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언어와 사회‧문화의 관계

by 송화은율
반응형

언어와 사회문화의 관계

 

사회란 사람들이 어우러져 살아가는 공동체를 뜻하고, 문화란 그 공동체의 사람들이 만들어 내는 삶의 자취를 뜻한다. 따라서 사람들이 어우러져 살아가는 사회가 있으면 반드시 그 사람들의 삶으로 나타나는 문화가 있게 마련이다. 그런데 사람들이 어우러져 사회라는 공동체를 이루고 살아가려면 말(언어)이 사람들 사이를 오가며 묶어 주는 노릇을 하고, 사람들이 삶의 자취로 문화를 만드는 데에는 말이 그 도구 노릇을 하고 자료가 된다. 사회란, 말이 사람들을 묶어 주어서 이루어지고, 문화, 말을 도구 또는 자료로 삼아 만들어지는 까닭에, 말과 사회문화 사이에는 뗄 수 없는 관계가 성립한다고 하겠다.

 

그러나 그 관계가 어떠한지는 아직 정확히 모른다. 우선 사회와 문화가 말을 만든다는 주장이 있다. 말을 사회의 문화 현상 가운데 하나로 보는 것이다. 살기 좋은 사회의 훌륭한 문화 안에서는 아름답고 살아 있는 말이 쓰이지만 살기 힘든 사회의 너절한 문화 안에서는 뒤틀리고 메마른 말이 쓰인다고 본다. 그리고 사회와 문화는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자연의 그것이기에 그 산물인 말 또한 사람이 어떻게 할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편, 말이 사회와 문화를 만든다는 주장도 있다. 말을 사회의 문화 현상으로 보지 않고 사회와 문화를 만들어 내고 틀 지우는 힘으로 보는 것이다. 말이 참되고 올바르며 아름다우면 혼탁하던 사회가 맑고 깨끗하게 정화되면서 훌륭한 문화를 새롭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사람이 말을 갈고 닦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말을 가다듬어서 사회와 문화를 바로잡아 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들 주장은 어느 한쪽만 온전히 옳다기보다 양쪽 모두 얼마는 옳고 얼마는 그르다고 할 수밖에 없을 듯하다. 그러나 좋은 사회를 만들고 훌륭한 문화를 가꾸어 온 나라들일수록 그 나라의 말을 갈고 닦으려고 애쓰는 현실을 보면 뒤의 주장을 더 많은 사람들이 옳게 여기는 것이라고 보아도 좋겠다.

 

말이 모든 사람들에게 막힘 없이 두루 쓰일 수 있으면 그 공동체는 열려 있어서 누구나 능력을 마음껏 펼치고 서로를 사랑하는 사회가 되어 훌륭한 문화를 이룩할 수 있다. 쉬운 말이 모든 사람들 사이를 거침없이 오갈 수 있으면 지식과 감정과 상상 같은 모든 정보과 자유롭게 드러나 누구나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누구나 제 소질과 능력에 맞는 정보를 자유롭게 만나고 활용할 수 있으면 저절로 그 사회문화는 아름답고 힘차게 일어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말이 어렵고 까다로워 사람들 사이를 제대로 오갈 수 없으면 그 공동체의 정신은 닫힐 수밖에 없다. 말이 까다로워 아무에게나 쉽게 오가지 못하면 힘과 시간과 머리가 있는 소수의 사람들만 제대로 부려쓰면서 그들끼리 우월감에 빠져 다른 사람들을 업신여기고, 어려운 말을 자유롭게 부려 쓸 수 없는 다수의 사람들은 저들끼리 열등감에 빠져 원망과 체념 가운데서 살게 되기 때문이다. 이런 사회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소질과 능력을 펼치지 못하고 밀려나기 때문에 그 문화가 시들고 가라앉을 수밖에 없다.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 교육학 사전󰡕, 대교 출판, 1999.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