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힘의 원리 1). 달리는 자동차가 받고 있는 모든 힘을 열거 해 보아라. ▶답 : 자동차가 달리고 있으면 밑으로 중력이 미치고 위로는 수직항력이 작용한다. 또 달리는 방향으로 추진력이 작용하고 반대 방향으로 공기에 의한 마찰력과 바닥면의 마찰력이 있다. 2). 자동차의 ABS(Anti-lock Brake System)브레이크의 원리는 어떤 것일까? ▶답 : ABS(Anti-lock brake system)는 자동차가 급제동할 때 바퀴가 잠기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개발된 특수한 브레이크를 말합니다. 여기서 바퀴가 잠기는 현상이란 차가 여전히 진행하고 있는 데도 바퀴는 완전히 멈춰서는 현상을 말하며, 이때 차가 미끄러지거나 옆으로 밀려 운전자가 차의 방향을 제대로 제어할 수 없는 상황이 종종 발생합..
마찰력 1). 물체에 힘을 주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물리적인 변화를 열거하면? ▶답 : 1. 물체의 모양 변화 2. 물체의 운동 상태변화 2). 균질의 책상 위에 직육면체의 나무토막을 누여놓은 경우와 세워놓은 경우에 마찰력은 어느 쪽이 더 큰가? ▶답 : 통나무의 넓은 면이 마찰될 때 접촉면적은 넓어지지만 단위 면적당 중력의 크기는 줄어든다. 반면 세웠을 때는 접촉면적은 좁아지지만 단위 면적당 중력의 크기는 줄어들기 때문에 접촉면적에 관계없이 마찰력의 크기가 같아진다. 3). 마찰력의 크기는 분명히 접촉면의 면적과 무관하므로 보통 타이어와 광폭 타이어의 마찰력은 같게 되어 제동거리도 같아야 한다. 그러나 광폭 타이어의 제동거리는 보통 타이어의 제동거리보다 짧아진다. 왜 그럴까요? ▶답 : 브레이크를 밟..
길이의 단위 교통이나 통신이 발달되지 못했던 옛날부터 사람들은 자기들이 쓰기 쉬운 길이의 단위를 정의하여 사용하였다. 우리 나라의 치, 자, 간, 리와 유럽의 인치, 피트, 마일 등이 그 예이다. 그러나 통신과 교통이 발달되고 나라 사이의 문화 교류가 이루어짐에 따라 세계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길이의 단위가 필요하게 되어 미터 원기가 제정되었다. 미터 원기는 적도에서 북극까지의 거리의 1000만분의 1을 1 미터(m)로 정한 것으로 ㎏원기와 같은 합금으로 만들어져 국제 도량형국에 보관되어 있다. 1). 이 미터 원기를 보다 정확하고 정교하게 그 기준을 정하려면 어떤 방법을 생각할 수 있는가? ▶답 : ① 1960년 크립톤 동위원소 (86.36)Kr이 방출하는 주황 색광의 파장의 1650763.73..
시간의 단위 과거에는 지구의 공전 운동과 자전 운동의 주기가 시간의 기준을 정하는데 사용되었다. 지구가 춘분점을 출발하여 다시 춘분점에 되돌아오는 시간을 1년(회기년)이라 하고, 태양이 남중했다가 다시 남중하는 사이의 시간을 하루(태양일)라 한다. 태양일은 장소와 계절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에, 적도에서의 하루의 길이를 1년에 걸쳐 평균한 값을 평균 태양일이라 하고 이를 시간의 기준으로 하였다. 평균 태양일의 (1/24)을 1시간(평균 태양시), 1시간의 (1/60)을 1분, 1분의 (1/60)을 1초로 정의하고 이 1초가 시간의 기본 단위가 되었다. 1). 1967년부터는 국제 합의에 의해 보다 정밀도가 높은 원자시가 정의되었다. 이 원자시란 도대체 어떤 방법으로 1초를 정의하였을까? ▶답 : 1초를 ..
구술면접 모범답안 1) 공통핵심 구술면접 모범답안 1. 어떤 봉사 활동을 했습니까 ? 학교생활기록부 상의 봉사활동은 10회 60시간입니다. 특히 5회에 걸쳐 음성'꽃동네'에서 설날과 같은 연휴를 이용하여 2박3일 동안 장애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고충을 몸소 체험한 것은 장애인을 이해하는데 새로운 계기가 된 것 같습니다 지체부자유자의 봉사활동을 통하여 주변에 고통받는 이웃에 사랑과 봉사가 절실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앞으로 시간이 허락하는 대로 봉사활동을 지속적으로 하여 더불어 사는 세상이 되었으면 합니다 2. 신문이나 TV뉴스를 보고 있습니까 ? 신문은 구술면접 및 논술고사에 인용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요즘 민감한 시사내용이나중요 사설로 판단되는 내용은 발췌하여 읽고 있습니다. 특히 인터넷 입시..
엘리베이트 운동 1). 바람을 가득 넣은 풍선을 가지고 엘리베이터를 탔다. 그러나 불행히도 엘리베이터의 줄이 끊어지고, 깜짝 놀라 잡고 있던 풍선을 그만 놓치고 말았다. 이때 풍선은 어떻게 될까? ① 놓쳤던 그대로 있다. ② 천장에 붙어 있다. ③ 바닥에 먼저 떨어 진다. ▶답 : 그대로 있다. 왜냐하면, 풍선과 사람 그리고 떨어지는 엘리베이터는 모두 같은 가속도(=중력가속도)를 받으면서 낙하하기 때문이다. 2). 이번에는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를 풍선에 넣었다. 그럼, 풍선은 떠오를 것이다. 이 풍선을 들고 엘리베이터를 탄 철수가 위와 같은 사건을 또 경험한다면 풍선은 어떻게 될 것인가? ▶답 : 마찬가지로 그대로 있다일 것이다. 여기서 이상하게 생각이 드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그 이유는 풍선은 공기보..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