과 8일에 서낭당에의 헌주(獻酒)와 무악새신(巫樂賽神)이 있고, 14일 저녁에 대관령으로 출발하여 15일에 대관령국사서낭〔大關嶺國師城隍〕을 맞이하여 읍내의 대서낭당에 모시고, 27일에 다시 굿을 지낸 다음, 5월 1일부터 본제(本祭)로 ..
강령탈춤(康翎 ──) 황해도 강령에서 전승되는 탈놀이. 한일합병과 더불어 해주감영 소속인 교방의 가무인들이 해산되고 통인청의 탈꾼도 해산되자 일부가 강령에 모여서 놀았다고 전해진다. 해마다 5월 6~8일 사이 3일 동안 해주감영에서 각도의 탈춤패들이 모여 경연을 벌이기도 했다고 한다. 단오가 지난 10일 후면 뒤풀이라 하여 다시 놀이를 벌였고 놀이가 끝나면 사용했던 탈을 모두 태워버렸다 한다. 놀이는 모두 7마당[科場]으로 되어 있다. 첫째마당은 ' 사자춤'으로 백사자 2마리가 등장하여 춤을 추면 원숭이가 등장한다. 둘째마당은 '말뚝이춤'으로 말뚝이 2명이 나타나 서로 용감함을 자랑하며 춤춘다. 셋째마당은 ' 먹중춤'으로 칡베 장삼을 입은 첫 먹중이 장내를 한바퀴 돌며 굿거리 타령·도들이타령으로 춤추..
가산오광대(駕山五廣大) 경상남도 사천시 축동면 가산리에서 전승되고 있는 탈놀이. 중요무형문화재 제73호. 탈놀이의 유래는 가산리 노인들에 의하면 약 200 ∼ 300년의 전통을 가진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확증할 만한 문헌이나 기록은 없다. 다만 가산리는 조선 말기까지 조창 ( 漕倉 )이 있었던 곳으로 7개 군의 조곡(租穀)을 징수하여 제물포로 운반하던 항구로, 그 당시는 약 3백 호의 대취락지로서 큰 시장이 섰다고 하므로 탈놀음이 연희될만한 곳이었다. 당시에는 탈놀이를 ‘ 조창오광대 ’ 라 호칭하였다. 음력 정월 초하루에 지내는 천룡제(天龍祭) 직후에 시작하는 지신밟기가 정월 보름에 연희하는 오광대와 밀착되어 있는 것들은 이 탈놀이의 역사가 오래 되었음을 말해 준다. 가산리에 전래되고 있는 ..
가무백희(歌舞百戱) 국가에서 주관하는 각종 행사나 연회에서 베풀어졌던 노래·춤·기예. 문헌에 이 용어가 처음 보이는 것은 〈삼국사기〉 권1 신라 유리이사금(儒理尼師今) 가배조(嘉俳條)에서이다. 신라의 부녀자들은 길쌈내기를 하여 진 편이 주식(酒食)을 갖추어 이긴 편을 대접했는데 이때 가무백희를 놀고 이를 가위라고 했다고 한다. 문헌 자료 외에도 고구려 고분벽화에 마상재(馬上才) 칼싸움, 막대기와 공을 던지는 농환(弄丸), 양걸[踏] 등이 그려져 있어 고구려에서는 4세기 이전부터 잡희(雜戱)가 성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삼국의 가무백희는 7세기 후반 삼국이 통일되면서 신라에 의해 하나로 집성되었다. 통일신라는 서역(西域)과 중국의 영향을 받아 발전한 고구려·백제·가야의 음악을 흡수했고, 직접 성당(盛唐..
민속극 민속 집단 생활의 전반에 걸친 민족의 기반적 생활 양태를 연극적으로 표현, 형상화한 것. 민속극은 농경의례나 장례의식 등 각종 원시 종교 의식으로부터 출발한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풍농·풍어제(동제 등)와 상제례 등에서 발생되어 예능으로 발전한 연극 양식을 그러한 예로 꼽을 수 있다. 즉, 가면극을 위시하여 민속인형극·그림자극·판소리 등이 그러한 민속극에 속한다. 이 밖에도 민속극에 포함시킬 만한 것이 더 있는데, 가령 농악이라든가 굿의 난장이나 잡색놀이 같은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 나라의 굿은 예능적 측면이 강해서 탈놀이가 끼어 있다든가 주제가 뚜렷한 묵극적(墨劇的)인 요소가 많기 때문이다. 이처럼 민속극은 일종의 초기 형태의 제의성이 강한 연극 양식을..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