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유체역학 1). 무거운 물체를 물속에 집어 넣고 들어 보면 공기 중에서 들 때 보다 어떠한가? 또,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답 : 더 가벼워진다. 그 이유는 물의 부력( 물속에 잠긴 부분만큼의 물의 무게가 들어짐)을 받았기 때문이다. 2). 이번에는 그림과 같이 밀폐된 용기 속에 탁구공을 넣고 공기 주입구를 통하여 공기를 불어 넣어 공기를 압축하면 탁구공의 움직임은 어떠한가? 또,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무었인가? (단, 탁구공은 부피가 변하지 않는다고 함) ▶답 : 공기의 부력을 받아 좀 더 위로 뜨게 될 것이다. 그 이유는 공기가 압축되면 전반적으로 용기내의 밀도가 높아지게 되고 따라서 공기의 부력을 더 받기 때문이다. 3). 다시 그림과 같이 용기 속에 물을 절반쯤 채우고 탁구공을 띄웠..
역학적 에너지 ※ 다음 그래프는 어느 계의 위치 에너지(Ep)를 나타낸다? 각 질문에 자신의 견해를 말해보자. 1).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가 3J 이면 이 물체의 운동은 어떠하리라고 보는가? ▶답 : 역학적 에너지는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의 합이므로 x = 5 m지점에 정지해 있다. 2).물체의 역학적 에너지가 6 J이면 이 물체의 운동은 어떠할까? ▶답 : 역학적 에너지가 6J 이면 위치 에너지가 3J이고 나머지 3J 은 운동 에너지로 진동하고 있다. 즉, 3 m와 7m 사이를 왕복운동 하고 있는 것이다. 3).이 물체에 10 J 의 역학적 에너지를 공급하면 이 물체의 운동은? ▶답 : 역학적 에너지가 8 J을 넘어서면 진동하다가 다시는 돌아오지 못하고 계를 탈출하게 된다. 4). 비행기는 어떻게 ..
축전기 1). 전기를 모으는 장치를 축전기라고 한다. 그 원리는 무엇인가? ▶답 : 두 개의 납작한 도체판을 마주하고 여기에 (+).(-)전극을 걸어 주면 (+)전기, (-)전기가 모여진다. 이때 모여지는 전기량(Q)은 극판에 걸리는 전압에 비례하여 모인다. 2). 서로 근접한 한 쌍의 도체판으로 만들어진 간단한 축전기를 생각하자. 양과 음으로 적절히 대전된 판을 방전시키자 불꽃을 일으켰다. 다음에는 판을 먼저와 똑같이 다시 충전시켰다. 이번에는 충전시킨 후, 판 사이를 좀더 멀리 하였다. 그리고 나서 다시 방전시킨다면 이번에 생성된 불꽃은 ① 처음 불꽃보다 클 것이다. (더 큰 에너지가 방출된다.) ② 처음 불꽃보다 작을 것이다. ③ 처음 불꽃과 같다. ▶답 : ① 처음 불꽃보다 클 것이다. 큰 불꽃을..
전류에 대한 질문들 1). 전자나 이온에 의해 운반되는 전하의 흐름이 전류이며 양전하의 이동 방향을 전류의 방향으로 정한다. 이와 같이 전류가 흐르기 위해서는 어떤 조건이 구비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답 : ⓐ 전하가 이동할 수 있는 회로(도선)가 있어야 한다. ⓑ 전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전기장이 있어야 한다. ⓒ 전하의 운반체가 계속적으로 공급되든가 순환되어야 한다. 2). 고체(도체)내에서는 자유전자가 또, 액체내에서는 이온물질에 의하여 전류가 흐른다. 기체내에서는 전류가 어떻게 흐를까? ▶답 : 전류는 기체내에서도 흐르게 되는데 공기를 제거하고 희박한 기체가 들어 있는 유리관(방전관)의 양 끝에 높은 전압을 걸어주면 전류가 흐른다.(진공 방전) 방전관 내의 희박한 기체는 소량이기는 하나 양이온..
빛의 반사 1). 우리가 사물을 관찰할 수 있는 것은 어떤 원리인가? 또, 렌즈나 거울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상에는 실상과 허상이 있다. 실상과 허상의 정의는 무엇인가? ▶답 : 우리가 물체를 볼 수 있다는 것은 물체가 빛을 받아 자신의 색에 해당하는 빛만 반사하고 나머지는 흡수 해버리기 때문이다. 물체에서 나온 빛이 렌즈를 통과하여 다시 모아지면 상이 맺히는데 이것을 실상이라고 한다. 그러나 물체에서 나온 빛이 거울에 반사되어 분산될 때 이 빛들이 발산되는 곳을 가상으로 생각하여 만들어 지는 상을 허상이라고 한다. 즉, 실제 빛이 모이면 실상이되고, 가상적인 빛의 발산점을 허상이라고 한다. 2). 우리가 거울을 보면 실제 모습과는 달리 왼쪽과 오른쪽이 바뀌어 보인다. 상대방이 나를 볼 때와 똑같이 볼 ..
빛과 파동 1). 빛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그 종류를 밝혀라. 또, 그 분류 방법은 무엇인가? ▶답 : 적외선, 가시광선(빨강 노랑 파랑등 눈에 보이는 색깔), 자외선, X선, γ선이 있고, 이들 빛들은 일반적으로 파장(빛에너지:파장이 짧을수록 에너지가 크다)에 따라서 분류된다. 2). 프리즘을 통과한 태양빛은 무지개색으로 분리되기도 하고, 비온 후 하늘에는 무지개가 나타난다. 이러한 무지개는 어떻게 하여 나타나는 것일까? ▶답 : 자연광(태양빛)속에는 적외선을 비롯하여 가시광선이 섞여 있는데 이 빛들은 파장이 짧을수록 굴절이 잘되므로 파장에 따라서 분산이 되기 때문이다. 3). 하늘을 보면 파랗다. 또, 붉게 물든 저녁놀을 보면 자연의 신비를 느낀다. 이러한 자연 현상은 왜 일어날까? ▶답 : 빛이..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