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농악(農樂) 농부들이 두레를 짜서 일할 때 치는 음악. 넓은 의미로는 꽹과리·징·장구·북과 같은 타악기를 치며, 행진·의식·노동·판놀음 등을 벌이는 음악을 두루 가리키는 말이다. 굿·매구·풍장·금고(金鼓)·취군 등으로도 불린다. 굿은 흔히 무당이 노래와 춤을 벌이며 소망을 신에게 비는 의식을 가리키지만, 농악을 가리키기도 한다. 농악 치는 것을 ‘굿한다’고 하며, 또 당산굿·샘굿·성주굿과 같이 굿패들이 농악을 치며 벌이는 민간신앙의식을 가리키고, 길굿·삼채굿과 같이 농악가락을 가리키며, 오방진굿·도둑재비굿과 같이 농악대들이 판놀음으로 벌이는 판굿의 놀음을 가리키기도 한다. 풍장은 두레풍장·장풍장·배치기풍장과 같이 풍악으로 벌이는 고장(북장단)이라는 뜻이다. 금고는 징·꽹과리와 같은 쇠붙이로..
굿 무당이 신에게 제물을 바치고 노래와 춤으로 길흉화복(吉凶禍福) 등의 인간의 운명을 조절해달라고 비는 제의. 〔개 설〕 넓은 뜻으로는 무당이 하는 굿 외에 호남·영남지역의 동신제(洞神祭)나 농악에서 징·꽹과리·장구 등의 풍물을 울리는 것을 ‘메굿’ 또는 ‘굿친다’고 하여 굿에 포함시킬 수도 있으나, 좁은 뜻에서는 무속의 제의에 국한하여 사용된다. 제의에는 먼저 제의를 올려야 할 신앙대상으로서의 신, 이 신을 신앙하여 제의를 올리는 신도, 신과 신도의 사이에서 제의를 조직적으로 진행시켜야 할 전문적인 사제자(司祭者)로서의 무당이 있어야 한다. 이 셋은 제의를 구성하는 일차적 요건으로, 이 중에서 어느 하나가 없어도 제의는 성립될 수 없다. 무속의 제의는 규모에 따라 크게 ‘굿’과 ‘비손(또는 ..
고성오광대놀이 제1과장 : 문둥광대놀이 악사와 모든배역이 무대에 등장하여 길놀이를 하다가 모두퇴장하면 문둥광대가 굿거리 장단에 문둥탈을 쓰고 등장하여 소고를 기묘하게 얼루면서 슬픔과 흥분이 엇갈린 춤을 춘다. 처음에는 좌절과 절망으로 (대사없이 춤으로 진행) 모든 것을 포기하나 점차 어렵게 소고를 들고 춤을 추다 이어 바뀌는 흥겨운 덧배기장단에 서서히 흥을 내다 고조에 달한 후 퇴장한다. 제2과장 : 오광대놀이 (문둥광대가 퇴장하면 원형무대의 관객석에 앉아있던 양반광대들이 일시에 마당에 덧배기 장단으로 모여든다. 모두 군무를 춘다 원양반과 말뚝이가 번갈아 원안에서 개인 무를 추다 말뚝이 퇴장하고 원양반이 들어온다) 원양반 : 쉬-(음악과 춤을 멈춘다) 소년 당상 애기도령 좌우로 늘어서서, ..
꼭두각시놀음 박 첨지 마당 곡예장 박첨지 : 떼루 떼루 떼루 떼루.(새면에서 꽹매기를 꽹친다. 박이 놀래어) 이게 무슨 소리냐? 새면 : 여보, 영감! 박첨지 : 어 -. 새면 : 웬 영감이 아닌 밤중에 요란히 구느냐? 박첨지 : 날더러 웬 영감이랬느냐? 새면 : 그랬소. 박첨지 : 나는 살기는 웃녘 산다. 새면 : 웃녘 살면, 웃녘이 어디란 말이오? 박첨지 : 나 사는 곳을 저저이 이를 터이니 들어 보아라. 새면 : 자세히 일러 보시오. 박첨지 : 서울로 일러도 일간동, 이목골, 삼청동, 사직골, 오궁터, 육조앞, 칠관악, 팔각제, 구리개, 십자가, 광명주리, 만리재, 아래벽동, 웃벽동, 다 젖혀 놓고, 가운데 벽동 사시는 박 사과라면 세상이 다 알고, 장안 안에서는 뜨르르하시다. 새면 : 그래, 무엇..
꼭두각시놀음 요점 정리 연대 : 미상 작자 : 미상 채록 : 심우성 형식 : 인형극 대본 성격 : 풍자적, 익살적 표현 : 과장법 구성 : 여덟 마당 제재 : 가족 제도의 모순 주제 : 가부장적 가족제도의 풍자 출전 : 남운룡 구술, 심우성 채록본 기타 : 1. 막과 막 사이에 줄거리상 연관이 없다. 2. 무대밖의 악사나 관중이 등장 인물과 수시로 대화 할 수 있다. 구조 : 2마당 8거리(막) 전체 이야기의 구성은 8막으로 되어 있으며, 크게 제1마당인 '박 첨지 마당'과 제2마당인 '평안 감사 마당'으로 나누어진다. 특징 : 탈춤과 다른 이 연극 양식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연극 공연 장소에 사람이 아닌 '인형'이 등장한다는 점이다. 여기에 실린 작품은 전체 8막 중, 제5막 '표..
고성오광대(固城五廣大) 제1장 중이 고깔을 쓰고 장삼을 입고(혹은 두루마기를 어깨에 걸침) 소무(小巫)에게 접근하여 호려내는 시늉을 하면서 늘어진 굿거리 장단(長短)에 따라 대무(對舞)한다. - 중이 각시를 유인하는 장면에서 중의 타락상을 풍자 제2장 문둥이가 벙거지를 쓰고 검은 더거리를 입고는 북과 부채를 든 두 손으로 얼굴을 가리고 춤을 추면서 등장하여 무대 중앙에 와서 가리었던 손을 내리고 굿거리 장단에 맞추어 북춤을 한바탕 추다가 퇴장한다. - 북춤 마당으로 문둥광대가 북춤을 추는 마당 제3장 굿거리 장단이 주악(奏樂)으로 나온다. 음악에 맞추어 덩실덩실 춤을 추면서 붉은 더거리 입은 초란이가 등장하면 따라서 유색 저고리와 치마를 입은 제밀지, 짧은 흰 치마 저고리를 입어..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