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아프리카의 어떤 부족은 '몸에 이가 들끓으면 건강하다'는 믿음을 가지고 산다고 한다. 하지만 '이가 많으면 건강한 것'이 아니라 '건강하면 이가 많은 것'이라고 봐야 한다. 이렇듯 이의 마리 수와 건강한 정도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 그런데 이 상관관계를 인과관계로 해석하는 과정에서 이 부족은 인과관계를 완전히 뒤집어놓은 것이다. 사실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비판적으로 구분하는 것은 과학활동에 가장 필수적인 조건 중의 하나다. ▶문 : '늙어서까지 성관계를 계속 가질수록 장수한다'는 연구 결과를 평가해보시오. ▶답 : 성관계가 건강을 가져다주는 것이 아니라 이러저러한 여건이 갖춰져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사람들이 성관계를 많이 가진다고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즉 규칙적인 성..
무중력 상태 무중력 상태란 중력이 없는 상태가 아니다. 중력만 작용하고 수직항력이 작용하지 않아 짜부라지는 효과를 느끼지 못하는 상태다. 즉 역설적이게도 중력만 작용하는 상태가 곧 무중력 상태다. 이렇듯 중력만 작용하는 경우는 (공기 저항이 없는 가운데) 자유낙하 또는 투사체 운동을 하고 있는 사람, 지구 주위를 도는 우주비행사 등의 경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경우에 모두 무중력 상태를 경험하게 된다. ▶문 : 자유낙하를 하면 왜 무중력 상태를 경험하게 되는가? ▶답 : 무중력 상태란 중력이 '없다'는 뜻이 아니라 중력의 효과를 느끼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보통 우리가 어딘가에 서있거나 앉아있는 경우, 우리 몸에는 중력과 수직항력이 함께 작용하게 됩니다. 중력은 아래쪽으로 잡아당기는 힘이고 수직항력..
천체의 표면과 대기 달처럼 중력이 약한 천체는 대기를 간직하지 못하고 모두 날려보냈으며 따라서 대기가 없다. 대기가 없다 보니 ① 유성(별똥별)이 생기지 않고 ② 낮에도 하늘은 시커멓고 별이 보이며 ③ 별이 반짝거리는 현상이 없다. ④ 풍화․침식이 없어 일단 생긴 충돌구덩이는 지워지지 않는다. 따라서 표면은 충돌구덩이로 덮여있다. 또한 ⑤ 소리가 안 들리고 ⑥ 대기에 의한 보온효과(온실효과)가 전혀 없어 일교차가 크며 ⑦ 대기에 의한 산란현상도 없어 표면 반사율이 낮으므로 비교적 어두워 보인다. ▶문 : 달에서는 별똥별이 보이지 않는 이유는? ▶답 : 지구에 유성체가 떨어질 때는 대기와의 마찰열로 인해 타버리면서 밝게 빛나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게 유성인데 달에는 대기가 없으므로 하늘에 유성이 보이는 ..
확률의 맹점 구술면접 문제로 출제되는 것 가운데 상당수는 과목별로 분류하기 어려운 것들이다.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첫째는 과학적 방법에 관련된 문제다. 공통과학의 '과학의 탐구과정'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대표적 예가 어떤 실험설계나 연구자료를 주고 이에 대해 과학적 비판성과 엄밀성을 갖춘 결론을 요구하는 문제다. 둘째는 통합교과적 개념을 묻는 문제다. 대표적 예로 피드백이나 디지털․아날로그 개념에 대한 문제 등이 있다. 마지막은 과학연구에 필요한 기초적 개념이나 방법을 묻는 문제다. 여러 물리량의 정의나 단위에 대한 문제 등이 그 예다. 원자력발전의 사고는 확률이 낮다 해도 일단 사건이 발생했을 때 그 파장이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심각해진다. 이와 관련된 논의는 필연적으로 사건의 결과를 받..
중세역학 1). 중세에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을 따르는 사람들의 의견에 의하면, 우리가 수직위로 공을 던졌을 때 처음 작용한 힘은 공이 올라감에 따라 점점 중력의 영향을 받게 되어 공이 최고점에 이르렀을 때에는 처음 던져질 때 가해진 힘이 모두 소모됨과 동시에 중력이 작용하게 되어 공은 잠시 정지하게 된다. 그 후 처음에 던져진 힘은 다 소모되고 중력이 던져진 힘보다 커져 공이 밑으로 덜어진다는 것이다. 이 생각을 근대 역학의 출발점인 관성의 법칙과 비교하여 설명해 보라. ▶답 : [1] 중세 아리스토텔레스 역학과 근대 뉴턴 역학의 사고틀에 대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힘에 대한 개념의 변화이다. ◈ 아리스토텔레스: 힘이 물체에 지속적으로 작용하고 물체의 운동이 지속되는 동안 작용하는 힘이 감소하는 것으로 ..
무중력 상태 1). 무중력상태에서 촛불의 불꽃 모양은 지상에서의 촛불 모양과 어떤 차이가 있나요? ▶답 : 지상에서의 불꽃 모양은 위로 올라가는 모양을 하고 있죠. 이러한 모양이 가능한 것은 중력 때문입니다. 빛과 열을 내면, 밀도가 주변 공기보다 작아져 위로 올라가는데, 밀도는 중력이 있을 때 나타납니다. 만약 중력이 없다면, 위/아래의 차이가 없는 동그란 모양을 합니다. 2). 무중력 상태를 경험하기 위하여 지난번 첼린저호를 타고 가는 도중에 큰 사고가 일어난 적이 있다. 지표에서도 무중력 상태를 경험하게 되는데 도대체 무중력 상태란 어떤 경우를 말하는가? ▶답 : 자유낙하 운동을 하면서 무중력 상태를 경험해 볼 수 있다. 즉 번지 점프나 독수리 요새 등의 기구를 타면 몇 초 동안 자유낙하 운동을 하..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