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본론 쓰기 서론이 머리라면 본론은 몸통입니다. 본론은 서론에서 제기된 문제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며, 제시된 대안의 타당성을 논증하는 부분입니다. 그런데, 서론에서는 거창하게 과제를 제시하고 주장을 역설하고서는 막상 본론에서 과제의 해명이라든가 주장을 뒷받침 해 주는 논거가 빈약하다면 그 글은 기형일 수밖에 없겠지요. 이제 본론 쓰는 연습을 통해서 글을 살찌우는 훈련을 해 봅시다. 본론에서 중요한 것은 논리력입니다. 이 논리력은 단락의 형태를 결정하고 이들을 이어 나가는 데서 나타나게 됩니다. 그러므로 우선, 단락 쓰기의 일반적인 사항부터 간단하게 다시 검토하기로 합시다. 1. 논리와 주장을 부각시키는 단락쓰기 단락은 주제문을 어디에 위치시키느냐에 따라 두괄식 구성, 미괄식 구성, 양괄식 ..
서론 쓰기 서론은 글의 도입부입니다. 이 말은 독자(시험의 경우, 채점자)가 처음으로 여러분의 글을 읽게 되는 부분이라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논제와 어긋나거나 어법에 어긋나거나, 아니면 그 어떤 흠이라도 있게 되면 채점자에게 강한 인상을 주게 되어 점수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지요. 시험 시간에 연습장에 논술문을 작성할 때는 서론부터 써서는 안 되지만, 실제로는 당락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므로 주의를 기울여 보도록 합시다. 1. 서론의 구성 요소 서론 부분은 한 문단으로 충분합니다. 서론 문단은 특수한 기능을 나타내기 때문에 독특한 구조를 보여 줍니다. 서론 문단은 이야기 거리를 소개하면서 차츰 특수하게 한정하는 기능을 나타냅니다. 서론에 들어갈 수 있는 내용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독자의 관심..
1. 요약문의 요건 ① 글쓴이의 주요 논의점(주장)이 요약되어 제시되었는가? ② 글쓴이의 주요 논의점을 지지할 수 있는 증거 사항(논거)이 요약되어 제시되어 있는가? ③ 요약문이 전체적으로 긴밀성과 통일성을 보이고 있는가? ④ 지문 내용의 순서를 따르고 있는가? ⑤ 글쓴이의 의도를 왜곡시키지 않았는가? 2. 실전 연습 ① 다음 제시문을 요약하시오. (300자 이내) 전통은 문화적 개념이다. 문화는 복합 생성을 그 본질로 한다. 그 복합은 질적으로 유사한 것끼리는 짧은 기간에 무리없이 융합되지만, 이질적일수록 그 혼융의 역사적 기간과 길항이 오래 걸리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전통이 그 주류에 있어서 이질적인 것의 교체가 더디다 해서 전통을 단절된 것으로 볼 수는 없는 것이다. 오늘은 이미 하나의 문화적 ..
요약의 원리 익히기 요약이란, 어떤 글을 읽고 필자의 의도와 글의 주제를 정확히 파악한 다음 그 중심 내용을 문맥에 따라 간략하게 압축, 정리하는 활동을 말한다. 결국 요약하기 능력은 글의 핵심을 파악하는 기초적인 독해 능력과 불가분의 관계를 이룬다. 1. 요약의 기본 원리 ◦ 삭제하기 : 부수적이고 덜 중요한 것이나 반복되는 내용을 삭제한다. ◦ 일반화하기 : 하위개념은 상위개념으로 대치, 구체적인 내용은 일반화 시킨다. ◦ 선택하기 : 글을 읽고 글 속에 명시적으로 나타난 주제문을 선택한다. ◦ 재구성하기 : 주제문이 명시되지 않았을 경우 전체의 문맥으로부터 추리해 낸다. 2. 중심 대상과 필자의 의도 파악하기 ◦ 필자의 의도에 맞게 요약을 하려면 가장 먼저 필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다..
논리적으로 독해하기 1. 기본 원리 독해를 할 때에 다음과 같은 과정을 활용하면 보다 정확하게 글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① 핵심어 확인하기 독해의 기본인 주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내용 전개에 주축이 되는 핵심어를 찾아내는 것이 선행 되어야 한다. ② 소주제문 찾기 핵심어를 바탕으로 단락의 소주제문을 찾아낸다. ③ 단락의 구조 분석하기 문장 간의 관계를 분석해 보면 단락의 논지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주지 문장 : 글의 주제와 직접 관계되는 중심문장 요약 문장 : 결론을 맺거나 글을 마무리하는 문장 전제 문장 : 주장(결론)을 이끌어 내기 위한 논거 따위를 조건으로 제시하는 문장 상술 문장 : 앞 문장의 내용을 보다 자세히 풀어 말하는 문장 예시 문장 : 예를 들어 보여주는 문장 강조 ..
단락의 짜임 파악 단락 또는 문단이란 '하나의 생각을 완결되게 표현하는 글의 단위'입니다. 단락은 크게 형식 단락과 내용 단락으로 나누기도 합니다. 형식 단락은 말 그대로 단락 구분이 이루어져 있으면 단락으로 인정하는 것이고, 내용 단락은 작은 형식 단락들이 모여 글의 논리 단계를 구성할 때를 지칭하는 것이지요. 그런데 최대 1,200자를 넘지 않는 논술 시험에서는 서론이나 결론의 경우 형식 단락이 그대로 내용 단락이 되는 경우가 많고 본론에서는 몇 개의 형식 단락이 모여 내용 단락을 이루게 됩니다. 단락을 구분하는 이유는 다음의 세 가지 때문입니다. 첫째, 글 전체를 부분으로 나누어 읽기 위해서 둘째,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하게 하기 위해서 셋째, 독자에게 휴식 제공 및 내용 기억에 도움을 주기 위해..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