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번역소학(飜譯小學) 요점 정리 연대 : 중종 12 언해자 : 김전, 최숙생 이해와 감상 통문관(通文館)의 계(啓)에 의하여 김전(金詮) ·최숙생(崔淑生) 등이 왕명으로 번역하여 간행하였고, 현재 초간본은 전해지지 않고, 16세기 후반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복간본(復刊本)이 낙질(落帙)로 전해지고 있다. 심화 자료 번역소학 중국 송나라 유자징(劉子澄)이 편찬한 ≪소학≫의 번역본. 10권 10책. 목판본. 김전(金詮)·최숙생(崔淑生) 등이 언해하여 1518년(중종 13)에 간행하였다. ≪소학집성 小學集成≫을 저본(底本)으로 하였기 때문에 권수가 10권이 되었다. 남곤(南袞)의 발문(跋文)에 간행 경위가 자세히 적혀 있다. 한편 ≪중종실록≫에는 이 책이 1518년 7월에 간..
번역 문학 요점 정리 (1) 배경 훈민정음 창제로 인해 한문으로만 전해 오던 수많은 한문 문헌을 우리말로 번역하고자 하는 번역이 활발하게 이루어 지기 시작했고, 집현전과 언문청(諺文廳)을 중심으로 운서(韻書) 번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간경도감(刊經都監)을 설치하여 그곳에서 많은 불경들을 번역하였으며, 홍문관(弘文館)을 중심으로 하여 주요 문학서를 번역하였다. 또 세종, 세조 때에 시작되었던 경서(經書)의 언해는 중종 때에 이르러 크게 활기를 띠었다. (2) 특징 운서(韻書), 불경(佛經), 문학서(文學書) 등의 번역이 골고루 행해졌고, 이 모든 사업은 주로 국가 기관에 의하여 관장된 국가적 사업이었으며, 이때 많은 서적이 번역되어 학문, 그리고 지식을 널리 보급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