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문장의 짜임새

by 송화은율
반응형

 

문장의 짜임새

 

# 문장

  󰠆󰠏홑문장

  󰠌󰠏겹문장

     󰠆󰠏안은 문장

     󰠌󰠏이어진 문장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1) 홑문장과 겹문장

 

1) 홑문장 : 주어와 서술어가 각각 하나씩 있는 문장.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한 번 이루어져 있는 문장.

󰃚 그가 드디어 얼굴에 미소를 띠었다. 아기가 잔다.

 

2) 겹문장 : 한 개의 홑문장이 한 성분으로 안겨 들어가서 이루어지거나,

홑문장이 여러 개가 이어져서 여러 겹으로 된 문장.

󰃚 우리는 이제서야 그가 확실히 우리를 사랑했음깨달았다.

전체주어 (주어) 명사절 (서술어) 전체서술어

그는 이 고장에서 태어났고, ( ) 평생 동안 여기서 살았다.

주어 서술어 그는을 생략. 서술어

 

(2) 문장 속의 문장

 

1) 안김과 안음

안은 문장 : 속에 다른 문장을 안고 있는 겉의 전체 문장.

󰃚 농사가 잘 되기를 금년에도 바란다.

안긴 문장

안긴 문장 : 한 문장이 절의 형태로 바뀌어서 전체 문장 속에 안김.

 

명사절로 안김 : 전체 문장 속에서 주어목적어 구실을 함.

) -(), -; 󰃚 철수가 축구에 소질이 있음이 밝혀졌다.

올해는 네가 합격하기를 빌겠다.

) -(-) + ; 󰃚 학생들이 고민이 많다는 것이 사실이다.

) ‘-느냐/-(), -는가/-(), -는지/-()등의 종결

어미로 끝난 문장이 그대로 명사절이 되어 안김.

󰃚 그들이 정말 그 일을 해내느냐가 문제였다.

 

서술절로 안김 : 전체 문장 속에서 서술어 구실을 함.

󰃚 이 책은 활자가 너무 작다.

 

관형절로 안김 : 전체 문장 속에서 관형어 구실을 함.

)긴 관형절 : 종결형으로 끝난 문장에 (-고 하는)’이 붙음.

(‘-/-+ 의 형식)

󰃚 나는 그분이 유명한 작가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 짧은 관형절 : 종결형이 나타나야할 자리에 종결형 어미 대신 관형형 어미

‘-, -이 붙어 이루어진 관형절.

󰃚 네가 깜작 놀랄 일이 생겼다.

나는 (내가) 그에게 책을 빌려준 기억이 없다.

긴 관형절 + ‘소문, 인상, 제안, 질문, 낭설, 보도, 정보,

짧은 관형절 + ‘기억, 사건, 경험, 용기, , ,

사실, 목적, 약점, 결심, 욕심, 등의 명사는 둘 다 가능하다.

부사절로 안김 : 용언에서 파생된 부사(용언의 어간 + ‘-’ ; 없이,

같이, 달리, 있이, 비슷이, ) 가 부사어의 노릇을 하고 있음.

󰃚 그는 자금도 없이 사업을 시작했다.

그는 우리가 예상했던 것과 같이 시험에 합격했다.

그는 얼굴이 잘 생긴 것과는 달리 품행은 좋지 않다.

 

보충학습

 

 

 

연결 어미(-듯이, -, -도록) 에 의하여 이루어진 문장은 의미 기능이 부사적이라 하더라도, 연결 기능을 중시하여 안긴 문장이 아닌,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으로 취급한다.

󰃚 눈물이 비오듯이 흐른다.(‘눈물이생략)

바람이 통하도록 창을 열었다.(‘창에생략)

저 사과가 맛이 있게 익었다. (‘사과가생략)

인용절로 안김 : 말의 내용, 생각, 판단 등을 인용.

인용절은 문장 성분으로 보면 부사어로 보는 것이 좋다.

) 간접 인용 : ‘‘-, -, -, -+

) 직접 인용 : ‘라고, 하고인용 내용의 문장 + 라고/하고

* 억양까지 흉내 낼 때는 하고를 쓴다.

 

 

2) 문장의 안김과 성분의 생략

한 문장이 절의 형태로 큰 문장 속에 안길 때, 안긴 문장의 성분이 그것을 안은 문장의 한 성분과 동일하면 그 성분은 생략됨.

󰃚 나는 (내가) 집에 가기가 싫다.

선생님은 철수를 (철수가) 부지런하다고 칭찬하셨다.

 

(3) 이어진 문장

 

1) 이어진 문장 : 연결어미에 의해 두 문장이 결합된 문장.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 ; 대등적 연결 어미 ‘-, -(), -(), -지만등에

의하여 대등한 관계로 결합된 문장.

 

󰃚 비가 오고, 바람이 분다. 그는 갔으나, 예술은 살아 있다.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 앞절에 종속적 연결 어미를 붙여 뒷절에 종속적으로

붙인 문장. (뒷절이 가 되고, 앞절이 이 된다.)

 

조건, 가정 : -(), -거든, -더라면

이유, 원인 : -아서, -()므로, -()

결과가 예상의 반대임 : -(), -아도, -지마는, -라도

한 가지 이상의 일을 나열함 : -, -()

덧보태거나 더해 감 : -()뿐더러, _()수록

의도 : -()려고, -고자 󰃚 너에게 주려고 나는 선물을 샀다.

어떤 상태에 이르기까지 행위가 미침 : -도록, -듯이, -

󰃚 나는 밤이 깊도록 잠을 이루지 못했다.

한 일이 끝나고 동시에 다른 일이 잇달아 일어남 : -어서자

다른 일로 옮아감 : -, -다가

󰃚 바람이 불다가 지금은 잠잠해졌다.

목적 : -()󰃚 나는 밥을 먹으러 식당에 간다.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과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의 구별

 

 

 

객관적이며 분명한 기준이 없다. 연결 어미에 이끌리는 앞절이 뒷절 속으로 자리를 옮길 수 있으면 종속적인 연결로 보는 것이 좋다.

󰃚 나는 밥을 먹으러 식당에 간다. 나는 식당에 밥을 먹으러 간다.

봄이 오니 날씨가 따뜻하다. 날씨가 봄이 오니 따뜻하다.

철수는 집에 가서 청소를 했고, 영희는 학교에 남아서 공부를 했다.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 󰠐

󰠌󰠏󰠏󰠏󰠏󰠏󰠏󰠏󰠏󰠏󰠏󰠏󰠏󰠏󰠏󰠏󰠏󰠏󰠏󰠏󰠏󰠏󰠏󰠏󰠏󰠏󰠏󰠏󰠏󰠏󰠏󰠏󰠎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

이어짐의 제약

 

‘-’ : ‘-는 앞뒷절의 두 사건이 동시에 일어남을 뜻하기 때

문에 시제 선어말 어미와 결합하지 않음.

󰃚 그가 집에 *들어섰자 비가 오기 시작했다.

 

‘-느라고’ : 시제 선어말 어미와 결합하지 않으며, 뒷절의 주어

가 같아야 하고, 뒷절이 명령청유형이 아니라야 한다.

󰃚 저 낚시꾼이 얼음판을 *깼느라고 고생을 한다.

*깨느라고 나는 고생을 한다.

*깨느라고 고생을 합시다.

 

‘-아서/-어서’ : 앞절이 뒷절의 원인이 되어야 하며, 명령청유문

에 쓸 수 없다.

󰃚 배가 *아파서 식당에 간다.

배가 *고파서 식당에 가자.

 

2) 문장의 이어짐, 단어의 이어짐

 

주어가 접속 조사로 이어져 있고, 이에 대한 서술어가 하나 밖에 없어

이어진 문장이다. 󰃚 순철이와 영수는 야구 선수이다.

 

목적어가 접속 조사로 이어져 있어도 이어진 문장이다.

󰃚 철수는 영어와 독일어와 불어를 할 줄 안다.

 

두 성분이 동시에 접속 조사로 연결되어 있어도 이어진 문장이다.

󰃚 철수와 영수는 서울과 부산에 산다.

 

한 쪽의 서술어가 생략되어 홑문장같지만 이어진 문장이다.

󰃚 순이는 역사책, 영순이는 지리책을 읽었다.

 

단어가 이어진 것은 이어진 문장이 아니고, 홑문장이다.

󰃚 철수와 영수는 골목길에서 마주쳤다.

 

대칭 용언

 

 

 

동사 - 마주치다, 부딪치다, 만나다, 대면하다, 싸우다, 닮다

형용사 - 같다, 비슷하다, 다르다

 

문장의 해석

 

 

 

# 지난 주에는 영수와 민희가 교실 청소를 했다.

(홑문장이면) “둘이서 함께 날마다 교실 청소를 했다.”

(이어진 문장이면) “둘이서 번갈아

 

 

(4) 문장과 이야기

 

1) 우리 말의 특성 - 우리 말의 문장은 앞에 있는 문장과 관련시켜야만 그 기능과 의미가 분명해지는 일이 있고, 그 문장의 장면이나 말하는 사람의 생각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이렇게 한 문장이 실현되는 구체적 맥락의 단위를 이야기라고 한다. 이야기의 실질적인 의미나 기능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맥락을 중심으로 문법적인 특색을 찾아볼 수 있다.

 

2) 우리 말의 문법적인 특색

주어의 생략이 쉽다. 관용적 표현에는 주어가 없다.

목적어의 생략도 가능하다. 󰃚 점심 먹지 않니? (점심을) 먹을게.

보조사를 사용하여 말하는 이의 생각을 담는다.

보조동사를 사용하여 말하는 이의 생각을 담는다.

󰃚 영숙이는 어제 떠나 버렸다.(떠나 없어서 섭섭함.)

할머니에게 책을 읽어 드린다.(봉사)

어려운 일을 잘 참아 왔다.(진행)

 

말하는 이와 듣는 이를 중심으로, 지시어를 사용하여 이야기가 이루어

지는 장면에 존재하는 대상을 가리킨다.

 

) ‘, 는 앞선 문장의 내용을 지시함.(‘는 쓰이지 않음)

󰃚 사람이 거기 있는 줄 몰랐다.”

) ‘는 상대방의 이야기에 언급된 내용을 지시함.(‘는 쓰이지 않음)

󰃚 어머닌 저는 조금도 귀여워하지그런 말을 하면 못쓴다.”

) 자신의 이야기에 나오는 내용을 가리킬 때는 , 를 사용하나,

자신만 알고 있는 내용일 때는 만 쓴다.

󰃚 영이가 이번 시험에 일등 했어.” “/ 말을 오해하지 마.”

걸 알고 있어야 해. 영이는 성실한 아이야.”

 

긍정이나 부정의 물음에 긍정부정의 대답이 모두 가능하다.

긍정을 가정한 부정 의문문은 인도-유럽어와 같은 유형을 띤다.

󰃚 영이 왔니?” , 왔어요.” 아니오, 오지 않았어요.”

영이 안 왔니?” , 안 왔어요.” 아니오, 왔어요.”

이 소나무가 산호 같지 않니?” , 산호 같아요.”

아니오, 산호 같지 않은데요.”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