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결혼 / 이강백 구성 - 남자는 여자의 미모에 호감을 표시함->여자는 남자의 부유함에 호감을 보임->하인은 빌린 시간이 다 된 물건들을 하나씩 남자로부터 회수함->남자의 정체(가난함)가 드러남->여자가 떠나려 함-> 남자가 인생의 의미를 깨닫고(모든 것이 잠시 빌린 것이고 덧없는 것) 진실한 사랑을 고백함->여자가 마음을 돌려 결혼을 승낙함. 발단 : 가난한 남자가 결혼을 하기 위해 ‘넥타이, 시계, 라이터, 구두, 양복, 집, 하인’ 등 모든 것을 남에게 빌린 후 맞선을 보기로 한 여자를 기다린다. 전개 : 초조한 기다림 끝에 맞선을 보기로 한 여자가 도착한다. 남자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부자인 것처럼 위세를 부리면서 처음 보는 여자의 미모에 반해 결혼하려 한다. 절정 : 약속된 시간이 되면서 남자가 ..
노래 주머니 제1장 어두컴컴한 수풀 속에 파란 빛만 환하게 비치는데, 푸른 옷을 입은 도깨비 들이 여덟인지 아홉인지 늘어앉았고, 한가운데 나무 그늘에는 도깨비 괴수 가 걸터앉아 있다. 후루룩 후루룩하는 새 나는 소리가 들리면서 막이 열린다. 산 속에 숲 속에 또드락딱 금 나라 은 나라 또드락딱, 첫닭이 울기 전에 또드락딱 또드락 또드락 또드락딱. 괴 수:“아아 밤낮 그 소리뿐이냐? 얘들아, 너희는 다른 소리는 조금도 모르느냐? 몇십 년 두고, 그 소리만 하니 재미가 있니.” 도깨비 1:“몰라요. 다른 걸 알아야 하지요.” 괴 수 “이 중에 누구든지 못 듣던 소리를 하나 해 보려무나. 그다지 잘 하지 못하더라도 괜찮으니…….” 도깨비 2:“어어이.” 괴 수:“어어이 한 게 누구냐? 안단 말이냐?” 도깨비 ..
過歲[과세] 잘 하십시다 이제 12월호의 편집을 마치고 나니 우리는 이 해의 마지막 일을 마친 것이 라 아직도 실상은 11월이건만 우리에게는 섣달 그믐날입니다. 해마다 생각나는 말이지만 우리는 잡지 열두 번만 발행하면 한 살 더 먹게 됩니다. 심하게 말하면 우리에게는 1년이 단 열이틀밖에 안 되는 것입니다. 이 글을 쓰면서 생각하면 저절로 처량스런 생각이 납니다. 너무도 덧없는 생각이 나서요. 한 살 더 먹는 설움! 나는 참말로 울고 싶게 그것이 섧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쉽게 나이가 늘어 가면 어찌하겠습니까? 아아! 11월에 과세 인사를 쓰는 사람의 마음은 한이 없이 쓸쓸합니다. 그러나 《어린이》편집, 십수만의 어린 동무와 동무해 나아가는 이 《어린 이》의 일은 나의 전력을 다 바쳐 하는 일입니다. 세상..
公園情操[공원정조] ㅡ 하야(廈夜)의 각 공원 ㅡ 탑동 공원 해가 졌다! 이 소리는 찌는 듯한 고열과 썩은 증기 속에서 온종일 볶이던 시민에게 얼 마나 반갑고 기운나는 소식이랴. 남산과 북악산, 그 사이 바닥에 놓여 있는 경성 장안의 복판 위에서 견디어 보라고 하는 듯이 불발을 내려 쏟는 해가 새문 밖 금화산(金華山) 머리를 넘으면, 경성 거리에는 사람들이 우적우적 나와서 행인의 수효가 졸지에 많아진다. 그 무서운 해가 인제야 졌습니다그려! 피차에 이런 말을 하는 듯한 얼굴로 서늘한 세모시 주의(周衣)를 입고들 나서서 느릿느릿 천천한 걸음걸이로 걷 는다. 그러면 “자 들어오시오!” 하고, 녹음의 집 탑동 공원의 둥근 전등은 반짝 켜진다. 좁고 복잡하고 먼 지 많은 훗훗한 속에서 삶는 듯한 더위에 괴로이 ..
겨울放學[방학]에 할 것 ─ 유익한 말 재미있는 말 ─ 눈 맞 이 우선 눈을 많이 맞으십시오. 겨울에 제일 반갑고 좋은 것은 눈 오시는 것 이니, 눈이 오시거든 책을 덮어 놓고 뛰어 나아가서 눈을 맞으십시오. 비 오시는 것은 구슬프지만 눈 오시는 것은 정답고 재미있습니다. 눈 오시는 것을 보면 아무라도 마음이 고와지고 생각이 부드러워집니다. 일 년내 그리 웁던 눈이 당신의 집 마당에 찾아오면 어떻게 당신이 유리창으로 내다보고 만 앉았습니까? 뛰어나가서 그 깨끗하고 반가운 눈을 맞으면서 돌아다니십 시오. 동네집 동무의 집을 찾아다니고 그리고, 동네 바깥 벌판에도 나가 보 고, 또 뒷동산에 올라가서 눈 속에 파묻히는 동네를 내려다보기도 하십시 오. 그러면, 눈과 하늘과 동네와 벌판과 겨울이 모두 한뭉치가 되..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