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등학교 문법 / 전체 해설
고등학교 문법 / 전체 해설
- 문법
- · 2021. 5. 5.
반응형
고등학교 문법 / 전체 해설
[어미의 종류] ▶ 위치에 따른 종류 1. 어말(語末)어미 : 단어의 끝을 맺는 어미 * 간다, 노랗고, 사랑하여, 먹으니 2. 선어말(先語末)어미 : 어간과 어말 어미 사이에 위치하는 어미. 반드시 어말 어미를 필요로 함. 가 + 겠 + 다 (어간) (선어말어미) (어말어미) 선어말 어미에는 높임 선어말 어미, 공손 선어말 어미, 시제 선어말 어미가 있다. 1) 높임 선어말 어미 : 주체를 높여 주기 위하여 어간과 어말어미 사이에 들어가는 형태소( /-시-/ ) 우리가 그토록 갈망하던 김박사님께서 오셨습니다.(오시었습니다) 2) 공손 선어말 어미 : 말하는 이가 말 듣는 이에게 공손한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어간과 어말어미 사이에 들어가는 형태소( /-사옵-, -옵-, -잡-, -자옵-, -자오- / 등..
문화체육관광부고시 제2017-13호(2017. 3. 28.) 표준어 규정 제1부 표준어 사정 원칙 제1장 총칙 제1항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외래어는 따로 사정한다. 제2장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1절 자음 제3항 다음 단어들은 거센소리를 가진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ㄱ ㄴ 비 고 끄나풀 나팔-꽃 녘 부엌 살-쾡이 칸 털어-먹다 끄나불 나발-꽃 녁 부억 삵-괭이 간 떨어-먹다 동~, 들~, 새벽~, 동틀 ~. 1. ~막이, 빈~, 방 한 ~. 2. ‘초가삼간, 윗간’의 경우에는 ‘간’임. 재물을 다 없애다. 제4항 다음 단어들은 거센소리로 나지 않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
[문법적 요소의 통사적 기능과 그 의미] 1. 사동(使動): 남으로 하여금 어떤 동작을 하게 함.[使: 시킬(사), 부릴(사)] (1) 사동과 주동 1) 사동사 : 남으로 하여금 어떤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것을 나타냄. 2) 주동사 : 동작주가 스스로 행하는 동작을 나타냄. (2) 사동문 만드는 법 1) 자동사 어근 + 접사(-이-, -히-, -리-, -기-, -우-, -구-, -추-) 얼음이 녹는다 → 아이가 얼음을 녹인다.(주동문 주어→목적어) 속이다, (먼지를) 묻히다, 울리다, 숨기다, 깨우다, 일구다, 맞추다 2) 타동사 어근 + 접사 (주동문 주어→부사어) 영호가 책을 읽었다.→선생님이 영호에게 책을 읽혔다. 보이다, 입히다, 들리다(擧), 물리다, 맡기다, 갖추다 3) 형용사 어근 + ..
문장의 짜임새 # 문장 홑문장 겹문장 안은 문장 이어진 문장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1) 홑문장과 겹문장 1) 홑문장 : 주어와 서술어가 각각 하나씩 있는 문장.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한 번 이루어져 있는 문장. 그가 드디어 얼굴에 미소를 띠었다. 아기가 잔다. 2) 겹문장 : 한 개의 홑문장이 한 성분으로 안겨 들어가서 이루어지거나, 홑문장이 여러 개가 이어져서 여러 겹으로 된 문장. 우리는 이제서야 그가 확실히 우리를 사랑했음을 깨달았다. 전체주어 (주어) 명사절 (서술어) 전체서술어 그는 이 고장에서 태어났고, ( ) 평생 동안 여기서 살았다. 주어 서술어 ↖‘그는’을 생략. 서술어 (2) 문장 속의 문장 1) 안김과 안음 ① 안은 문장 : 속에..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