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964년 겨울 / 분석 / 김승옥
by 송화은율서울, 1964년 겨울 / 김 승 옥 (1965년 동인문학상 수상작)
독 해 의 주 안 점 |
▸ 등장 인물과의 대화와 행동의 의미
▸ 이 소설의 문체적 특징
▸ 작가의 현실에 대한 인식 태도
등 장 인 물 |
나 육사 시험에 실패하고 구청 병사계에 근무하는 스물 다섯 살 난 시골 출신의 남자. 소외감과 고독감을 느끼며 살아가는 인물
안(安) ‘나’와 동갑내기로 부잣집 장남이며 대학원생. 지식인이며 염세주의적이고 개인주의 적인 사람. 삶을 냉소하면서도 자기 구원을 시도하는 인물
아저씨 서른 대여섯 살의 가난한 사내. 마누라 시체를 병원에 판 죄책감에 괴로워하다가 여관 방에서 자살함. 도시인의 소외와 고독을 대표하는 인물.
줄 거 리 |
1964년 겨울, 서울의 어느 포장 마차 선술집에서 안씨라는 성을 가진 대학원생과 ‘나’는 우연히 만난다. 우리는 자기 소개를 끝낸 후 얘기를 시작한다. 우선 ‘파리(Fly)’에 관한 이야기다. 파리를 사랑하느냐는 나의 질문에 그는 우물거렸고, 나는 날 수 있는 것으로서 손 안에 잡아본 것이기 때문에 사랑한다고 스스로 답한다. 추위에 저려드는 발바닥에 신경쓰이는 나에게 그는 꿈틀거리는 것을 사랑하느냐고 묻는다. 나는 의기양양해져 옛 추억을 떠올리며, 여자 아랫배의 움직임을 이야기하고, 그는 꿈틀거리는 데모를 말한다. 그리고 대화는 끊어지고 만다. 다른 얘기를 하자는 그를 골려주려고 나는 완전히 자신만의 소유인 사실들에 대해 얘기를 시작한다. 즉 평화 시장 앞 가로등의 불꺼진 갯수를 이야기하자 그는 서대문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의 숫자를 이야기 한다.
나는 안형을 이상히 생각한다. 부잣집 아들이고 대학원생인 사람이 추운 밤, 싸구려 술집에 앉아 나같은 친구나 간직할 만한 일에 대해서 얘기하고 있다는 것이 이상스러운 것이다. 안형은 밤에 거리로 나오면 모든 것에서 해방된 느낌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우리가 술집에서 나오려 할 때, 가난뱅이 냄새가 나는 서른 대여섯 살짜리 사내가 우리 쪽을 향해 말을 걸어와 우리와 함께 어울리기를 간청한다. 힘없이 보이는 그 사내는 저녁을 사겠다고 하며 근처의 중국요리 집으로 들어간다. 그리고는 조심스레 자신의 아내가 급성뇌막염으로 죽었고 그녀의 시체를 병원에 팔았다는 이야기를 한다. 직업은 서적 월부 외판원이었다는 것, 옛날에 부인과 재미있게 살았다는 것 등을 누구에게라도 얘기하지 않고는 견딜 수 없었다며 말을 계속한다. 나와 안은 그 자리를 피하고 싶지만 눌러앉아 있을 수밖에 없다. 사내는 아내의 시체를 판 돈을 모두 써버리고 싶어했고, 우리에게 돈이 다 없어질 때까지 함께 있어주기를 부탁한다.
중국집에서 나와 우리는 양품점 안으로 들어가서 알록달록한 넥타이를 하나씩 사고 귤도 산다. 돈의 일부를 써버렸지만 아직도 얼마의 돈이 남아 있다. 그때 우리 앞에 소방차 두 대가 지나갔고, 사내는 소방차 뒤를 따라 가길 원한다. 택시를 타고 화재가 난 곳에 도착해서 불구경을 한다. 그런데 갑자기 사내가 불길을 보고 아내라고 소리친다. 그러곤 남은 돈과 돌을 손수건에 싸서 불 속에 던져버린다. 결국 그 돈은 다 쓴 셈이 되었고 우리는 약속한 대로 가려 했지만 사내는 우리를 붙잡는다. 혼자 있기가 무섭다는 것이다. 그는 오늘밤만 같이 지내길 부탁하며 여관비를 구하기 위해 근처에 함께 들르길 요청한다. 사내는 남영동의 한 가정집 대문앞에 멈춰 벨을 누른다. 그리고 울음을 터뜨리며 월부책 값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한다. 우리는 거리로 나와 여관으로 들어간다. 여관에 들어가서 우리는 방을 몇 개 잡을 것인가에 대하여 약간의 이견을 갖게 되나 각자 방을 정한다.
다음 날 아침 사내는 죽어 있다. 안과 나는 성급히 거리로 나온다. 안은 그 사내가 죽을 줄 알았다는 것, 그래서 유일한 방법으로 혼자 놓아둔 것이라고 말한다.
♣ 구 성 |
발 단 |
‘나’와 ‘안’이라는 대학원생이 포장마차에서 만나 무의미한 대화를 즐김 |
전 개 |
낯선 사내가 말을 걸어오며 자신의 불행을 말하고 동행해도 좋으냐고 간청함 |
위 기 |
화재가 난 곳에서 사내는 아내의 시체를 판 돈을 불 속에 던지고는 불안에 빠짐. |
절 정 |
여관에 도착한 셋은 각각 다른 방에 투숙함 |
결 말 |
다음날 아침, 사내의 자살이 밝혀짐. ‘나’와 ‘안’은 무덤덤한 표정으로 그곳에서 헤어짐 |
해 설 |
1. 이 작품은 동인문학상을 수상한 작품으로 60년대적 의식의 방황을 그렸다는 점에서 의 의가 크다. 50년대의 도덕주의적 엄숙성을 지닌 문학의 경향에서 탈피하여 도시에서 소 외당한 현대인의 고독과 비애, 그리고 고립을 그리고 있다. 특별한 사건은 없이 우연한 만남을 이룬 세 사나이의 비현실적 대화의 행동을 통해 전망없는 세계에 처한 삶의 부조 리성을 드러낸다. 소위 4.19세대가 일으킨 ‘감수성의 혁명’의 맨 앞자리에 놓이는 김승 옥 문학의 대표작으로, 감각적이며 유희적인 문체가 인간 관계의 단절상을 극적으로 제 시하게 되는, 반어적인 성취가 이루어진다. 인간끼리의 진정한 자아로서의 만남이 불가 능해진 현대사회의 어두운 뒷모습을 ‘의도된 어색함의 상황’에 담아 보인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대학원생 안씨와 서적 외판원 아저씨는 60년대 우리 사회가 가질 수 있는 전형적(대표적) 개인이다.
2. 문체적 특징
① 인상주의(印象主義)적 언어: 상투어를 쓰지 않고 참신하고 인상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비관습적인 문체를 만들고 있다.
② 상징적(象徵的)인 언어: 설명적 언어가 아닌 상징적, 비유적 언어를 사용하여 입 체적인 문장을 만들고 있다. 이것은 독자들에게 상상력과 사고력을 동원하여 책을 읽 게한다.
③ 홑문장과 겹문장의 교차: 이 소설의 비판적 어조에 기여한다.
3. 표현상 특징
① 전반부는 서술자의 직접 서술, 중반부는 주로 대화, 후반부는 행동을 통해 인물을 구체적으로 제시
② 전형적인 인물의 행동과 대화를 통한 시대상의 제시
(주제)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여 만나는 세 인물이 느끼는 삶의 공동성(空洞 性)과 파편적 개인성(현대인의 소외와 고독의 문제, 주체성 없는 현대 인의 삶을 비판, 현실의 부적응)으로 인한 삶의 허무 (갈래) 단편 소설, 본격 소설 (시점) 1인칭 주인공 시점 (배경) 1964년 어느 겨울 밤, 서울 거리 (제재) 연대성이 없는 세 사내가 만나 우연히 하룻밤을 보낸 이야기 |
김승옥 (金承玉, 1941 - ) 일본 대판(大阪, 오사카작가) 출생. 1945년 귀국. 전남 순천에서 정착하여 삶. 서울대 문리대 불문과 졸업. 1962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생명연습」이 당선되어 문단에 등단. 동인지 산문시대에 참여함. 1965년에 「서울, 1964년 겨울」로 동인문학상 수상 1977년 「서울의 달빛 0장」으로 제 1회 이상문학상 수상. 대표작에 「무진기행」(1964) 등이 있다. 그의 작품 세계는 주로 자기 존재 이유의 확인을 통해 지적 패배주의나 윤리적인 자기 도피를 극복해 보려는 작가의식을 보이고 있다. 그는 한국 소설의 언어적 감수성을 세련시킨 작가로 평가받고 있으며, 평자들은 흔히 그를 내성적 기교주의자의 대표적 작가로 내세운다. |
확 인 |
1. 이 작품의 전체 줄거리와 거리가 먼 것은?
① 이념적 갈등으로 인한 인간의 비극
② 개별적 존재인 소외된 인간
③ 소외된 인간들의 무의미한 생활
④ 개별화된 인간 관계에서 빚어지는 비극성
⑤ 현실의 부적응으로 인한 삶의 공동(空洞)성
2. 등장 인물들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서로의 만남에 내적 필연성이 없다.
② 세 사람은 서로 상징적으로 존재한다.
③ 인물들 사이에는 긴장감이 조성되어 있다.
④ 각각 독립된 인물 형상을 이루고 있다.
⑤ 각각이 속한 부류의 인물들의 속성을 대변하고 있다.
3. 글 전체로 보아 ‘안(安)’과 ‘아저씨’를 60년대 우리 사회의 전형적 개인이라고 할 때 두 인물이 가지는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을 바르게 대응시킨 것은?
① 거짓 희망과 과장된 절망-현실에 대한 진지한 응시
② 사회에 대한 불신(不信)--인간 관계의 회복 가능성
③ 지나친 감상(感傷)과 좌절-미래에 대한 순수한 전망
④ 현실에 대한 부정적 분석--과거에 대한 호의적 평가
⑤ 인간에의 실망감---사회의 구제력(救濟力)에 대한 신뢰
4. 이 작품의 대화의 속성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자기 내적 발화에 속한다.
② 사건의 전개와 무관하다.
③ 무의미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④ 정해진 수순에 따라 이루어 진다.
⑤ 상대자를 굳이 필요로 하지 않는다.
1. ① 2. ③ 3. ① 4. ③ |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